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계 NFT 시장규모가 지난해 9월말 현재 59억달러, 2025년에는 800억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Despite concerns, NFT craze set to expand into fashion, entertainment
우려에도 불구하고 NFT 열기는 패션, 엔터테인먼트로 확산
NFT market likely to reach new high, driven by clothes and fan merchandise this year, experts say
전문가들은 올해 의상, 팬 상품 등으로 NFT 시장은 신기록을 세울 것으로 전망
By Byun Hye-jin 변혜진 기자
Published : Jan 2, 2022 - 16:03 Updated : Jan 2, 2022 - 16:11
Korea Herald
The nonfungible tokens market, which first sent the art industry into a frenzy, is expected to take a deep plunge into the fashion and entertainment world, amid fast-growing interest in making new money using the blockchain technology. 처음에 예술시장에 진입하여 열기를 일으킨 NFT 시장은 블록체인기술을 사용한 새로운 화폐에 대한 급속히 증가하는 관심속에 패션과 엔터테인먼트 시장에 깊숙이 뛰어들 것이 예상된다.
NFTs are digital tokens of physical or digital assets, mostly of music or art. Through the blockchain, every NFT can be verifi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 signature of an artist or a creator. A buyer can thus hold ownership over something that is one of a kind. NFT는 대부분 음악이나 미술품의 실물 혹은 디지털 자산의 디지털 토큰이다. 블록체인을 통해서 모든 NFT는 신원확인 번호 나 미술가 또는 예술가의 서명을 확인할 수 있다. 구매자는 이런 물건의 소유권을 가질 수 있다.
At first, the blockchain-backed digital assets tapped into the art world. Reeling in big money, the NFT fever has spread to other industries such as fashion and entertainment as well.
처음에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신이 예술계에 진입했다. 큰돈을 수반하며 NFT 열기는 패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확산되었다.
Nike, the global apparel giant, has already applied for a patent to launch an NFT platform dubbed “CryptoKick.” When a consumer buys a pair of shoes, a digital representation of those shoes can be generated thorough the CryptoKick platform. 글로벌 섬유거대기업인 나이키는 “크립토킥”이라는 NFT 플랫폼을 개시하고 특허를 신청했다. 소비자가 신발 항 켤레를 사면 그 신발의 디지털 판이 크립토킥 플랫폼을 통해서 생성된다.
“Using the platform, consumers could safely resell the real-world pair of shoes and a digital version of them without the concerns of counterfeits. In a way, the NFT sneaker acts as an authenticity certificate, truly proving they are original sneakers,” said Park Sung-joon, head of the Blockchain Research Center at Dongguk University. “플랫폼을 사용해서 소비자들은 실제 신발과 디지털 버전을 가짜에 대한 염려없이 안전하게 재 판매할 수 있다. NFT 상의 신발은 그것이 진짜 신발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보증서 역할을 한다.”고 박성준 동국대학교 블록체인 리서치센터장은 말했다.
CryptoKick also allows customers to mix and match the designs of two digital shoes to create their own customized tangible pair of shoes, according to Nike.
나이키에 의하면 크립토킥은 소비자가 두개의 디지털 신발을 조합해서 실제 새로운 신발을 만들 수도 있다.
In August, Burberry dropped its NFT collection in Mythical Games’ Blankos Block Party blockchain game. It sold 750 NFTs of “Sharky B,” a shark character that has Burberry’s monogram engraved all over, within 30 seconds. The NFT’s price, originally $300 apiece, was sold for over $1,000 on the game’s marketplace among gamers.
8월에 버버리는 Mythical Games 회사의 Blankos Block Party blockchain game의 NFT 콜렉션을 출시했다. 출시한지 30초만에 버버리의 모노그램이 새겨진 상어모양의 “Sharky B”의 NFT가 750개나 팔렸다. NFT의 가격은 300달러였는데 게이머들 사이에 거래되는 게임시장에서 1,000달러 이상으로 팔렸다.
