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장
載營魄抱一, 能無離乎. 專氣致柔, 能如嬰兒乎. 滌除玄覽, 能無疵乎. 愛民治國, 能無爲乎. 天門開闔, 能無雌乎. 明白四達, 能無知乎. 生之畜之, 生而不有, 爲而不恃, 長而不宰, 是謂玄德.
(임금이 하늘의 기氣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신령스러운) 혼魂과 (땅의 기氣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면밀한) 백魄을 싣고, (도道의 체體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순수한 바가 오롯한) 하나一를 품어 안으면, (백성이 도道에서 어긋나거나 벗어난 채) 멀어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을 수 있게 된다! (임금이 그) 기氣(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를 순수하게 하고, (그 기氣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에 대해) 부드러운 바의 끝점에 다다르면, (백성이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순수한 바가 오롯한) 어린아이(의 모양이나 모습)와 (더불어) 같아질 수 있게 된다! (임금이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이) 어렴풋한 거울을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모양과 모습으로) 씻어내고 닦아내면, (백성이) 티끌을 가지는 바가 없을 수 있게 된다! (임금이) 백성(의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성性·명命)을 아끼는 바로써, 나라를 다스리면, (백성이)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을 수 있게 된다! (임금이) 하늘의 문天門이 열리고 닫히듯 하면, (백성이)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암컷이 될 수 있게 된다! (임금이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앎으로써) 세상을 밝히고 밝히면, (백성이)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앎과 (더불어) 같이 할 수 있게 된다! (도道는) 만물을 낳고, 만물을 기르는데, 낳지만 (그러한 자신의 공功을 일부러 일삼아) 가지지 않고, 일삼지만 (그러한 자신의 공功을) 기대지 않으며, 자라나게 하지만 (그러한 자신의 발자국을 주재하지 않는다. 이것이 이른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이) 어렴풋한 덕스러움德이다.
營, 魂也. 神也. 魄, 精也. 氣也. 載營魄, 謂載魂於魄. 猶載人於車. 一, 謂純一, 不雜, 道之體也. 魄, 能載魂, 魂, 能抱一. 則能與道合. 離, 則遠於道矣. 故曰, 能無離乎. 能, 猶言人, 能如此乎. 下, 並同.
영營은 (하늘의 기氣인) 혼魂이다. (혼魂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신령스럽다. 백魄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면밀하다. (백魄은 땅의) 기氣이다. 재영백載營魄은 혼魂을 (몸에) 싣고, 백魄을 (몸에) 싣는다는 뜻이다. (수레에) 사람을 싣고, 수레에 물건을 싣는다는 뜻과 같다. 하나一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순수한 바가 오롯한 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오롯하게) 섞이지 않은 바, 도道의 체(體; 自然)가 되는 바라는 뜻이다. (따라서) 백魄은 혼魂을 실을 수 있다. (따라서) 혼魂은 하나一를 품어 안을 수 있다. 따라서 (혼魂과 백魄은) 도道와 더불어 할 수 있고, (도道와 더불어) 어우러질 수 있다. 〔혼魂, 백魄, 하나一, 도道의 체體는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바無爲이기 때문이다〕 리離는 도道에서 (어긋나고 벗어난 채) 멀어진다는 뜻이다. 따라서 (노자는) 일컬었다. “(따라서 백성이 도道에서 어긋나고 벗어난 채) 멀어지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을 수 있게 된다!” 능能은 뜻한다. “(그것을 일삼는) 임금은 (백성이 그것을 일삼는 바) 그것과 (더불어) 같이 (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문장에서), (능能의 뜻은) 모두 (이것과 더불어) 같다.
專, 純也. 致, 極也. 嬰兒, 氣, 純, 而且柔. 能如嬰兒, 則能抱一矣.
전專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을) 순수하게 한다는 말이다. 치致는 (그) 끝점에 다다른다는 말이다. 어린아이嬰兒는 (그) 기氣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에 대해) 순수하고, 부드럽다. (따라서 임금이 그) 어린아이嬰兒(의 모양이나 모습)와 (더불어) 같아질 수 있으면, (백성이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순수한 바가) 오롯한 바一를 품어 안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滌除玄覽, 必欲其純潔無疵也.
(척제현람滌除玄覽, 능무자호能無疵乎는 비유컨대 임금이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한 거울(覽; 魂·魄·氣)을 (본래 저절로 그러한 모양과 모습으로) 씻어내고 닦아내면, (백성이) 반드시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순수하고 깨끗한 바, 티끌(疵; 有爲)을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 無爲)를 일삼고자 하게 된다는 뜻이다.
愛民治國, 必欲其淸靜無爲也.
(애민치국愛民治國, 능무위호能無爲乎는 임금이) 백성(의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성性·명命)을 아끼는 바로써, 나라를 다스리면, (백성이) 반드시 그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맑고 조용한 바,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바無爲를 일삼고자 하게 된다는 뜻이다.
天門, 卽玄牝之門. 天門, 開闔, 谷神之, 所以不死. 而一於雌. 則妙用, 息矣. 故欲其必無雌也.
하늘의 문天門은 (제6장이 일컬은 만물의 온갖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신령스러운 바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텅 빈 바가 생겨나는 문이다. (따라서) 하늘의 문天門이 열리고 닫히면, (만물의 온갖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텅 빈 바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신령스러운 바가 생겨나게 된다. 따라서 (만물에게 있어서, 그것이) 잦아들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만물이 비유컨대) 암컷(雌; 無爲)에 대해 오롯해지게 된다. 따라서 (만물의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어렴풋한 일삼음(用; 有爲)이 멈춰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임금이 그 하늘의 문天門이 열리고 닫히듯 하면, 백성이) 그 반드시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암컷을 일삼고자 하게 된다는 것이다.
明白四達, 聖人之, 所以自知. 而衒其知. 則智慧, 作矣. 故欲其如無知也.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앎으로써) 세상을 밝히고 밝히는 일, 성인이 나아가는 바이다. 따라서 (세상이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앎을) 저절로 그러하게 알아차리게 된다. 따라서 (백성이) 그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앎을 (비유컨대 시장을 돌아다니며 물건을 사고팔 듯, 사방을) 돌아다니며 (그것을 사고) 팔게 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앎이 (세상에서 사방으로)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임금이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앎으로써) 세상을 밝히고 밝히면, (백성이) 그 일부러 일삼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는 앎과 (더불어) 같이 하는 바를 일삼고자 하게 된다는 것이다.
又如造化. 之, 生養萬物. 而不自以爲功. 爲萬物之長. 而無宰制之跡. 則可以謂之玄妙之德矣.
(도道는 만물의 생겨남을) 일삼고, (만물의 모양과 모습을) 달라지게 한다. 그것은 만물을 낳고, (모양과 모습이 달라지도록) 만물을 먹인다. 그러나 (도道는 그러한 자신의 발자국을) 일부러 일삼아 공功으로 삼지 않는다. (도道는) 만물의 자라남을 일삼는다. 그러나 (도道는 그러한 자신의) 발자국을 (일부러 일삼아) 주재하거나 재단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다. 따라서 그것을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어렴풋하고 어슴푸레한 덕스러움德이라 일컬을 수 있다는 것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