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야승 > 해동잡록 > 海東雜錄[五] > 孝子 > 최종정보
海東雜錄[五] 權鼈 / 孝子 / 崔叔箴
性至孝。母死。父欲分土田臧獲。叔箴皆占磽薄老衰者。皆推與兄弟。鄕人稱之曰。庾黔婁薛包之爲人。千載景仰。況一人兼之乎。孝子
ⓒ 한국고전번역원
최숙함(崔叔咸)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어머니가 죽고 아버지가 논밭과 남녀 종들을 분배하고자 하니 숙함이 메마른 땅과 노쇠한 종들만 차지하고 좋은 것은 두 형제에게 주었다. 지방 사람들이 칭송해서 말하기를, “유금류(庾黔婁 양(梁) 나라 때 사람. 역(易)의 아들로 효행이 두터웠음)와 설포(薛包 후한(後漢) 때 여남(汝南) 사람. 호학 독행하고 효제(孝悌)하여 이름이 있음) 같은 사람은 천년을 우러러 존경할 만하거늘 하물며 혼자서 두 사람의 좋은 점을 겸해 있어서랴.” 했다. 〈효자(孝子)〉
ⓒ 한국고전번역원 | 권덕주 (역) | 1971
..........................
海東雜錄[六] 權鼈
*권별(權鼈) (1589~1671)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예천(禮泉)으로, 사간(司諫)을 지낸 권문해(權文海)의 아들. 왕실의 사적(事蹟)과 인물열전(人物列傳)을 집대성한 《해동잡록(海東雜錄)》을 편술함.
鄭汝昌
三年不出廬洞。一日不釋麻衣。移父墳於同兆。儒先錄
先生與兄弟娣妹。分奴婢田土。先占老弱磽确。有一妹夫。猶以爲恨。却以己物與之。同上
.......................
來庵集 卷十三 / 碑文 / 一蠹 鄭先生墓表銘 【幷序】
兄弟姊妹,分土田臧獲,其磽薄老弱者,先生自占。兄弟猶心不厭者,復以己所得與之。成廟庚戌,登丙科,補侍講院說書。輔導以正,東宮不悅,便求補外,甲寅除安陰縣監。知民疾苦,明立科條,期年,合境相戒,莫敢欺負。方伯信重,凡獄事難辨者,必與諮議,乃折自言,而不利者咸稱神明。
형제자매들이 전답과 노복들을 나눌 때에 선생은 그 중에서 척박한 땅과 늙고 쇠약한 노복들을 자기 몫으로 하였다. 그런데도 형제 중에 오히려 마뜩해하지 않은 사람이 있자, 다시 자기의 몫을 그에게 주었다.
ⓒ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남명학연구소 | 김익재 양기석 정현섭 (공역) | 2014
.........................
一蠹先生遺集卷之三 / 附錄 / 神道碑銘 幷序 [鄭蘊]
兄弟姊妹。分土田臧獲。先生擇其磽薄老弱者自占。猶有不厭其心者。則復以己所得與之。
형제자매들이 전답과 노복들을 나눌 때에 선생은 그중에서 척박한 땅과 노쇠한 노복들을 자기 몫으로 하였다. 그런데도 오히려 마음에 만족하지 않는 자가 있자, 다시 자기의 몫을 그에게 주었다.
ⓒ 한국고전번역원 | 박헌순 (역) | 2004
.............................
이재유고(頤齋遺藁) 황윤석(黃胤錫)생년1729년(영조 5)몰년1791년(정조 15)자영수(永叟)호이재(頤齋), 서명산인(西溟散人), 운포주인(雲浦主人), 산뢰(山雷), 월송외사(越松外史)본관평해(平海)특기사항김원행(金元行)의 문인. 홍계희(洪啓禧), 신경준(申景濬) 등과 교유
頤齋遺藁卷之二十一 / 行狀 / 統制使趙公行狀
公內行甚備。事親至孝。妣宋氏患腫。日夜扶持。藥餌必親。喪葬及祭。有令人動者。與二弟友愛。其分田宅奴婢也。擇老弱磽瘠者而取之曰。吾以先世餘慶。早受國恩。得以衣食。此亦足終吾身矣。二弟沒。殮葬所需。悉自營辦。至身無完衣不恤也。
.....................
