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조님을 모시고 자격연수 (2007. 08)
내공건강지도사
이론과실제
비조 테허 조윤형
(영문학박사 대덕대학교수)
내공체술로그 해설 ...................................................................... 3
내공훈 ......................................................................................... 4
창안논고 ...................................................................................... 5
머리말 ........................................................................................ 10
격려사 ........................................................................................ 11
1. 내공체조 내용 ......................................................................... 12
1) 호흡법 운동 ......................................................................... 12
2) 세심기 운동 ........................................................................ 12
3) 기발양 운동 ........................................................................ 12
2. 내공체조 순서 ........................................................................ 14
3. 내공체조 연습 ........................................................................ 20
4. 내공체조의 건강 효과 ............................................................ 85
부록 1. 척추, 골반, 어깨, 임맥. 독맥 ........................................... 89
부록 2. 내공건강처방 ................................................................... 96
부록 3. 척추신경선 ..................................................................... 99
부록 4. 내공호흡 명상법 이론 및 실기 지도
부록 5. 내공체술 이론 및 실기, 내공체술 지도법, 급소응급처치
부록 6. 임독맥고르기, 뭉침고르기, 체형고르기
>>>>>>>>>> 00 <<<<<<<<<<
◉ 내공체조지도사 전문과정 (부록 3 )
◉ 내공명상지도사 전문과정 (부록 4 )
◉ 내공체술지도사 전문과정 (부록 5 )
◉ 건강처방지도사 321급 과정 (부록 1, 2. 6 )
@ 기본게시판 59 (척추디스크건강체조) 첨부파일 참고
●내공체술로그해설●
(1967.5.5)
상기의 마크와 로고 해설은 鼻祖․太虛․趙潤衡(英文學博士) 교수님의 創案이며,
內功体術을 쓰신 분은 鼻祖의 嚴父인 宇林․趙炳甲 선생님이다.
갓원-우주무극(無極) 둘째 원-음양태극(太極),
셋째 원-팔괘(八卦)를 상징함
*태극안의《》은 대우주의 음과 양의 기류(氣流)이며,
팔괘안의 ←◉→은 소우주 인간의 음과 양 기류(氣流)의 상징이며,
사람 모양은 몸 체(体)의 뜻으로 인간이 우주의 기운을 합일하는
내공체술의 형상이다.
*점(●) 4개는 우주 기운의 4계인 춘하추동을 상징한다.
연결된 점의 위는 천(天) 가운데는 인(人◉) 아래는 지(地)를 상징한다.
이에 인(◉)은 천과 지의 기운을 합일하는 내공의 본체이다
◎ 내공훈 ◎
『내공훈해설』
(1967.5.5)
상기의 內功訓은 鼻祖․太虛․趙潤衡(英文學博士) 교수님의 題字이고,
이를 쓰신 분은 鼻祖의 嚴父이신 宇林․趙炳甲 선생님이다.
내공체술은 아랫배호흡(內功)을 하면서 심신을 건강하게 만드는 몸놀림(体術)이다.
이는 스스로 심신心身을 다스려 건강健康과 득도得道를 지향하는 양생養生 구도법求道法이다.
●『고행삼매苦行三昧』
“내공체술 수련을 열심히 한다.” (열심히합시다)
이는 마치 새鳥가 아랫배의 깃털을 젖히고 알卵을 품어 새 생명 부화孵化에 열중熱中하듯이 스스로 심신건강과 득도를 위한 수련修鍊에 혼신渾身의 노력努力을 경주傾注함을 말한다.
●『월급월만越急越慢』
“내공체술 수련을 빠르게도 늦게도 하지 말고 적당하게 꾸준히 한다.” (꾸준히합시다)
이는 인생의 매사每事에 대한 처신處身을 온화溫和하고 평안平安한
마음과 몸으로 완급의 선善을 견지堅持함을 말한다.
●『진인수태眞人受胎』
“내공체술 수련으로 내단을 품은 사람이 된다.” (훌륭한사람이됩시다)
이는 아랫배호흡으로 내공력(內丹)을 도태道胎한 진인眞人․도인道人이 됨을 말한다.
.......>>>>>>> oo <<<<<<<.......
창안논고創案論考
鼻祖․太虛․趙潤衡 (英文學博士) 識 (1967. 5. 5)
-내공체술 근원-
내공체술內功体術은 한민족 고유의 전통 무용과 검무의 무태舞態를 근원삼아 창안된 한국 전통 건강운동이며 무술이다. 이는 신체운동에 의한 공간형식을 통하여 미적 평가와 가치판단을 표현하는 예술적 본질1)을 수용하는 천天․지地․인人의 도술道術인 심신일여心身一如의 원체형단무圓体形丹舞이다.
◎내공체술 “근원根源” 의「원형原型」시대적 고찰◎
체술의 본원本源은 무기를 사용하지 않고 맨 몸으로 단련하는 도술道術 이다. 이는 고조선 단군檀君시대 이래 한민족의 상무尙武 수련의 근간이 되는 삼국시대의 무예武藝와 병학兵學으로 발전했다.2) 체술은 단군조선의 국자랑國子郞 혹은 천지화랑花郞 제도, 고구려의 조의선인皁衣先人 제도, 백제의 무절武節-일본의 무사武士 제도, 신라의 화랑도花郞徒 제도의 주된 심신수련 과목이었다. 이는 고구려의 수隋, 당唐의 외침에 대한 조의선인의 육박전술: 연개소문의 살수대첩, 양만춘의 안시성대첩, 백제의 호신탁무, 신라의 화랑무술, 고려의 무인무술, 조선의 호국무예:「武藝圖譜通志」등으로 정립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창안된 「내공체술」은 내공(호흡)을 기반으로 하는 체술(호신술)로서 심신일여적 원체형 단무丹舞와 급소지르기(急所打) 등을 실전적으로 수련한다.
1. 고대 부족(部族)
「제천무(祭天舞)」→ ‘원체형단무’ 원형
고대 부족들은 부족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하여 제천의식을 행했다. 이는 부여(夫餘)의 12월「영고(迎鼓)」, 동예(東濊)의 10월「무천(舞天)」, 고구려의 10월「동맹(東盟)」, 삼한(三韓)의 「10월제祭」등이 있다. 이때 행해지는 제천의식의 가무는 농경과 수렵에 하늘의 축복을 기원하는 천인합일의 춤사위3) 로서 이 무태(舞態)는 인간 본연을 구현하는 내공체술의 원체형단무 원형이다.
