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는 교회 현장에서 성도들이 꼭 알아야 할 예배와 예전에 담긴 의미를 성경과 역사, 교리를 통해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다. 예배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예배를 둘러싼 기본적인 지식 즉, 십자가 사용, 강단 꽃꽂이, 설교자의 복장, 성찬식, 묵도의 필요성, 축도 등 그동안 잘못 사용했던 용어나 오해했던 개념을 바로 잡아 예배의 본질을 회복하고 예배자로서의 정체성을 바로 세우는 데 유익한 실용적인 예배 설명서이다.
안재경저자 : 안재경
저자 안재경은 고려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군종 목사(3, 8, 17사단), 한국해비타트 총무를 거쳐, 화란한인교회를 만 7년간 담임했다. 지금은 온생명교회(경기도 남양주)를 담임하고 있다. 〈고신레포Refo500 준비위원회〉 서기, 인터넷웹진 〈개혁정론〉 운영위원 및 편집장, 〈서울포럼〉 서기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 『사사기 룻기 성경공부』(CLC), 『고흐의 하나님』(홍성사), 『렘브란트의 하나님』(홍성사), 『예배, 교회의 얼굴』(그라티아), 『종교개혁과 예배』(SFC), 『십계명, 문화를 입다』(SFC)가 있다. 한국교회의 공교회성 및 예배회복을 위해 가르치고 글을 쓰고 있으며, 개혁신학, 한국교회의 토착화 및 기독교문화를 일구는 것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림 : 곰도와니
그린이 곰도와니는 고신대학교 신학과와 고려신학대학원 M.Div.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Th.M. 수업을 받고 있다. 특히 한국 교회의 찬양에 관심이 많아, 믿음이 약한 헌가족들을 배려하는 찬양 문화가 교회 안에 자리잡기를 소망하며, 페이스북에서 ‘오말찬’(오직 말씀 위에 찬양을)이라는 페이지를 운영 중이다.
목차
추천의 글_5
저자 서문_9
1부 : 예배와 목사
1. 기독교회의 예배는 무엇이 다른가요?_16
2. 예배가 제사인가요_20
3. 구약제사는 종교일반적인 현상인가요_24
4. 예수님은 새로운 예배를 창안하셨나요_28
5. 신약예배를 재현하는 길이 있을까요_32
6. 대학부 예배가 공예배일까요_36
7. 사회자와 설교자가 다른 이유가 무엇일까요_40
8. 목사가 로만칼라를 할 수 있나요_44
2부 : 예배환경
1. 예배당에서 왜 향을 피우나요_50
2. 예배 때 촛불을 켤 수 있나요_54
3. 강단에 십자가를 걸어두면 안 되나요_58
4. 강대상에 대해 말해 주세요_62
5. 강단 꽃꽂이에 대해 가르쳐 주세요_66
6. 아랫강대상에 대해 알려 주세요_70
7. 배너가 너무 많이 걸리고 조잡해요_74
8. 스크린 없이 예배할 수 없나요_78
3부 : 예배순서
1. 예배 시작 때 왜 종을 치는지 모르겠어요_84
2. 묵도가 왜 예배의 시작인가요_98
3. 입당행렬이 왜 필요한지 모르겠어요_92
4. ‘예배부름’은 누가 누구를 부른다는 것일까요_96
5. 왜 예배부름을 우리의 섬김이라고 주장할까요_100
6. ‘하나님의 인사’가 웬 말일까요_104
7. 왜 ‘있을지어다’라고 축도할까요_108
8. 예배 때 광고를 안 하면 안 되나요_112
4부 : 말씀
1. 예배 때 왜 교독문을 읽나요_118
2. 교인이 성경 봉독을 해도 되나요_122
3. 성경 봉독 시 일어서면 좋겠어요_126
4. 설교자 초청은 교단이 상관없습니까_130
5. 설교 시 예화가 너무 많아요_134
6. 설교가 하나님의 말씀이라고요? 목사의 말이 아니고요_138
7. 설교 동영상 게재를 중단해야 하지 않을까요_142
8. 선거 기간이라서 그런가요? 요즘 설교가 너무 정치적이에요_146
5부 : 성례
1. 잔만 받을 수는 없나요_152
2. 포도주스를 사용하면 안 되나요_156
3. 포도주에 물을 섞어도 됩니까_160
4. 성찬식 빵은 어떤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나요_164
5. 무릎 꿇고 떡과 잔을 받는 것이 좋아 보이는데요_168
6. 남은 떡과 잔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_172
7. 세례교인이 아니어도 성찬에 참여할 수 있을까요_176
8. 로마교회의 영세를 인정하지 않아야 할까요_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