Also, Louis Vuitton’s parent company LVMH, Prada and Cartier have joined forces to form the Aura Blockchain Consortium to issue a digital proof of authenticity for their products. 루이비통의 모회사인 LVMH와 까르띠에는 자사상품의 디지털 증명을 위한 오로라블록체인 컨소시엄을 같이 만들었다.
The consortium will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product’s lifecycle as well. 이 컨소시엄은 상품의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세부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Sharing the lifespan of a product will be a smart way to secure customers. The NFT platform of luxury fashion brands can send phone notifications to customers when they have grown tired of wearing the same clothes or shoes. Suggesting new product lines could encourage them to visit the brands’ brick-and-mortar stores,” Park said. “상품의 수명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소비자를 보호하기위한 현명한 방법일 것이다. 럭셔리 브랜드들의 NFT 플랫폼은 소비자들이 같은 옷과 신발을 신는 것이 싫증날 때 전화로 알려 줄 수 있다. 새로운 상품을 브랜드의 매장에 방문해서 볼 수 있도록 한다.”고 박씨는 말했다.
Market insiders say one of the next hot trends in the NFT market seems to be “meta-shopping,” selling and purchasing NFT fashion items that will only ever exist in the metaverse, virtual communities that let users interact with avatars in real time. 시장관계자는 NFT 시장의 새로운 핫 트렌드는 VFT 패션아이템을 실시간으로 사용자들이 아바타를 통해서 소통하는 가상의 사회인 메타버스를 통해서 사고파는 것이다.
Recently, Korean fashion tech startup Oscar Futurera has opened its NFT meta-fashion platform, OFOTD, and announced that it will sell a digital version of K-pop star Lee Hyo-ri’s outfit that she wore at the 2021 Mnet Asian Music Awards. The platform photoshops the digital dress onto photos, after which buyers can also upload the pictures on Instagram or Twitter. 최근 우리나라의 패션 테크 스타트업인 오스카퓨처러가 NFT 메타패션 플랫폼인 OFOTD 를 열었고 K 팝스타인 이효리가 2021 MAMA(Mnet Asian Music Awards)에서 입었던 의상의 디지털 버전을 판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플랫폼은 구매자가 인스타그램이나 트위터에 업로드 할 수 있다고한 후 디지털 드레스를 사진으로 만들었다.
Fashion is not the only arena NFT platform operators are hoping to piggyback on celebrity fame. 패션만이 운영하는 분야는 아니고 NFT 플랫폼 운영자는 연예인의 명성에 편승하기를 바라고있다.
Dunamu, the operator of the Korea’s largest crypto exchange Upbit, agreed in November to join hands with Hybe, the powerhouse behind the K-pop boy band BTS, and form a joint venture that will develop and issue NFTs such as BTS photo cards.
우리나라의 최대 암호화폐거래소인 업비트의 운영자인 두나무는 11월 팝 보이밴드 BTS를 관리하고 있는 Hybe 와 협업하기로 동의했고 BTS 사진카드 등 NFT를 개발하고 발행할 합작기업을 만들었다.
Other popular music stars are showing heightened interests in NFTs.
다른 인기 음악 스타들은 높아진 NFT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있다.
Famed rapper Snoop Dogg has sold 1,000 NFT party passes to join him in a “Private Ethereum Metaverse Party.” The tickets were sold for around $3,440, according to Sandbox, a gaming platform who created the NFT.
유명한 래퍼 스눕덕은 “프라이빗 이더리움 메타버스파티”에 참가할 수 있는 NFT 파티 입장권 1,000개를 팔았다. NFT를 제작한 게임 플랫폼 샌드박스에 따르면 티켓이 3,440달러 정도에 팔렸다.
Snoop Dogg is also building a replica of his mansion, where fans could join in on live concerts taking place in the NFT house in the “Snoopverse” metaverse. An unnamed person paid $460,750 to buy a plot of virtual land next to his NFT residence, according to media reports.
