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초상은행카드를 가지고 한국에서 방금전에 현금인출 해봤습니다.
GS25편의점이 유니온페이가 되는 ATM이 많은것 같네요. GS25웹사이트가시면
지도로 지점찾기 메뉴가 있어서 쉽게 찾을수있고 전화걸어서 거기ATM에 은련마크 잇냐고
물어보면 됩니다.
ATM에서 제공하는 은련메뉴는 한번에 인출 가능한 최대 현금이 30만원입니다.
그리고 제가 5번까지 뽑았습니다, 즉 150만원이죠. 6번째는 오류가 나서 다음날에 또 사용할 수 있어요.
저는 미리 인터넷 뱅킹으로 두개 초상은행카드로 나눠놔서 다른 초상은행카드로 또 뽑았습니다.
자 이제 환율이 궁굼하죠.
중국은행 웹사이트 가시면, 여기에 환율이 나와 있습니다.
http://www.boc.cn/cn/common/whpj.html
그중에서 맨 아래 한국환율이 나옵니다.
"卖出价" 이게 바로 우리가 한국등 중국외지역에서 현금인출시에 거래되는 환율입니다.
0.5768 이라고 지금 나오는데 100 을 가지고 그것으로 나누기 해야합니다.
100 / 0.5768 = 현금인출환율 = 173.37 입니다.
그 환율은 현재의 한국 외환은행에서의 매매기준율(173.99)하고 비슷합니다.
이정도면 중국에서 사람찾아서 거래하는것과 거의 같습니다.
수수료는 10위앤 빠져나가네요. 즉 ATM수수료죠. 중국돈을 한국 ATM에서 인출하는데
환율도 좋은거 적용하고, 은행간 수수료는 하나도 없고 단지 ATM수수료만 달랑 10위앤
빠져나갑니다. 정말 환상적입니다. 다만 최대 30만원이라서 5회 뽑는바람에 ATM수수료가
50원 들긴했지만요.
반대로 한국 BC카드에서 각 은행이랑 하는 중국통 카드, 한국카드에 은련마크 찍힌것.
이것도 중국에서 신용카드, 현금결제등을 해봤는데 역시 환율 환상적입니다.
규모가 적은 월급정도의 돈이라면 이제 복잡하게 환치기 하지 않고
살 수 있겠네요.
첫댓글 환률에 관한 박사 이시군요.좋은 정보이네요.저도 얼마전 부산서면에서 뽑아보니 나오더군요.
정말 감사. 방금 푸동발전은행 걸로 해봤는데, 회당 최고 20만원까지고 수수료 18원이네요. 좀 세네요 초상은행보다. 환율은 환상적 20만원에 1154원. 은행마다 수수료가 다른 모양이에요 그리고 GS25의 기기마다 최고 금액이 다른듯.. 암튼 좋은 정보에요
저는 매달 월급을 부모님에게 보내는데 이제 초상은행카드를 한국에 두고 중국가도 부모님이 한국돈으로 뽑아쓸 수 있어서 편리할것 같아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저같이 소액을 한국으로 보낼때 위분처럼 은행카드하나 만들어서 한국에 두고오면 편하겠네요..
신경 쓰이고 잘못하다간 사고나기 십상인 불법환치기를 이용하지마시고 은행 카드를 만들어 안전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위 말씀대로 라면 사고팜의 중간선인 기준환율과도 별차이 나지도 않네요... 감사합니다.
시티은행 ATM에서도 되는 곳이 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여~ ^^
오늘 GS25 편의점에 가서 사용을 해봤습니다. 초상은행과 공상은행 카드를 사용했는데 나중에 계산해보니 수수료까지 포함했는데도 환율 적용이 217원이 조금 넘게 됐더라구요. 하루 인출액은 인민폐 10,000원 기준인것 같습니다. 한 카드로 2,100,000원까지 뽑아지고 그 다음부터는 안되더라구요. 어제 기준으로 기준환율이 220원인데 기준환율에 거의 근접하게 적용을 받으니 브로커 껴서 하는것보다 훨씬 낫네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왼환이나 시티보다 GS편의점이 수수료가 적은 가요? 공상은행카드로 뽑았을때 외환이나 시티는 1퍼센트 수수료와 건당 12원이 빠지던데요.