2. 고구려(高句麗)
「열무(列舞)」→ ‘양손칼베기’ 원형
무용총 벽화에서 넓고 긴소매와 두루 마리 비슷한 웃옷을 입고 양손을 뒤로 쭉 뻗은 자세로 유연하게 열무를 추고 있는 무용도(舞踊圖)를 볼 수 있다. 이 무태는 내공체술의 ‘양손칼베기’ 원형이다.
「쌍쌍무(雙雙舞)」→ ‘호신공방술’ 원형
구당서에는 고구려의 무용은 무용수 4인이 머리 위로 상투를 틀어 올리고 이들 중 두 사람은 누런 상의에 붉고 누런 바지를 입고 긴소매에 검은 가죽신을 신고 “쌍쌍이 춤을 추고 있다”4)고 언급되어 있다. 이러한 무용총의 수박희와 각저총의 상박(相搏) 씨름은 내공체술의 ‘호신공방술’ 과 ‘걸어던지기’ 원형이다.
3. 백제(百濟)
「탁무鐸舞」→ ‘무기술’, ‘봉술무’ 원형
파종이 끝난 5월과 추수가 끝난 10월에 천신께 제사하고 가무를 즐겼다. 이때 제천의식으로 “목탁이나 방울을 흔들면서 탁무”5) 를 추었다. 이 무태는 내공체술의 ‘무기술’과 ‘봉술무’ 원형이다.
4. 신라(新羅)
「황창랑검무黃傖朗劍舞」→ ‘손칼무’ 원형
황창랑이 17세 때 단신으로 백제왕 앞에서 가면을 쓰고 춤을 추다가 왕을 살해했다는 살벌한 무무(武舞)의 검무(劍舞)6)가 전 해진다. 이 무태는 내공체술의 양손칼치기, 한손칼치기, 한손칼찌르기의 ‘손칼무’ 원형이다.
5. 고려(高麗)
「선무(船舞)」→ ‘노젓기’ 원형
초기의 궁중 무용으로 4인 검무와 6인 고구려 선유악무(船遊樂舞)7) 가 있었다. 이는 매우 유연하고 우아하며 아름다웠다. 선유악무에서 무녀들이 노래하면서 양쪽으로 나눠 서서 배를 끄는 무태는 내공체술의 ‘노젓기’ 원형이다.
6. 조선(朝鮮)
(1)「검무형(劍舞型)」→ ‘손칼연무’ 원형
신라의 황창랑 검무에서 유래되었지만 가면을 쓰지 않고 양손에 칼만 들고 춤을 추었다. 따라서 이 무태는 살벌한 무무의 기운은 없어지고 매우 유연하고 아름다운 춤사위인 검무 형으로 변형되었다. 이는 내공체술의 ‘손칼연무’ 원형이다.
(2)「무당무(巫堂舞)」→ ‘원형무’ 원형
무당이 굿할 때 삼선불(三仙佛)을 그린 부채를 펴들고 방울을 흔들면서 신(神)이 내리도록 빙빙 돌면서 춤을 추는 신접무(神接舞)이다. 이 무태는 내공체술의 심신일여의 ‘원형단무’ 원형이다.
(3)「살풀이 춤(舞)」→ ‘연무술’ 원형
살풀이춤은 머물 듯 한 자세에 진퇴(進退)와 선회(旋回)등을 정중동(靜中動)의 변화 속에 수반하는 무겁고 텁텁한 무태이다. 이는 내공체술의 ‘연무술 원형이다.
(4)「당악무(唐樂舞)」
「곡파(曲破)」→ ‘연무공방술’ 원형
당악무는 태종 때 비롯되었다. 죽간자(竹竿子)로 2명, 회팔선(回八仙) 주악리(奏樂裡)에 2명이 족답(足踏)하며 나아가 좌우로 나누어 선 다음 전구호(前口號)를 부른다. 이어 무원(舞員) 2명이 검수(劍手) 족답하던 차노교(借奴嬌)를 아뢰고 무작(舞作) 하다가 차노교 미전사(尾前詞)의 창가(唱歌)가 끝나면 여러 가지 주악(奏樂)에 따라 대(對) 배무(背舞)하거나 무진(舞進) 무퇴(舞退)하여 후구호(後口號)를 마지막으로 이 춤을 여민다. 이는 내공체술의 ‘연무공방술’ 원형이다.
(5)「향악무(鄕樂舞)」
「망선문(望仙門)」→ ‘다인연무공방술’ 원형
향악무는 순조 때 비롯된 춤으로 주작(奏雀) 4명, 집동무(執瞳舞) 2명으로 구성했다. 음악으로 채운학곡(彩雲鶴曲)을 향당교주(鄕唐交奏)로 아뢰면 주작선(奏雀扇) 4명이 나가고 이어서 집동(執瞳) 2명이 나가면 작선(雀扇)은 이내 작문(作門)한다. 이어서 대무(代舞)와 상배(相背) 다음에 둘이 엇바뀌어 하나는 유遊하여 먼저의 무용(舞踊)을 되풀이 한 다음 작문에 들어 놀고 물러나면 주작선 4명이 물러 나옴으로서 이 춤을 끝낸다. 이는 내공체술의 ‘다인연무공방술’ 원형이다.
◎ 수련 도복 ◎
조윤형은 내공체술 수련 도복을『한국복식』8)에서 원용하여 고안 착용했다.
1. 저고리 ․ 유(襦)
가. 명칭
윗저고리는 삼(衫), 유(襦), 박(襮), 단의(短衣), 위해(尉解), 저고리(赤古里) 등으로 불리어졌다. 유(襦)는 저고리의 기본형으로 일반적인 명칭이다. 저고리라는 용어는『조선왕조세종실록』에 처음 나온다.
나. 기본형
윗저고리의 길이를 허리 아래로 내려서 엉덩이 선 까지 오게 하고, 소매는 좁은 통형의 착수형(착수형)이며, 직령교임식(直領交袵式 : 곧은 깃에 여밈이 겹쳐지는 모양) 이다. 허리에는 띠를 매어서 웃저고리를 고정하였고 깃, 도련, 소매 끝은 저고리 바탕색과 다른 색상의 천으로 선(襈)을 두르고 있다. 이러한 저고리의 기본형은 남녀가 같으며 고구려, 백제, 신라 등 3국이 모두 같은 형으로 입었던 것 같다.
