아래의 파일을 클릭하면 논문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
삼계·출세간계에서 윤회와 무아- 업보를 중점으로 -Transmission and No self at the three world or the supra-mundane world: focused on the action and the result
동아시아불교문화
2022, vol., no.51, pp. 129-163 (35 pages)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 불교학 > 근본불교
우동필 전남대학교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의 연구결과물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윤회․무아 논쟁
Ⅲ. 업보로서 윤회․무아
Ⅳ. 결론
초록
본 연구는 초기불교철학에서 윤회·무아(輪廻·無我, saṃsāra·anattan) 관계를 업보(業報, kamma·vipāka)론으로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윤회와 무아의 관계에 관한 대표적인 해석은 모순설 혹은 양립설이다. 두 해석은 서로 명백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존재론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형이상학적 전제들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본 연구는 윤회, 무아 개념이 각각 세간·출세간(世間·出世間, loka·lokuttara)의 업보를 해명하기 위한 교법임에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 붓다의 윤회는 영속한 자아와 세계에 관한 추구를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삼계(三界, ti-dhātu) 속에서 현상학적인 인식의 자기 상태를 되풀이하는 의식의 흐름이다. 윤회설의 의미는 각 업에 따른 과보를 삼계의 각 영역들로 보임으로써 인과응보의 인과율을 성립시키는 것이다. 삼계·윤회는 업보의 인과모형을 제공할지라도 각 영역들은 자아론의 기반이 되고 있기 때문에 고통의 구조에 예속된다. 무아는 삼계의 자아 관념을 대치(對治)하며 출세간의 과보로서 고통의 출리(出離)를 보여준다. 출세간은 삼계를 무상(無常, anicca)·고(苦, dukkha)·무아로 통찰[般若, paññā]하여 그 업으로부터 발현되는 과보의 영역이다. 이 경우 출세간이 삼계를 관찰의 대상으로 삼아 조건적으로 발현되는 것처럼, 윤회·무아의 관계는 ‘무아 이해 및 실천’이라는 업보의 ‘조건적 발현’에 의해 구분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윤회·무아의 관계가 존재론적 충돌이 아니라 삼계·출세간의 업보에 따른 구분이라고 결론짓는다.
키워드 ; 윤회 무아 무아윤회 세간 삼계 출세간 업보 연기 the wheel of life, No-self, loka, lokuttara, kamma-vipāka, paṭiccasamuppāda.
참고문헌(40)
* 2024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1. [단행본] - P. Pradhan / 1975 / AKBh. : Abhidharmakośabhāṣya
2. [단행본] - MORRIS, M. / 1961 / AN. : Aṅguttaranikāya, 5vols / Pali Text Society
3. [인터넷자원] - / / CST. : Chaṭṭha Saṅgāyana Tipiṭaka 4.0
4. [단행본] - RHYS DAVIDS, T. W. / 1982 / DN. : Dīghānikāya, 3vols / Pali Text Society
5. [단행본] - Smith, Helmer / 1978 / KhA. : Khuddaka-Pāṭha: together with its commentary Paramatthajotikā I / Pali Text Society
6. [단행본] - TRENCKNER, V. / 1979 / MN. : Majjhimanikāya, 3vols / Pali Text Society
7. [단행본] - Jayawickrama, N. A. / 1977 / Pv. : Pettavatthu / Pali Text Society
8. [단행본] - FEER, M. L. / 1991 / SN. : Saṁyuttanikāya, 5vols / Pali Text Society
9. [단행본] - H.C. Warren / 1950 / Vism. : Visuddhimagga / Harvard
10. [인터넷자원] - / / T. : 大正新修大藏經 / Cbeta
11. [단행본] - 각묵 / 2009 / 상윳따니까야 2권 / 초기불전연구원