초상은행은 수수료는 모르겠구요 중국돈 10원정도 빠지는 것 같아요.... 공상은행은 한번 인출시 빠져나가는게 꽤 비싼것 같구요. 한번에 인출 가능한 한도가 30만원인게 좀 흠이지만 환율 생각하고 수수료 생각하면 초상은행 카드로 GS이용하시는게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훼밀리마트에서도 인출가능하던데요..초상은행은 수수료 10원 빠져나가더라구요.. 잔액은 항상 인터넷으로 확인한답니다.^^
여러분들이 말씀하시는 카드는 Credit card가 아닌 현금을 예치하고 사용하는 debt card 즉 借機카드라 칭합니다. 한국에서 외국에 출장,유학등을 나갈때는 씨티은행의 현금카드(가입시 회비지불: 5만원) 이를 갖고 외국에 나가 씨티은행에서 인출시 TT중간환율로 거래가되며(즉 한화->미화->현지화폐: 환율은 브룸버그적용) 1회 인출할때마다 수수료는 1USD 적용됩니다. 그리고 요즘 외환반출규제로(월 1만불정도 인출가능). 이에 반해 중국은 RMB로 1만원 정도 매일 인출가능. 결국 월30만원까지 인출이 가능하다는 야기입니다. 단 환율 및 수수료는 한국씨티뱅크가 유리하죠. 중국은행들과 씨티은행은 수수료만 챙기고
기타 환거래상 차익 또는 수수료는 union pay 즉 銀聯에 일괄 위탁 처리되는 것 같습니다. 저도 상해에서 상해씨티뱅크에 확인해 본 결과..그렇습니다. 환치기보다는 조금 더 쓰더라도 안전 하겠죠. 적당한 금액은 안전한 방법이죠. 큰 금액은 문젝되고...................그러나 앞으로 환울이 다시 오를 기회가 있는지 모르겟습니다. 대다수 사람들 즉 큰 돈을 가진 분들은 대다수가 1300~1350원대에 한국으로 송금 처리 했고 1500~1650원대에는 한국에서 인민폐 수요가 없어 송금을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누구는 집을 팔아 현금이 들어왔으나 환율이 꼬끄라져...1350원으로 떨어져
속쓰린분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도 RMB는 소위 keeping value 즉 保値이 기장 좋운 화폐입니다. 비록 수출 문제로 인민폐 평가 절하의 압력도 상당하나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계속해서 혹은 가치 하락은 없을 것으로 예측됨.
1. 기축통화가 되기위해선 약 10년 정도. 그러나 일부 국가간 인민폐 결재를 확대하고 있어 RMB에 대한 수요 증가능 결국 가치 상승 혹은 떨어지지 않는다. 2. 환율하락은 중국의 자산가치 하락 즉 외국투자유치를 줄이는 결과와 유동성자금 HOT money등의 부분 이틸이 아닌 대 이탈 발생. 당분간 환율상승(평가절하)을 한다해도 폭과 속도에서 수출에 크게 기여가 어려움. 결론...평가절하를 않한다는야기임. 3. 이자율은 상대적으로 미국,일본,유럽국가들에 비해 아직 많이 높은 상태...즉 이 또한 hot money를 묶어 놓는 이유중 하나임. 최근 GDP 6.1%대 하락으로 추가 부양책에 이자율 인하가 포함될지 여부는 미지수나...오히려 돈을
더 풀면 풀었지...이자율은 당분가..현상 유지 할것으로 보임. 연말에 인플래 문제는 큰 걱정거리임. 이는 물가 즉 CPI를 크게 자극하고...원자재비 상승...집갑 상승도 예상됨.