고구려의 무용총(舞踊塚)과 각저총 벽화에 그려진 무용도와 인물도의 저고리를 보면 무용할 때 입은 저고리의 소매는 손이 보이자 않을 정도로 길고, 깃은 직령교임식이며, 좌임(左袵)으로 여몄다. 깃, 도련 소매부리에는 무늬가 있는 선이 둘러져 있고 허리에 띠를 매어 앞에서 맺음을 하였으며 띠의 두 갈래 끝이 늘어져 있다.
쌍영총(雙楹塚) 벽화에서 볼 수 있는 저고리는 통구지방의 고분벽화에서 보는 저고리와 기본형은 같으나 소매가 조금 넓고 길어서 손이 보이지 않는 것이 많고 수구(袖口)가 넓고 선을 이중으로 두른 것이 보이며, 앞의 여밈 새는 우임(右袵)인 것이 많다. 일반적으로 옷이 너그럽고 여유가 있어 화평한 느낌을 주고 있다.
2. 바지 ․ 고(桍)
가. 명칭
바지는 고(桍), 곤(褌), 파지(把持), 가반(柯半) 등으로 기록되어있는데, 옷의 외형은 비슷하지만 옷의 재료와 용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다. 고는 지금의 폭 넓은 양복바지와 같으며 그 부리 끝에는 끈을 달아서 잡아 맨 듯하다.(고구려) 우리나라의 어휘로서는 현재 ‘바지’와 ‘고이’의 양형으로 호칭하고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청금고(靑錦桍), 적고(赤桍, 桍), 등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능고, 기타 중국사서(中國史書)에는 “궁고, 태구고, 대구고, 갈고, 적황고”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곤(褌)이라고 기록된 것은 고(桍)의 일종으로 홑옷의 내의용이니 작업용의 잠방이 같은 것이고, 가반은 신라어의 기록이며 파지는 조선왕조 초기에 ‘파지(把持)’라고 표현하였는데, 어떤 저고리 형에 대응해서 파지라 했는지는 모르지만 고를 호칭한 것 같다.
나. 기본형
고(桍)는 용도에 따라서 그 폭과 길이에 변화가 있다. 궁고는 폭이 좁은 바지이고, 대구고는 지금의 한복 바지와 같이 폭이 넓은 바지를 말하는 것이다(백제 식은 그 부리 끝에는 끈을 달아서 잡아 맨 듯 한 고구려 식과는 달리 매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바지는 남녀가 공통으로 입었으며 저고리와 같이 활동적이고 방한에 좋아서 실용적인 복식형태라 볼 수 있다.
3. 허리띠 ․ 대(帶)
가. 명칭
대는 혁대(革帶), 라대(羅帶), 은대(銀帶)로 기록되어 있어서 재료가 혁(革), 포(布), 라(羅), 금은동(金銀銅)으로 보이나 포백(布帛: 비단헝겊)이 대의 원형으로 생각된다. 대는 유(襦)나, 포(布)를 여미는데 필요하였고, 그 밖에 무기나 일상용품을 차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나. 종류
① 포백대(布帛帶)
포백대(布帛帶)는 주로 라(羅), 능(綾), 견(絹)을 사용하고 그 위에 금은사(金銀絲), 공작미(孔雀尾), 취선모, 수(翡翠毛, 繡) 등의 장식을 하였으며 금은과대(金銀銙帶)와 함께 미와 화려함을 다투게 되었다. 포백대는 그 성질로 보아 위엄을 갖추기 위한 과대를 필요로 하지 않는 연미용 평민용과 여인용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② 과대(銙帶)
과대류(銙帶類: 일종의 요대腰帶)는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는 볼 수 없는 반면 우리나라 남부 각지의 고분에서 출토되고 있다. 따라서 과대는 발전상황으로 보아서 주로 신라에서 발달되었다고 할 수 있고, 백제 고분에서도 과대의 잔결(殘缺)이 발견되고, 고구려에서는 기록에 의하여만 존재를 확인할 수 있으나 3국이 공통으로 있었던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무용총의 열무도 - 내공체술의 노젓기 원형
무용총의 수박도 - 내공체술의 공방술 원형
각저총의 무용도 - 내공체술의 걸어던지기 원형
*본 협회의 도복과 띠는 비조(鼻祖) ․ 태허(太虛) 조윤형님이 무용총, 각저총, 쌍영총에 있는 남녀의 윗저고리와 바지, 허리띠의 모양과 착용9)을 원용하여 내공체술의 수련 상황에 알맞게 창안했다.
이로써 도복의 상의는 고구려 복식으로 꽃 자주 깃을 넣은 저고리를 좌임하고(좌측깃위로), 하의는 남녀 공통으로 운동에 편리하도록 백제 복식 바지를 입고, 도복 띠는 아랫배-내공을 중요시하여 배꼽 앞에서 매듭 하여 양쪽으로 늘어뜨리도록 했다.
사단법인 한국내공체술협회
회장 대덕대학교수 영문학박사 조 윤 형
협회: 042-483-0669 연구실: 042-866-0466
E-mail : cho9005@empal.com taeher9005@hanmail.net
Home-http://cafe.daum.net/taeher
( daum / naver 카페〔검색〕→내공체술 )
.......>>>>>>>> oo <<<<<<<......
머 리 말
본인은 인류의 건강에 깊은 관심을 갖고 한 민족 고유의 전통 건강법과 무용舞踊, 검무劍舞의 무태舞態를 원형으로 근원 삼아 국적 있는 범 국민생활 건강 운동으로 내공체술을 서기 1967년 5월 5일 창안했다. 이를 서기 1991년 12월 12일 사회단체「한국內功体術협회」(THE KOREA NAE-GONG DANCING ASSOCIATION)로 2004년 9월 17일 『사단법인 한국내공체술협회』로 창립하여 보급에 힘쓰고 있다.
내공체술은 아랫배 호흡을 바탕으로 하는 몸놀림으로 스스로 시간과 장소를 구애받지 않고 심신을 화목하게 수련할 수 있는 심신건강 수양법이다. 이는 인간이 우주의 질서에 화합하는 심신일여心身一如의 구도적求道的 원체형단무圓体形丹舞로써 천天․지地․인人을 하나로 하는 도술道術이다.
내공체술은 준비운동으로 성인병과 척추디스크 질병을 예방 치유하는「내공氣체조(기체조)」, 남녀 노소가 심신 건강을 돌보는데 무리 없이 강약과 유연을 조절할 수 있는 체술, 상대가 치거나, 잡거나, 차거나 할 경우에 이에 치거나, 잡거나, 차지 않고 던지거나 제압하는 상호보완적 호신공방술護身攻防術을 수련한다.
