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바닥통증
#족저근막염 #발바닥 #물리치료 #진통소염제
#무조건휴식이최우선
발바닥 통증 - 그 원인은 무엇인가?
☆ 원인과 증상
어떤 부상도 달리기로 인한 족저부에의 스트레스가 원인
달리기에 의해 직접 자극을 받는 발바닥에는 손과 같이 뼈, 건, 관절, 신경 등이 밀집해있다. 통증의 원인도 여러가지 있지만 달림이에게 특히 많은 것은 다음의 5가지 부상이다.
종골에서 전족부에 걸쳐 연결되어 있는 발바닥의 건막(그림-1)이 아픈 '족저근막염'은 발바닥의 안쪽 뒤꿈치에 가까운 부분이 아픈 경우가 많지만 개인에 따라 통증을 느끼는 부위가 약간 다른 경우도 있다. 이것과 헷갈리는 것은 발바닥 맨 뒤의 뒤꿈치가 아픈 '종부결합직염'(지방조직의 염증)이라는 부상도 있다(그림-1 참조). 두 경우 모두 지나친 달리기나 신발의 안창이 얇아진 것이 원인으로, 달리기를 시작할 때 통증이 강한 경향이 있다.
족저부 부근의 통증은 일상생활에서의 구두가 원인인 경우도
발바닥에서도 전족부를 주목해보면 우선 '모지종자골장해'라는 엄지발가락의 부착부 관절의 족저부가 아픈(그림-3) 증상이 있다. 달릴 때 차고 나가는(kick) 딱 그자리로 만져보면 알 수 있지만 뼈가 튀어나와 있기때문에 눌러보기 쉬운 부위이기도 하다.
또 발가락의 부착부분에서 발등에 걸쳐 중족골이라는 5개의 뼈가 있는데 특히 발가락 제3지와 제4지 사이에 끼어있는 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부상이 모톤병(그림-3)이다.
이 2가지 증상은 여성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힐이 높은 구두나 전족부가 좁은 구두를 착용할 경우 그게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중족골의 피로골절도 달림이에게 많은 증상이다.
☆ 치료와 대책
정형외과에서 진단을 받아보고 부위에 의해 패드를 사용하거나 신발을 다시 살펴보자
발바닥 통증은 어느 부위가 아픈가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르므로 의사의 진단을 받아 보는 게 좋다. 바로 안정을 취하고 그 후도 처치를 게을리하지 않으면 개선되는 증상들이다.
족저근막염이나 종부결합직염으로 진단을 받은 경우는 신발의 아치패드(특수 인솔)를 사용해보도록 하자. 아치부위의 근력이 약한 사람이나 노화에 의해 아치부위가 내려앉은 경우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평발도 마찬가지) 그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또 족저근막의 스트레칭(그림-2)도 반드시 실시하도록 하자.
또 쿠션이 좋고 솔이 두터운 신발로 바꿔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솔의 두께가 몇mm 달리 하는 것만으로도 발에 걸리는 힘은 몇십 kg이나 달라지므로 평소에 뒤꿈치부위 마모상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안정된 후 실시하는 것이 제일이겠지만 약간이라도 훈련을 하고 싶다면 증상이 개선되기까지는 자갈길이나 급경사, 딱딱한 아스팔트를 피하고 트레드밀(러닝머신)에서 훈련을 실시하게 되면 부담이 가벼워진다. 바르는 약도 자주 발라주는 게 좋다.
종자골장해에 대해서는 도너츠모양의 패드를, 모톤병의 경우도 아치패드를 사용해보자. 또 훈련시에도 일상생활에서도 낮은 힐로 발 둘레에 여유가 있는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참고로 안창이나 패드는 달리기전문 가게나 정형외과에서 만든 것을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증이 좀처럼 줄어들지 않을 때는 약물요법이나 온열요법이 필요할 경우가 있지만 진통제주사 등을 맞으면서까지 훈련을 실시하는 것은 절대 피하는 게 좋다. 족저근막염과 같이 수술요법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 마스터스 달림이의 경우는 매우 드물다.
글 : 탄노 류묘(일본 치바현 마츠도시 시립병원 정형외과 부장)
:: 개인적인소견 ::
일단
족저 진단은 젤 기본이 아침에 자고 일어나거나 장거리운전후 첫발을 디딜때 아프면 족저가 100% 맞습니다.
발가락과 뒷꿈치가 아닌 발바닥이 아프시다면
진통소염제와 물리치료는 전혀 도움이 안됩니다.
조금만 걸어도 발바닥에 불이난다면 무조건 운동은 중단해야 합니다.
무조건 쉬어 주어야 합니다.
2~3주안에 가라앉으면 그때부터 약간의 스트레칭이나 바닥에 작은봉을 두고 발바닥 굴리기 등을 해줍니다.
혈액순환이 좋아야 빨리 치료가 가능하니까요.
그리고,
다음날 악화가 안되면 본격적으로 서서히 운동하시면 됩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제가 족저근막이 좀 심합니다.
저도 엄지발가락이 계속아픈데걱정입니다
부상 방지는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