자세한 설명 전문가이시군요. 많은 배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작년4월 전후 예상 했던 것이 거의 적됐군요....모두들 알고 있는 사실이죠.........................
2010년에 들어 부동산 폭등으로 외신 경제 전문가들은 많은 우려 속에서 중국 경제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착각하고 있는 것은 중국은 계획경제라는 것을 잊고 있는 것인 큰 착각이지요..과거 93~95년 보만 해도 중국은행의 부실을 지적하고 문제 제기를 했지만 결국 지금까지 발전해 왔습니다. 공상은행 세계최대 자산보유은행입니다.(콜드만삭스 일부 지분 포함) 상장까지 했습니다. 이것이 중국입니다. 만약 자본주의 시장경제 원리대로 방치되어다면 벌써 벌불이 터졌을 것입니다. 이번 부동산 강력 조치는 어는정도 경제가 회복 단계진입을 확인 강력한 투기 규제 조치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2010년에 들어 부동산 폭등으로 외신 경제 전문가들은 많은 우려 속에서 중국 경제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착각하고 있는 것은 중국은 계획경제라는 것을 잊고 있는 것인 큰 착각이지요..과거 93~95년 보만 해도 중국은행의 부실을 지적하고 문제 제기를 했지만 결국 지금까지 발전해 왔습니다. 공상은행 세계최대 자산보유은행입니다.(콜드만삭스 일부 지분 포함) 상장까지 했습니다. 이것이 중국입니다. 만약 자본주의 시장경제 원리대로 방치되어다면 벌써 벌불이 터졌을 것입니다. 이번 부동산 강력 조치는 어는정도 경제가 회복 단계진입을 확인 강력한 투기 규제 조치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GDP 성장의 3두 마차 중 그간 주로 정부 투자를 통한 경제 성장 그리고 그중 가장 핵심이 부동산 투자(세수확보 및 경기 진작)였으나....너무 심각해져...더이상 방치 불가 사실 08년망09년 오히려 경기진작을 위해 부동산을 부추켰으나 지금은 수술이 회복되고 있고 정부 투자도 종전 처럼 유지로...부동산을 누르기 시작........인플래 유동성 회수는 채권 발행, 은행 지분율 높히기 등을 해왔고 .....세계경제의 변동 상황에 따라 경제를 适度调整 예정. 즉 경기회복과 동시에 버불 문제를 동시에 해결 하기 위한 전략임.
지나번 호 주석이 미국 방문은 당분간 인민폐 평가 절상은 우선 중국내 인플래와 부동산 문제를 잡기 위해 수출을 회복시켜야하는 만큼 부동산 조정이 끝이나고 경제가 어는 정도 자리가 잡히면 그때부터 환율 가치를 조금씩 수출에 큰게 타격없이 올릴것으로 보임. 당장 이자율을 올리지 못하는 이유는 경기가 회복되고 있는단계에서 중소기업의 대출 코스트 즉 금융 비용 증가를 야기 경기 회복에 물을 뿌리는 결과 초래........특히 부동산 보유자들의 은행빛 상환능력이 약해져......오히려 경제에 .......................졸려서
신한은행 직불카드는 전세계 은련 가맹점에서 사용시 최대 0.7%의 수수료를 다음날에 현금으로 입금해 드립니다..수수료를 현금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물론 한국에서 사용시 은련마크가 있는 AMT기에서 1일 1만위엔 까지 현금인출 사용 가능합니다(1회 15위엔 수수료 * ATM기기 마다 1회 현금인출액이 틀립니다..50만원이 출금되는 기기에서 1만위엔(한국돈 180만원 정도)를 인출하려면 4번 찾으셔야 됩니다..즉 수수료가 60위엔 발생합니다..잔액조회수수료도 있으니 자세한건 021-6465-2300 신한은행으로 문의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