NAE-GONG DANCING IS A HARMONIOUS MAN AND THE UNIVERSE
Nae-Gong(NG) means Breath-Power called the spiritual Ki (기氣) which is generated from the lower abdomen (아랫배下丹田) used to pour forth its Ki into a whole body (legs-feet, arms-hands) and to perform Nae-Gong Dancing, The human activity is originated from NG as a foetus was growing in womb.
Nae-Gong Dancing (NGD) that is the Korean Traditional Self Defense Art using the stream of Ki is not a way to fight but a way to unite the mind and body as one for harmonizing Man with the Universe. The stream of Ki on NGD is characterized on supplementing of Taekuek, Yin (-) and Yang (+).
NGD called Breath-Dancing (단무丹舞) which makes a way to unite the mind and body(심신일여心身一如) is performing to identify Man with the Universe. Like the willow's dancing maintains flexible its well balance to adjust the various wind and to bring out soft and strong strength for performing self defense.
필자는 본 협회의 일취월장하는 발자취를 가다듬어 강호 제현에게 널리 알리고 많은 지도와 편달을 수렴하여 약진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내공체술발전사를 펴내는 바이다.
갑신년 가을 武道院에서
사단법인 한 국 내 공 체 술 협 회
회장 영문학박사 鼻祖 ․ 太虛 ․ 趙潤衡 씀
협회: 042-483-0669 연구실: 042-866-0466
.......>>>>>>>> oo <<<<<<<......
격 려 사
작금의 우리나라 현실에서 간절하게 요구되는 것은
격기가 아닌 생활체육을 통한 심신건강운동입니다.
이에 대한 최선의 방편으로 氣를 운용하는 내공체술을 선택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입니다.
「내공氣체조(기체조)」는 성인병과 척추디스크 질병을 예방 치유하기 위한 ‘도인법(벤딩-스트레칭)’으로 일품이며,
내공체술은 아랫배 기력을 배양하고 이를 심신 행공의 기반으로
사용하여 정력을 양생 증대시키는 심신건강법입니다.
회장 조윤형 박사가 한민족 고유의 전통 무용, 검무, 무술, 각희,
족술, 유술, 상박 등을 고구려의 무용총과 쌍영총의 벽화나 각종 전문서적에서
이를 고찰 분석하고 30여 년 간 연구 개발하여
내공체술을 한국전통무예로 세상에 내놓은 것은
매우 자랑스러운 일입니다.
이를 스스로 심신건강을 돌보는 생활건강운동으로 수련한다면
그 가치의 지대함은 배가 될 것입니다.
또한 이는 성인들의 심신건강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현실적 시의에 매우 적당한
심신수양법입니다.
본인은 한국내공체술협회의 발전사 편찬을 축하하며
협회의 무궁한 발전과
회원들의 건강이 깃들길
기원합니다.
2003년 조춘 연구실에서
(사)한국내공체술협회고문
공주대학교체육교육학과교수
이학박사 강 충 식 씀
1. 내공체조 내용
1) 호흡법 운용
(호)임맥용천(呼)任脈→湧泉 → (흡)용천독맥(吸)湧泉→督脈→
(호)내쉼 →머리→배→단전→발바닥 → (흡)들이쉼 →발바닥→등→머리→
*아랫배 호흡으로 코들쉼과 입 내쉼을 하면서
〔동작을 전↔후 좌↔우 상↔하로 반분한다(安般守意 ↔ 導引推体)〕
*코들쉼과 입 내쉼 때 심신을 하나로 한다(意念呼吸 ↔ 心身一如).
2) 세심기(洗心氣) 운동
1세수하고-머리감고-목만지고-머리찍기 2귀비비고-후비기
3눈눌러비비기 4코(밑)비비기-잇몸두드리기 5손바닥비비기-치기
6손목굽히기-비틀기 7손깍지펴기-돌리기 8배누르기-문지르기-
두드리기 9가슴-어깨-팔뚝-손목두드리기- 쓸어내리기 10활개치기
11엉덩이두드리기 12미골두드리기 13신장두드리기~허리-등두드리기
14뒷짐당기기 15뒷손깍지끼고-뒤젖혀-들이쉬고, 앞숙여-내쉬기)
3) 기발양氣發揚 운동
① 기발양 순서 : 호간 (오~ 2호간, 4호간, 10호간, 15~20호간)