스눕덕은 또한 “스눕버스”라는 메타버스의 NFT 하우스에서 열리는 라이브 콘서트에 팬들이 참가할 수 있는 그의 집의 모형을 건설했다. 미디어리포트에 의하면 한 익명의 사람이 그의 NFT 집 옆에 가상의 땅을 사기위해 460,750 달러를 지불했다.
“NFTs targeting celebrity fans lies on their desire to show support by buying merch or concert tickets or to identify themselves with their wannabes,” said Lee Eun-hee, a consumer science department professor at Inha University.
NFT는 콘서트 티켓을 사서 연애인에 대한 지원을 하고 우상에 대한 자신의 존재를 부각하는 팬들을 목표로 한다.” 고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이은희교수는 말했다.
Concerns over NFT frenzy NFT
열광에 대한 우려
However, concerns loom over the fledgling market as some market players lack an understanding of the legal restrictions related to the copyrighted work.
그러나 일부 시장참여자들이 저작권작업에 관련된 법적인 제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초기시장에 대한 우려가 있다.
For instance, Hermes recently lambasted the NFT sale of “Meta Birkins,” a Birkins bag NFT created by digital artist Mason Rothschild. The collection was sold for 230 ethereum, around $936,000, according to the auctioneer OpenSea.
예를 들어 에르메스는 최근 디지털 아티스트 마손 로스챠일드가 제작힌 NFT 벌킨백인 “메타벌킨”의 NFT 판매를 비난했다. 경매회사 오픈시에 의하면 이 작품은 230 이더리움, 약 936,000 달러에 팔렸다.
According to reports, Hermes denied the legitimacy of such trading, saying the company didn’t give consent to the commercialization or creation of their Birkin bag.
보고서에 의하면 에르메스는 벌킨백의 창작작업이나 상업화를 허가한 적이 없다고 말하며 이러한 거래의 합법성을 부정했다.
Wannabe International, a Korean PR agency behind an auction company, tried to sell the works of some of the country’s renowned modern painters -- Lee Jung-seop (1916-1956), Kim Whan-ki (1913-1974) and Park Soo-geun (1914-1965) -- that were owned by several art collectors.
한국의 경매회사 이며 PR회사인 워너비 인터내셔널은 미술품 수집가들이 소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저명한 미술가의 – 이중섭(1916-1956), 김환기(1913-1974), 박수근(1914-1965) – 작품을 판매하려고 했다.
The family of the deceased who hold the copyrights to the works strongly criticized the agency. The art collectors and the agency apologized for the scandal.
작품의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유족들은 회사에 강력하게 항의했다. 수집가들과 회사는 이 사건에 대해 사과했다.
Still, experts painted a rosy outlook for the NFT market.
그러나, 전문가들은 NFT 시장을 밝게 전망하고있다.
“Every new industry driven by innovative technology can be chaotic before it is stabilized. But with regulations such as mandating NFT platforms to act as a gatekeeper for preventing copyright infringement, I think the future is bright for NFT,” said Park.
모든 새로운 산업은 안정될 때까지 혼란 스러울 수 있다. NFT 플랫폼이 저작권침해를 방지하는 감시자로서 역할 할 수 있는 규정과 함께 NFT의 장래는 밝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박씨는 말했다.
Driven by the NFT craze, the global NFT market is expected to reach new highs in the coming years.
NFT 열기에 의해 글로벌 NFT 시장은 향후 새로운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된다.
According to data from global NFT market tracker Nonfungible.com, the worldwide transaction volume of NFT has already surged by 1,699 percent on-year to $ 5.9 billion in the third quarter this year. The NFT market size is expected to double this year and reach $80 billion by 2025, data showed.
세계적인 NFT 시장전문 포탈인 Nonfungible.com에 의하면 지난 해 3분기현재 전세계 NFT 거래금액은 59억 달러로 전년대비 1,699% 상승했다. 데이터에 의하면 NFT 시장규모는 올해 2배로 성장하고 2025년에는 80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NFT # CryptoKick #두나무 #업비트 #메타벌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