고산집(鼓山集) 임헌회(任憲晦)생년1811년(순조 11)몰년1876년(고종 13)자명로(明老)호고산(鼓山), 전재(全齋), 희양(希陽)본관풍천(豐川)초명헌귀(憲龜)시호문경(文敬)특기사항홍직필(洪直弼)의 문인. 조병덕(趙秉悳), 김평묵(金平默) 등과 교유
鼓山先生文集卷之十四 / 墓誌銘 / 左尹朴公墓誌銘 幷序○甲戌
고종 | 11 | 1874 | 갑술 | 同治 | 13 | 64 | 1월, 조정에 나오라는 고종의 별유를 받다. ○ 4월, 柳重敎가 방문하다. ○ 7월, 아들 임장재가 죽다. ○ 8월, 조정에 나오라는 고종의 별유를 받다. ○ 9월, 元子宮 左諭善이 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다. ○ 10월, 특명으로 이조 참판이 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다. ○ 11월, 대사헌 겸 성균관좨주가 되었으나 사직소를 올리고 나아가지 않다. ○ 12월, 대사헌에서 체차되다. 좨주를 사직하는 상소를 올리다. |
四傳至諱增榮。弘文館校理。號訥齋。以文章經學。名於世。享菊溪書院。生諱薰。有道學行誼。登己卯賢良枓。擢承政院同副承旨。與靜菴趙先生。同被北門之禍。特贈吏曹判書。諡文度。世稱江叟先生。享于莘巷書院。於公爲六世祖也。
公仁慈樂易。孝友篤至。每以祿不逮養。爲至痛。夫日。或在遠未參。則以紙榜。略設伸情。
江叟節惠後。貧無以行禮。爲求一邑。延諡仍樹大碑。
凡於先世墓道。無不竭力經紀。神德殿位板。只書新羅始祖。不加王字。襲謬已久。公倡率宗盟。聯名陳疏。請神版貞珉。一依香祝。書王字。碑文亦依崇仁崇義殿例。令詞臣撰進。俾重事體。幷蒙施行。備述世德。作爲家乘。鋟梓以壽其傳。
敎育諸姪。悶其貧乏。自分田宅奴婢以與之。
遠近宗族。仰賴者多。其旅宦者。必曰於我乎館。一家之政。以和爲主。而內外之別。則必致謹嚴。雖親子弟。不使無時入內。久坐言笑。訓飭側室諸子。毋敢踰閒。早起盥櫛。未甚病。未嘗偃臥。平居不屑俗務。無事時。常對𥳑編。自奉極儉。位至宰列。而常衣縕袍。解官之日。便假貸朝夕。接人不設城府。有怒於人者。事過卽忘。謙虛好問。雖淺近之言。有一善可取。則奬詡不已。賓至必命酒盡歡。不問有無。微醺輒誦七月無逸出師表等篇。築室于虎溪上。常思退休。晩以逸休自號。筆翰贍給。爲疏箚。下筆數千言。辭達而意明。詩亦只取遣興。不拘調格。有遺稿若干。藏于家。
...................