1배두드리기 2끌어당기겨-밀어올라기~받쳐내려-옆말기
3펴젖히고-여미기~펴젖히고-빗칼찌르기 4물살젖기(앞뒤)
5태극돌리기(안밖)
② 호흡법 순서 :
A. 양손칼치기 B. 한손칼치기 C. 한손칼찌르기
D. 장법掌法 :
1-2장지르기(얼굴) 3-4어깨잡고-겨드랑-쳐올리기
5-6수평-장젖히고-손등치기 7-8아래위-장교차(낭심)
9-10밀칼찌르기(목)
E. 수법手法 :
1-2밀칼찌르고-머리위-돌려베기 3-4위-빗찌르기
5-6손칼-목밀치기 7-8아래-빗찌르기 9-10엄지권-찌르기
F. 권법拳法 :
1-2엄지권찌르기(명치) 3-4내권치기(관자놀이)
5-6옆권지르기 7-8돌려치고-권지르기(얼굴) 9-10메주먹치기(머리)
G. 구르기受身投투법 :
1-2앞찔러던지기 3-4빗칼찔러던지기 5-6제쳐던지기
7-8돌려던지기 9-10뒤찔러던지기
H. 공방攻防투법 :
1-2돌려던지기 3-4걸어던지기 5-6앞채던지기
7-8틀어막고치켜던지기 9-10내려막고젖쳐던지기
I. 밀치기투법 :
1-2양손칼치기 3-4안빗겨-밀치기 5-6무릎받고-밀치기
7-8안어깨-밀치기 9-10안받고-목밀치기 11-12팔뚝감아-찔러던지기
13-14아래받고-빗쳐던지기 15-16옆막고-거들어밀치기
17-18위받고-장지르기 19-20양손칼치기
J. 발방어투법 :
1-2거들어-밀치기 3-4아래받고-장밀치기 5-6발채던지기(태극)
7-8틀어막고-치켜던지고 9-10앞채고-목밀치기
11-14빗칼질러넣고-장지르기 15-16손칼베기
17-20제쳐베고-걸어던지기
*****들이쉼******
21-24빗칼질러-던지기(태극) 25-28들쳐-던지기(태극)
29-30들쳐-원그리고-뒷목치고-양손칼치기
2. 내공체조 순서
◎서서 :
○무릎운동(들이쉬고-내쉬며: 무릎굽혀펴기, 무릎-좌우눌러붙이고-상체틀기,
-슬관절, 경추-요추)
○허리운동 (들이쉬고-내쉬며 : 엉덩이-밀어돌리기, 골반고관절 이완 조이기,
-요추)
○목운동 (들이쉬고-내쉬며 : 목돌리기-허리운동, 골반, 고관절 이완, -경추)
○숨고르기 (상체앞숙여-들이쉬고, 상체뒤젖혀-허리내리밀어-내쉬기,
-단전, 양신장, 요추)
○팔운동 (원으로-들이쉬고, 뒷목치고-양손칼베며-내쉬기, 굴신,
아랫배-양손칼찔러올려-들이쉬고, 뒷목치고-양손칼베며-내쉬고
-장단지 쓸기, 굴신, 하지정맥)
○팔뚝운동 (들이쉬고-내쉬며, ①팔뚝-당기고젖히기 ②손바닥-젖히고당기기
③어깨잡고팔뚝받쳐-올리고내리기 ④손등-당기고젖히기, 견박비,경추)
◎앉아서 :
○무릎누르기(발바닥맞대고, 들이쉬고-내쉬며, 무릎누르며-굽혔다폈다-좌우틀기, -상체굽혀무릎눌러-내쉬기- 골반고관절이완,좌골,흉추)
○상체굽혀펴기 (발뻗고무릎누르고, 상체뒤젖혀발끝배땡겨- 들이쉬고,
-상체굽혀발끝뻗어무릎눌러-내쉬기, 굴신,복근)
○배두드리기 (손바닥쥔주먹 배가슴) - 발뻗고앉아서, 단전,요추)
○무릎펴기-포개기(4자무릎굽혀펴고-포개고-발목잡고상체세워배땡겨-들이쉬고, -상체굽혔다펴고-좌우틀기- 내쉬기, -골반, 고관절조이기-좌골, 경추,흉추, 요추)
○무릎짚고고관절누르기 (-발목당기기-발뻗고펴기, 골반,고관절이완,굴신)
○뒤짚고앉아무릎세우고 (-눕히기, 발-바닥치기-복숭뼈-발꿈-종아리 -요추, 하지정맥)
○발가락뻗기 (발뻗고상체굽혀, 발끝배땡겨-들이쉬고, 발끝뻗어-내쉬기 -굴신,신장)
○발등누르기 (발뻗고상체굽혀, 발끝배땡겨-들이쉬고, 발등눌러-내쉬기 -굴신, 신장)
○상체내밀기 (발바닥붙이고-발목잡고, 팔꿈치무릎누르며-상체굽혀배땡겨
-들이쉬고-가슴배내밀고-고개뒤로젖혀-내쉬기-골반고관절 이완, 심폐-경추)
○상체제끼기 (발목잡고, 팔꿈치무릎누르며-상체굽혀배땡겨- 들이쉬고,
-상체뒤로젖혀-내쉬기 -골반, 고관절이완, 심폐, 경추)
○무릎누르기 (발목잡고, 팔꿈치무릎누르며-상체굽혀배땡겨- 들이쉬고,
-상체세워무릎눌러-내쉬기, 골반고관절이완, 심폐, 경추)
◎앉아서뒤구르고 :
○허리발목두드리기 (무릎세우고앉아서-뒤구르고- 들이쉬고,
-내쉬며-허리-발목두드리기 -양신장, 경추, 흉추, 요추)
○무릎굽혀펴기 (허리발목두드리기-이어서-무릎받쳐-상하굽혀펴기-경추, 흉추, 요추)
○무릎좌우밀기 (무릎굽혀펴기-이어서-무릎수평밀기 -골반, 고관절이완, 경추, 요추)
○일어나기 (앞뒤~좌우(100회) -요추, 흉추, 골반, 대퇴부)
○누워서무릎세우고-배두드리기-누르기-문지르기 (손바닥-쥔주먹- 배가슴-두드리기)
○발흔들기 (두발위로-좌우흔들기-뻗기 -골반고관절이완, 요추, 발목이완)
○무릎눕히기(무릎세우고-들이쉬고내쉬며 -골반고관절조이기, 경,흉,요추)
◎앞짚고무릎앉아서 :
○어깨구르기 (왼다리뻗고, 오른어깨밀어넣고-들이쉬고-내쉬며-무릎굽혀펴고
-왼굴러앉기 / -들이쉬며-뒤구르고, 내쉬며-오른앉기 -경추,어깨)
○어깨구르기 (오른다리뻗고, 왼어깨밀어넣고-들이쉬고-내쉬며-무릎굽혀펴고
