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대중교통 환승통행이용 108% 증가 결과적으로 봤을 때, 서울·경기 통행자의 91.3%가 수도권 통합환승제에 대해 만족감을 표시했다. 서울시에서 조사한 서울·경기 통행자 1,100명 대상 여론조사에 따르면, 경기⇒서울 통근자의 89.0%, 서울⇒경기 통근자의 95.3%가 ‘만족한다’는 의견을 비췄다. 이 여론조사는 서울⇒경기 통행자 400명, 경기⇒서울 통행자 700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1대 1 면접 방식으로 시행됐다. 서울시 통행 분석자료에서도 서울시 버스·지하철과 경기도 버스간의 환승통행이 시행전 328,329건(‘06.11.1)에서 683,547건(’07.10.)으로 108%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울시계 유출·입 차량은 금년 상반기 1일 평균 2,695,675통행에서 10월 현재 2,686,087통행으로 1일 평균 12,588통행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대기질 향상정책의 수단으로서 환승할인제 확대(승용차 이용억제)를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91.3%가 ‘만족’감을 나타냈다.
경유차 저공해화 사업, 승용차 요일제 경기도로 확산
서울시는 이 결과를 토대로 버스중앙차로제 확대 시행 등 다양한 대중교통이용 활성화 개선사업을 인천시, 경기도와 함께 지속적으로 시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재 경기도의 경우 승용차요일제 시행을 위해 전자태그 부착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은 ’07년 7월 10,187대에서 10월 현재 14,653대로 43.84%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인천시에서도 지난 10월 전자태그 부착사업을 전격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서울시·인천시·경기도는 수도권 대기오염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경유차 저공해화 사업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 예로 서울시는 경유 사용 자동차에 대해 우선적으로 저공해 장치를 부착하는 조례를 올해 10월 공포했으며, 경기도에서도 12월 중으로 같은 조례를 제정할 방침이다. 또한 서울시·인천시·경기도는 저공해화 조치를 하지 않은 노후·대형 경유차에 대해 운행을 제한하는「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개정을 올해 7월 환경부에 재건의 하기도 했다. 이러한 공동 움직임에 대해 시민들 또한 긍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서울시 조사결과에 따르면 '광역현안에 대하여 수도권 전체 입장에서 공동으로 협의, 결정하는 것'에 시민 92.36%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환경·복지 등 광역현안 인천·경기도와 함께 해결
수도권 통합환승제는 ’04년 7월 시행된 서울버스와 수도권전철 간 통합요금제를 수도권 버스로 확대 적용한 것으로, ’06년 12월 8일 서울특별시장·인천광역시장·경기도 지사가 교통·대기질·수질 개선 등 수도권 광역현안에 대해 공동대처하기로 한 이후 지난 7월 1일 처음 시행됐다. 서울시는 그간 재정부담 규모, 지자체와의 협의, 정산시스템 구축 등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교통정체 해소, 대기질 개선 등 수도권 전체주민의 복리증진을 위해 연간 약 200억원에 이르는 재정부담을 감수하고 통합환승제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최근 조사된 수도권 통합요금제 확대시행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시민 대다수가 만족감을 드러내 다시 한번 시민들에게 유용한 시책임이 증명됐다. 서울시는 “앞으로도 교통문제 뿐 아니라 환경, 복지 등 광역현안에 대하여 수도권 전체 주민의 복리 향상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러한 서울시 정책에 대해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측에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협조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 문의 : 교통국 교통계획과 ☎ 02-6321-4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