월주집(月洲集) 소두산(蘇斗山)생년1627년(인조 5)몰년1693년(숙종 19)자망여(望如)호월주(月洲)본관진주(晉州)특기사항송시열(宋時烈)의 문인
月洲集卷之五 / 附錄 / 遺事
公有一弟。出爲從叔父眠窩公後。卽司評公也。當隨侍關西任所。公不堪離闊。自著戀弟歌。以寓其孔懷。辭極懇惻。人皆傳誦焉。時公年十三也。
及其析箸。臧獲田土必均分焉。又廩捧之餘。每令資而用之。又眠窩公早退家食。公誠敬以事之。無異猶父。凡事親志物之養。則兼分於司評公。以供眠窩之養。少不以出后有間。
公每典州府。胥徒之有任色者。必給料。察其能否。否者去之。不別塡代。使能者兼之。例當差役。又不許改差。以終歸期。由是吏不敢有欺瞞。民不見有侵漁。聽理之際。人稱如神。無情者不得盡其辭。
嘗有業商者。失紙來訴。問其由。謂眠木偶下。覺則無之。遂令胥徒夜守木偶。詗知其故。吏冷笑無一守者。朝罰每人壯紙一束。紙尾各書名以納。納畢。遂招紙商審之。得其所盜。如數推給。當世傳誦。以爲兵家之機略。
.....................
입재집(立齋集) 정종로(鄭宗魯)생년1738년(영조 14)몰년1816년(순조 16)자사앙(士仰)호입재(立齋), 무적옹(無適翁)본관진주(晉州)특기사항이상정(李象靖), 최흥원(崔興遠)의 문인. 남한조(南漢朝)와 교유. 영남 남인의 석학
立齋先生文集卷之三十七 / 碣銘 / 滄洲李公墓碣銘 並序
待昆第。無嫡庶一以至誠而無差等。土地臧獲。先公多別與。當析箸合而均分之。自取其羸瘠。渭陽家素饒無子。欲以公爲侍養。因盡付其産業。公辭不肯。立其族子使主之。
..................
연재집(淵齋集) 송병선(宋秉璿)생년1836년(헌종 2)몰년1905년(고종 42)자화옥(華玉)호연재(淵齋), 동방일사(東方一士)본관은진(恩津)소자구범(九範)시호문충(文忠)
淵齋先生文集卷之四十一 / 墓表 / 竹溪宋公 廷耆 墓表
有至性篤行。而浸晦以沒其世者。曰故礪山宋公諱廷耆。字俊在也。公幼而岐嶷。長益莊重。從季舅李公學。文藝夙就。亟被奬許。嘗歎張公藝九世同居。居家敦行孝悌。事親克勤。怡愉順志。貧無以供甘旨。則躳漁獵以養。或遇美味。輒裹歸獻。父母病。嘗糞驗其劇歇。泣禱家廟。以身願代。居憂廬墓。毁瘠踰禮。塚傍素多鬼火。忽不復見。手植松樹。使之成林。內艱夢占吉兆。人謂之孝感。服闋。仍構數椽。扁以永慕。每値夫日。前期齊沐。克盡著存。生日輒倍悲痛。不御酒饌。
因心篤友。析箸均分。奴婢田宅。取其老孱荒廢。咸得歡心。庭無間言。
..................
【名句】维此王季①,因心则友,则友其兄,则笃其庆。
【注释】①王季:周文王之父,相传他的兄长将王位继
承权让给他。
【释义】就是这位王季,以仁爱之心待人,敬爱他的兄长,就能增加吉庆。
【点评】敬爱兄长,维护家庭安宁,就能增加家庭幸福。
参考文献
《诗经·大雅·皇矣》
(28)大伯:即太伯,太王长子。次子虞仲,三子季历。太王爱王季,太伯、虞仲为让位于季历,逃至南方,另建吴国。太王死后,季历为君,是为王季。
(29)因心:姚际恒《诗经通论》:“因心者,王季因太王之心也,故受太伯之让而不辞,则是能友矣。”友:友爱兄弟。
(30)则:犹“能”。
(31)笃:厚益,增益。庆:吉庆,福庆。载:则。
.....................