-오른굴러앉기 / -들이쉬며-뒤구르고, 내쉬며-왼앉기 -경추, 어깨)
◎앞짚고무릎꿇고 앉아서 (엄지발가락포개고, 무릎3주먹-발벌리고) :
*남- 오른엄지발가락 왼엄지발가락위에 포개고
*여- 왼엄지발가락 오른엄지발가락위에 포개고
○가슴내밀기 (앞짚고, 배땡겨-들이쉬고, 가슴배내밀고-고개뒤로젖혀-내쉬기
-경추, 흉추)
○고양이호흡 (앞짚고, 등올려-들이쉬고, 앞짚고-내쉬기-골반고관절이완,
-경추, 흉추, 요추)
○두손무릎뻗기 (무릎앉아서, 상체굽혀배땡겨-들이쉬고,
-상체뒤로젖히며-무릎위에두손뻗어-내쉬기-고관절이완, 발목, 경추, 심폐)
○두손위뻗기 (무릎앉아서, 상체굽혀배땡겨-들이쉬고,
-가슴쓸어올리고-목만지고-세수하고-두손위뻗어- 내쉬기- 척추 신전)
○두손옆뻗기 (무릎앉아서, 상체굽혀배땡겨-들이쉬고,
-가슴쓸어올리고-두손옆뻗어-내쉬기- 골반이완, 경추, 심폐)
○기내려밀기 (무릎앉아서-뒤짚고, 배땡겨-들이쉬고, 고개뒤로젖혀-내쉬기-
-취허뢰손풍)
○배들어올리기 (무릎앉아서-뒤짚고, 배땡겨-들이쉬고, 배들어올려-내쉬기-
-경추, 요추)
○두손위뻗기 (무릎앉아서-그대로드러눠서, 발끝배땡겨-들이쉬고,
-가슴쓸어올리고-목만지고-세수하고-두손위로뻗어-내쉬기-발목, 요추)
◎누워서 :
○발흔들기 (허리두손(등)찔러넣고-두발위로하고-좌우흔들기-뻗기-
-양신장, 요추, 발목)
○무릎눕히기 (허리두손(등)찔러넣고-무릎세우고-들이쉬고내쉬기-
-경추, 흉추, 요추)
○배두드리기 (누워발뻗고-손바닥-쥔주먹- 배-가슴두드리기 -복부, 경추)
○발목돌리기 (두발뻗고-들이쉬고-내쉬며- ①페달밟기 ②발목돌리기(안-밖)
-흉추, 골반)
○대자로숨쉬기 (대자로누워서-들이쉬고-내쉬기- 전신이완)
○손발뻗기 (두발붙이고, 발끝배땡겨-들이쉬고 -가슴쓸어올리고-목만지고
-세수하고-손발뻗어-내쉬고-배가슴두드리기 -사지 신전)
○좌우틀고손뻗기①(왼발뻗고, 오른발엉덩이에대고-오른손겨드랑-찔러넣고
-상체왼쪽으로틀고 -발끝배땡겨-들이쉬고, 오른손위바닥잡고-내쉬고
-옆두드리기) -경추, 흉추, 늑골)
②(오른발뻗고, 왼발엉덩이에대고-왼손겨드랑찔러넣고-상체오른쪽으로틀고
-발끝배땡겨-들이쉬고, 왼손위바닥잡고-내쉬고-옆두드리기)- 경추,흉추,늑골)
○개구리뻗기 ①(두발바닥붙이고, 왼손-왼무릎눌러잡고-오른손겨드랑찔러넣고
-상체왼쪽-틀고-무릎배땡겨-들이쉬고,오른손위바닥잡고-내쉬고-옆두드리기
-경추, 흉추, 좌골)
②(발바닥붙이고, 오른손-오른무릎눌러잡고- 왼손겨드랑찔러넣고-
-상체오른쪽으로-틀고-무릎배땡겨-들이쉬고, 왼손위바닥잡고-
-내쉬고-옆두드리기-경추, 흉추, 늑골)
○엉덩이밀어틀기(한무릎세우고-한발뻗고-발끝배땡겨-들이쉬고, -무릎눕혀
-엉덩이밀어넣고-고개틀어-내쉬고-엉덩이허리두두리고-만세
-한바퀴구르기(좌우)-경추, 흉추, 요추)
○무릎당겨틀기 (한무릎세우고-한발뻗고-두손무릎잡고-발끝배땡겨-들이쉬고,
-당기고-밀며-고개틀어 내쉬고-엉덩이허리두두리고
-만세-한바퀴구르기(좌우)- 경추, 흉추, 요추)
○책상다리뻗기 (한발뻗고-책상다리하고(좌우), 발끝배땡겨- 들이쉬고, 뒤뻗어
-내쉬고-(12)- 무릎가슴대기(34)-책상다리(56)
-무릎세워땡기기(78) -경추, 흉추, 요추, 골반, 고관절)
◎누워서-뒤집고무릎세우고앉아서 :
○무릎내쉬기 (발올려-들이쉬고, 발끝땡기며-고개들어-무릎내쉬기(좌우)
-경추, 복근)
○발뻗어내쉬기 (발올려-들이쉬고, -발뻗어발날잡고-고개틀어-내쉬고
-엉덩이허리두드리기(좌우)- 경추, 흉추, 요추)
○손발바닥비비고치기- (손발위들어-비비고-치기- 노궁용천활기)
○발바닥붙여뻗기 (발바닥붙여땡겨-들이쉬고, 뒤로뻗어-내쉬며허리두드리기-
-양신장, 미추, 좌골, 골반)
○발목받쳐뻗기(발목받쳐땡겨-들이쉬고,위-뒤-좌-우-뻗고-고개틀어
-내쉬기(좌우) -양신장,요추, 복근, 골반-고관절조이기)
◎무릎꿇고(엄지발가락포개고-무릎3주먹벌리고)앉아서 :
*남- 오른엄지발가락 왼엄지발가락위에 포개고
*여-왼엄지발가락오른엄지발가락위에 포개고
◎호흡법(호간) :
양손칼치기(4), 한손칼치기(4), 한손칼찌르기(4), 장掌법(10),
수手법(10), 권拳법(10), 구르기受身투법(10), 공방攻防투법(10),
안팎받기(6동작10), 밀치기투법(20), 발방어투법(30)
◎뒤짚고무릎세우고앉아서 :
○발들어좌우로 흔들기-좌우로뻗기-무릎세워좌우로눕히기
○무릎-발꿈바닥치기(복숭뼈-발꿈-종아리) 요추,하지정맥
◎발바닥맞대고앉아서 :
○기고르기 (발바닥맞대고앉아서-들이쉬고, 내쉬며- 오금지허벅지- 무릎장단지
-발등발바닥밀어내리기-고관절 이완, 하체고르기)
○좌우틀기 (앞숙여무릎누르고-올려-들이쉬고, 내쉬기(좌,우)- 골반,경추,흉추)
○무릎뒤구르기(무릎잡고앉아서, 배땡겨-들이쉬고, 뒤로뻗어(당기기)
-내쉬기-천골, 요추, 경추)