12. [학술지(정기간행물)] - 김종욱 / 2003 / 이원성과 비이원성의 구조에서 본 자아의 문제 / 오늘의 동양사상 (8)
13. [단행본] - 김진 / 2000 / 칸트와 불교 / 철학과현실사
14. [단행본] - 대림 / 2012 / 맛지마 니까야 1 / 초기불전연구원
15. [단행본] - 라다크리슈난 / 1996 / 인도철학사 I / 한길사
16. [단행본] - 미즈노 고겐 / 1984 / 불교의 시발역 / 진영출판사
17. [학술지(정기간행물)] - 안옥선 / 2004 / 초기불교에서 본 ‘무아의 윤회’: 업의 자아의 윤회 / 불교평론 (20)
18. [단행본] - 요한슨 / 2006 / 초기불교의 역동적 심리학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19. [단행본] - 윤호진 / 1992 / 無我輪廻問題의 硏究 / 민족사
20. [단행본] - 이병욱 / 2004 / 인도철학사 / 운주사
21. [단행본] - 이중표 / 1991 / 아함의 중도체계 / 불광출판사
22. [단행본] - 임승택 / 2013 / 초기불교-94가지 주제로 풀다 / 종이거울
23. [학술지(정기간행물)] - 임승택 / 2015 / 무아·윤회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초기불교를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45 : 1~31
24. [학술지(정기간행물)] - 임승택 / 2017 / 무아에 대한 형이상학적 해석의 양상들__니까야(Nikāya)에 나타나는 ‘실천적 무아’와 비교를 위한 시론__ / 인도철학 (51) : 101~138
25. [학술지(정기간행물)] - 우동필 / 2012 / 십이연기에서 오온 / 불교학보 (63) : 51~84
26. [학술지(정기간행물)] - 우동필 / 2015 / 역관(逆觀)의 십이연기-십이연기와 중도의 관계 / 불교학연구 44 : 1~33
27. [학술지(정기간행물)] - 우동필 / 2019 / 염(念, sati)과 견(見, diṭṭhi)-지・관(止・觀, samatha・vipassanā) 구분의 기준에 대하여 / 불교학연구 61 : 105~132
28. [단행본] - 정승석 / 1999 / 윤회의 자아와 무아 / 장경각
29. [학술지(정기간행물)] - 조성택 / 2003 / 불교의 이론과 실천수행: 초기 불교의 무아설을 중심으로 / 오늘의 동양사상 (8)
30. [학술지(정기간행물)] - 최인숙 / 2003 / 무아-윤회 양립설에 대한 해석(김진교수와 한자경교수 사이의 논쟁에 대한 한 입장 / 오늘의 동양사상 (8)
31. [학술지(정기간행물)] - 한자경 / 2002 / 무아와 윤회 그리고 해탈–김 진 교수의 반론에 답하며 / 오늘의 동양사상 (7)
32. [학술지(정기간행물)] - 增田英男 / 1965 / 無我と主體性 / 印度學佛敎學硏究 14 (1)
33. [단행본] - Goodman, Charles / 2017 / A mirror is for reflec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34. [단행본] - Lusthaus, Dan / 2002 / Buddhist Phenomenology: A philoshophical investigation of Yogācāra Buddhism and the Ch’eng Wei-shih lun / RoutledgeCuron
35. [단행본] - Hirakawa, Akira / 1990 / A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Sakyamuni to Early Mahayana / University of Hawaii Press
36. [단행본] - Hamilton, Sue / 1996 / Identity and Experience : The constitution of the human being according to early Buddhism / LuzacOriental
37. [단행본] - Hamilton, Sue / 2000 / Early Buddhism: A New Approach / Routledge
38. [단행본] - Laumakis, Stephen J. / 2008 / An introduction to Buddhist philosoph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학술지(정기간행물)] - Shulman, Eviatar / 2008 / Early meanings of dependent-origination /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36 (2)
40. [인터넷자원] - Jayarava, D. / / Is Paṭicca-samuppāda a Theory of Every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