신야집(新野集) 이인행(李仁行)생년1758년(영조 34)몰년1833년(순조 33)자공택(公宅)호신야(新野)본관진성(眞城)특기사항박시원(朴時源), 김영범(金永範), 채홍원(蔡弘遠), 유낙휴(柳洛休) 등과 교유
新野先生文集卷之八 / 墓誌銘 / 僉中樞朴公墓誌銘 幷序
戊戌丁內艱。哀毁踰制。庚子夏。哭伯兄。冬又哭季弟。撫敎遺孤以至成立。及析箸。
宗姪欲均其田民。公曰。吾家素貧。若均分。宗家何以供賓祭乎。終不受。生事甚寠。處之晏如。
.....................
수곡집(壽谷集) 김주신(金柱臣)생년1661년(현종 2)몰년1721년(경종 1)자하경(廈卿)호수곡(壽谷), 세심재(洗心齋)본관경주(慶州)봉호경은부원군(慶恩府院君)시호효간(孝簡)특기사항박세당(朴世堂)의 문인. 최석정(崔錫鼎), 서종태(徐宗泰), 김창협(金昌協) 등과 교유
壽谷集卷之七 / 行狀 / 先妣行狀
凡處兄弟也。因心爲友而多人所難及。舅氏嘗分田宅奴婢以獻。先妣辭曰。若干臧獲。已不可分。且數畆之田。割而貳之。則父母之祀。其將承虛筐乎。吾自有生業。無此而足矣。舅氏累請。而先妣終不許。舅氏不釋然。王父有側室子四人。其長者。賴婦有家。而次三人。不別治生。命先君兄弟。各卹一人。及先君沒。先妣與之奴婢。以助薪水。奴亡。又與之奴。加田百畆。以資其食曰。先舅之所戀。亡夫之所恤。不敢忘也。
.................
후천집(朽淺集) 황종해(黃宗海)생년1579년(선조 12)몰년1642년(인조 20)자대진(大進)호후천(朽淺)본관회덕(懷德)특기사항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 장현광(張顯光), 김장생(金長生) 등과 예학(禮學)을 토론
○故李相尙毅夫人某氏。不知何人家女子。而其父無子。未及立後而死。其父母神主無所歸。夫人乃上言。請以從弟爲其父之後。依例成案。
1 | 李尙毅 | 1560 | 1624 | | | 驪州 | 而遠 | 少陵, 五湖, 西山, 巴陵 | 翼獻 | 驪興府院君 | | |
2 | 李尙毅妻尹氏 | 1560 | 1625 | | | 海平 |
遂中分田宅奴婢以與之。一如親弟然。此事雖博學識理之君子。未必無媕娿之態。況婦人之身而斷然行之。豈是易事。賢哉賢哉。烈哉烈哉。雖然。坤道無獨成之理。則李相之所以周於其間。使之成就者可想矣。其亦可師。
○高麗時有李承召。號三灘先生。陽城人。孝悌出天。文章鳴世。母嘗謂其父曰。吾夫妻已老。久於世。未可必也。
願分奴婢田宅以給子女。父曰。吾二人雖死。承召在。何患身後子孫爭鬪乎。蓋信服其子之賢也。其弟得病極重。一日。忽氣絶。斷無生道。公涕泣罔措。乃脫衣抱臥。以其胸接死者胸。移時乃甦。其友于之道類此。官至政承。有三灘集行子世。公之行跡。曾於文集中見之。而世所罕有。恐其泯滅。略記之。
..................
有三灘集行자子世->우于
*원문이미지 于
.................
동춘당집(同春堂集) 송준길(宋浚吉)생년1606년(선조 39)몰년1672년(현종 13)자명보(明甫)호동춘당(同春堂)본관은진(恩津)시호문정(文正)특기사항김장생(金長生), 정경세(鄭經世)의 문인
同春堂先生文集卷之二十一 / 行狀 / 先考淸坐窩府君行狀
宋爾昌 | 1561 | 1627 | | | 恩津 | 福汝 | 淸坐窩, 一癡, 挹灝 |
一家分財之日。擇田宅之便好者。奴婢之少壯者。分與弟妹。自執疲薄者曰。吾則此足爲生。及妻家分產亦如之。其有不滿意者。盡從其所欲。竟得其歡心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