○손깍지뒤구르기 (발바닥붙이고앉아서, 손깍지끼고발날잡고, 배땡겨-들이쉬
-뒤로뻗어(당기기)-내쉬기 -요추, 경추)
◎누워서 :
○풍뎅이호흡 (발바닥맞대고발날잡고누워서-손깍지끼고
배땡겨-들이쉬고 -좌우뻗어-고개틀어-내쉬기- 경추,흉추)
○발엮어뻗기 (발엮어발날잡고, 땡겨-들이쉬고,뒤로뻗어(당기기)-내쉬기-흉추, 경추)
○앞발뒤뻗기 (앞발잡고, 땡겨-들이쉬고, 뒤로뻗어(당기기)-내쉬기-흉추, 경추)
○발꿈치차기 (앞발잡고땡겨-들이쉬고-내쉬며-발꿈차기 (전,후,좌,우,두발)-
-흉추, 경추, 고관절)
○등고르기 (앞발잡고땡겨-들이쉬고-내쉬기- 흉추, 뱃살제거)
◎두발벌리고앉아서 :
○기밀어내리기 (들이쉬고-내쉬며,오금지-허벅지두드리고-밀어내리기-심폐, 고관절)
○무릎밀기 (들이쉬고-내쉬며, 무릎-눌러밀기- 무릎, 고관절)
○발등잡기 (발끝배땡겨-들이쉬고, 왼~오른발등잡고-내쉬기-굴신,옆구리틀기)
○앞굽히기 (발끝배땡겨-들이쉬고, 팔꿈치앞집고- 내쉬기- 좌골,고관절)
○발등밀기 (발끝배땡겨-들이쉬고, 두발등밀어-내쉬기- 등판,고관절이완)
○두드리기 (들이쉬고-내쉬며, 오금지-허벅지두드리기- 두발뻗고-
-대퇴부두드리기, 허벅장단지두드리기)
○발목돌리기 (책상다리- 발목돌리기-발가락풀기- 좌우)
○손깍지풀기 (당기기-돌려앞뻗기-좌우뻗기)
◎뒤집고앉아서 :
○무릎눕히기 (무릎세우고, 발끝배땡겨-들이쉬고, -무릎눕혀-엉덩이밀어넣고
-고개틀어-내쉬고(좌우)- 엉덩이허리두두리기- 경추, 흉추, 요추, 골반)
○발엮어뻗기 (발X엮어땡겨-들이쉬고, -발뻗어-엉덩이밀어넣고-고개틀어
-내쉬고(좌우)- 엉덩이허리두두리기- 경추, 흉추, 요추, 골반)
○뒤구르고 ①허리발목두드리기 ②무릎세우고-배가슴두드리기
③두손엉덩이받치고-두발흔들기뻗기)
○숨고르기 (1분간 편히누워- 심신이완)
◎구르기 :
*뒤구르기, 앞구르기, 멀리구르기, 옆구르기, 토끼뜀 ↔오리걸음
○만세구르기 (구르고-누워-만세부르기-전신이완)
○굴러앉기 (앞구르고-일어나앉기- 척추굴신)
○멀리구르기 (서서, 앞-옆-멀리구르기- 척추굴신)
○뒤구르기 (앉아서, 배땡겨-들이쉬고-내쉬며, 뒤구르고, 일어나기- 척추굴신)
○허리발목두드리기 (앉아서, 배땡겨-들이쉬고~내쉬며, -뒤구르고,
허리~발목두드리기 -흉,요추)
○토끼뜀오리걸음 (들이쉬고-내쉬며, 앞~뒤 토끼뜀뛰고~오리걸음걷기-
-경추, 흉추, 요추, 고관절)
◎앉아서-엎드려서 :
○배들기호흡 (무릎꿇고앉아서뒤짚고, 배땡겨-들이쉬고, 배들어올려-내쉬기)
○악어호흡 (두손가락짚고엎드려, 배들어올려-들이쉬고, 배대고-손발뻗어
-내쉬기)
○두꺼비호흡 (다섯손가락짚고-엎드려, 배들어올려-들이쉬고, 배대고-손발뻗어-내쉬기)
○벽타기 (엎드려, 들이쉬고~내쉬며-두무릎벽타기)
○활호흡 (엎드려두발목잡고-활자세, 들이쉬고~내쉬며-당기기)
○팔굽펴기 (다섯손가락집고-엎드려, 들이쉬고~내쉬며-팔굽혀펴기)
3. 내공체조 연습- 도인추체 ․ 벤딩스트레칭
(사단법인 한국내공체술협회 체술원 1991. 12. 12.)
내공체술은 ‘내공’(成氣)을 기반으로 하는‘체술’(如水)로서 심신을 유연하고 바르게 고르는 체조(体操)인 ‘내공체조’와 심신일여의 원체형단무(丹舞)인 ‘내공체술’그리고 인체 부위(部位)의 급소(急所)를 지르고 치고 차는 ‘급소지르기’등으로 분류한다.
내공체조는 아랫배호흡(氣呼吸)을 안반수의(安般守意)하면서 몸을 틀고 젖히는 도인추체(導引推体)의 도인술(導引術)이다. 이는 성인병과 척추디스크 질병을 예방 치유하는 매우 효과적인 벤딩 스트레칭 운동이다. 그 까닭은 수련자가 아랫배호흡으로 배 힘을 강화해서 허리와 요추를 건강하게 하여 신체를 부드럽고 유연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서서, 앉아서, 누워서, 엎드려서 몸을 전-후-좌-우로 젖히고-당기고-밀고하는 틀음자세에 아랫배호흡을 안반수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틀음자세는 우리 신체의 운동을 전후좌우로 도인추체하여 목-경추 ․ 등-흉추 ․ 허리-요추 ․ 엉덩이 꼬리뼈-선추-미추 등의 척추 부위와 관절을 바로 잡아주어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원활하게 한다. 이는 수련자가 스스로 자신의 척추 부위와 관절에서 발생하는 디스크 질병과 이 부위에서 유발되는 신경계 및 내장기 질병 등을 예방 치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의 부록 5는 조윤형 교수가 1993년 중도일보 ‘건강칼럼’에『호흡과 활력』으로 기고한 내용이다. (기본게시판 59 척추디스크건강체조 첨부파일 참고)
4. 내공체조의 건강효과
(사단법인 한국내공체술협회 체술원 1991. 12. 12.)
● 내기공유호흡 (올려들이쉬고 ↔ 내리쉬기)
◎ 호임맥용천(呼)任脈→湧泉 → 흡용천독맥(吸)湧泉→督脈→
(호)내쉼 →머리→배→단전→발바닥 → (흡)들이쉼 →발바닥→등→머리→
● 혈풀기
◎ 손비비고 - 손뼉치고
- 위장기능 증진 딸꾹질-손바닥누룸 조치
- 심폐 활력화, 기분 전환, 차멀미-손가락 하나하나 주무름 조치
- 감기, 소화불량, 예방치료
◎ 세수하고 - 머리찍기
- 신장, 심장기능 증진
- 혈압조절, 뇌혈류 증진, 머리 탁기(濁氣) 제거
- 머리털, 두피 노화 예방치료
◎ 목감싸고 - 턱틀기
- 혈압, 뇌 혈류 증진 조절
- 시(視) 신경 강화, 어깨 근육 활력 증진
- 감기, 중풍, 편도선 예방치료
● 세심기
◎ 귀비비고 - 후비기
- 이명(耳鳴)현상 해소 청각기능 증진
- 몸 균형 조정 감기 두통 해소
- 신장, 콩팥, 두통 질병 예방치료
◎ 눈눌러 - 비비기
- 현기증 해소 내장기능 증진
- 머리 편두통 해소, 내장-밸런스 안정
- 눈 피로, 사기(邪氣) 제거, 백내장, 노화 예방치료
◎ 코눌러 - 비비기
- 코의 혈류증대, 후각기능 향상
- 납작코, 주먹코 교정
- 알레르기성 비염, 축농증, 감기 예방치료
◎ 손깍지 밀기 - 돌리기 - 비비기
- 어깨에서 팔에 걸친 근육 굳음, 오십견 예방
- 간장 내장 노화 방지, 소화기능 증진
- 손발 저림, 빈혈 ,안면마비, 기미 예방치료
● 서서 팔운동 - 상체굽혀손바닥바닥대기
- 지체(肢體) 팔다리, 허리 유연 탄력성 유지
- 위장 신장기능, 뇌혈류 촉진
- 요추헤르나 삐끗 허리, 방광 노화 예방치료
● 앉아서 발가락 뻗고 - 당기기 - 발등누르기
- 내장기능 증진, 위장병, 당뇨병, 갑상선 질병 예방
- 요추 꼬리뼈(尾骶骨)지구력 강화, 심미적 정서 증진
- 발가락 종아리 혈류 증대, 정맥류(靜脈瘤) 예방치료
● 앉아서 뒤구르고 - 일어나기(아랫턱무릎사이닿기)
- 목 허리 배 방광 꼬리뼈의 노화 예방
- 심미 정서 감정 조절 유연 생활 적응
- 위장병 동맥경화 당뇨병 고혈압 갑상선 질병 예방치료
● 앉아서 뒤구르고 - 허리발등두드리기
- 등 근육 유연, 신장 탄력성 강화
- 경추 목 뇌혈류 증대, 중풍 예방
- 복부 수축, 울혈, 위장 간장 비장, 만성변비 예방치료
● 앉아서 발바닥 맞대고 - 비비기 - 발벌려허벅지밀기
- 발 발바닥 다리 노화 예방, 정력, 성기능 증대
- 발가락 사기, 무좀, 티눈 제거
- 신장, 서혜부 혈류 증진, 방광 전립선 신장염 예방치료
● 앉아서 무릎포개고 - 좌우틀기
- 허리 가슴 균형 교정
- 내장기능 증진, 쾌변, 식욕증진, 숙취해소
- 좌골 교정, 좌골신경통 예방치료
● 책상다리 앉아서 - 좌우두손허벅지누르기
- 등 허리 결림, 손발 저림 해소
- 눈 귀 머리 맑아짐
- 감기, 편두통, 관절염 예방치료
● 책상다리 앉아서 - 좌우두손장딴지누르기
- 등 뻐근, 목 허리 노화 예방
- 장딴지 정맥혈류 증대 향상
-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부비강염 예방치료
● 책상다리 앉아서 - 좌우활당기기
- 가슴 답답, 어깨 관절 통증 해소
- 심폐, 소화기능 향상
- 오십견, 급성요통, 부정맥 심부전 갑상선염 예방치료
● 무릎앉아서 앞집고 - 고양이자세
- 등뼈 가동 범위, 심폐기능 향상
- 흉추 신경 흡수 능력 증대
- 소화불량, 요추헤르나 예방치료
● 무릎앉아서 - 두손위뻗기
- 어깨 근육 이완, 심폐기능 향상
- 뇌파 안정, 혈압 조절
- 상체 체형 조정, 오십견 예방치료
● 누워서 일어나 앉으며 - 양손두발누르기
- 정력 강화, 하지혈류 증대
- 하체 노화 예방, 탄력 유연성 강화
- 간장 위장 생식기관 질병 예방치료
● 누워서 발끝당기고 - 뻗기 - 페달밟기
- 발목의 근육 신경기능 증대
- 백내장, 녹내장 노화 예방
- 발가락 종아리 혈류 증대, 쥐남, 정맥류 예방치료
● 누워서( 큰大자 ) - 숨고르기
- 심신안정, 휴식상태 뇌파안정 조절
- 부교감신경 기능 향상, 혈압 조절
- 인체 내의 분비선 기능 촉진, 체온 조절
● 누워서 상 하체 - 좌우틀고-엉덩이허리두두리기
- 요추 신장 기능 증진
- 비뇨 발한 기능 조절
- 방광염 다한증, 손발부종, 전립선염 예방치료
● 누워서 책상다리 - 뒤넘기고 좌우틀기
- 요추 흉추 가동 범위 확대
- 심폐기능, 뇌혈류 증대
- 소화불량, 어지럼증, 빈혈 예방치료
● 엎드려 담 오르기 - 두발잡고 활 자세
- 심폐기능 향상, 두근거림 해소
- 흉추 흡수능력 향상
- 정력m 성기능 증진, 좌골신경통 예방치료
● 업드려 악어호흡 - 사마귀자세
- 심폐 신장기능 증진, 비뇨 배설기능 향상
- 가슴 엉덩이 탄력 유연, 피부 미용 증진
- 비만 조절, 소화불량, 변비 예방치료
● 업드려 두꺼비호흡 - 메뚜기자세
- 성호르몬 분비 원활, 정력 강화
- 흉추 요추 좌골 교정, 신경기능 향상
- 하반신 균형, 자궁 교정, 좌골신경통 예방치료
부록 1. 척추, 골반, 어깨, 임맥, 독맥
부록 2
❁☀ 내 공 건 강 처 방 ☀❁
(사단법인 한국내공체술협회 체술원 1991. 12. 12.)
우리의 건강은 척추의 건강과 비례한다. 우리 인간의 척추는 경추-목뼈, 흉추-등뼈, 요추-허리뼈, 천추-자리뼈, 미골-꼬리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인체 구조를 유지하게 하고 내부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과 자체 내에서 피를 만드는 조혈(造血) 작용을 한다. 척추가 바르면 이의 등골脊髓 반사가 정상으로 반응하여 우리의 몸이 건강하게 된다. 이 건강 처방은 척추 부위별에 따른 증상과 반응의 질병을 치유하고 건강을 유지 할 수 있는 내공체조와 지압으로 분류 했다.
◉ 척추 부위별 증상에 따른 체조 지압 조치 ◉
◎ 경 추 - 목 부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