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집 제5권 / 서(序)
무송 유씨 족보 서(茂松庾氏族譜序)
송치규(宋穉圭) 찬(撰)
[생졸년] 1759(영조 35)~ 1838(헌종 4) 수(壽) 79세
나는 목천(木川) 현감(縣監) 유공(庾公)의 묘표(墓表)를 선조의 글에서 읽어 본 적이 있다. 그 재기(才器)가 보통 사람을 뛰어넘지만 지위가 덕행과 어울리지 않는 것을 애석하게 여겼다. 또 유씨(庾氏)가 실로 고려 왕조의 명문대가였지만 지금은 우뚝 떨쳐 일어나지 못하는 것을 안타까워하기도 하였다.
어느 날 목천공(木川公)의 후손 광택(光澤)이 자세하게 조사하고 와서 나에게 말하기를 “우리 일족이 족보를 정리하여 간행하고자 합니다. 한 마디 말을 주시면 책의 권두에 붙이고자 하는 것이 여러 친척들의 소원입니다.”라고 하였다. 나는 글솜씨가 부족하고 병들어 정신이 혼미하다는 말로 사양하였으나 그 요청이 대단히 간절하였다.
생각건대, 유씨(庾氏)는 모두 고려 태사(太師) 충절공(忠節公)을 시조(始祖)로 삼는다. 충절공은 태조 왕건(王建)을 도와 삼한(三韓)을 통합하여 평산(平山 황해도에 있음)에 봉(封)해졌다. 평산에 봉지를 받은 뒤로부터 무송(茂松)으로 본관을 옮긴 사람은 태자소보(太子少保) 안정공(安貞公)이다.
이로부터 여러 대에 걸쳐 공(公)과 경(卿)이 줄을 잇듯이 나오고 효성과 우애를 실천하며 청백리로 소문난 사람이 대대로 역사책에 끊이지 않고 기록되었다. 특히 시랑공(侍郞公)의 높은 충성이 어찌 우뚝하지 않겠는가. 우리 조선이 천명을 받아 개국하자 시랑공의 후손 유하(庾賀)는 정포은(鄭圃隱 정몽주(鄭夢周))의 문도로서 벼슬을 하려 하지 않아 광주(光州 전라도)로 귀양살이를 가게 되었고, 이에 자손들이 남녘땅 사람이 되었다.
이것 또한 다른 족보에서 듣지 못했던 것이다. 따라서 목천공(木川公) 및 추헌공(楸軒公)과 추봉공(秋峯公) 부자는 그 지절(志節)의 훌륭함이 1백 년 지나서도 사람들의 존경을 받을 만하며, 그것이 유래가 있어서 진실로 속일 수 없는 것이다. 아! 영달하고 영달하지 못하는 것은 본래 운명이고, 수양하고 수양하지 못하는 것은 오직 자기 자신에게 달려 있다.
유씨(庾氏)가 비록 대단히 보잘것없이 되었지만 이미 족보가 만들어져서 각각 그 내원을 알게 되었다. 진실로 내외(內外)의 분간을 잘 밝히고 서로 삼가며 힘써서 효도와 공경을 도탑게 행하여 선조들의 업적을 사라지지 않게 할 것을 생각한다면, 어떤 사람들이 그들을 가볍게 여길 수 있겠으며 집안 명성을 다시 크게 떨칠 수 있을 것이다.
유씨는 힘써야 하지 않겠는가. 나는 견식이 좁은 사람으로, 외람되게도 서문을 써 달라는 부탁을 기회로 하여 공들의 실제 사적을 자세하게 알 수 있었고, 또 유씨가 우리 집안과의 우애가 깊은 것이 목천공 한 계파만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나서 크게 다행으로 여겼다. 이에 엉성한 글솜씨를 잊고 대략 이 글을 써서 그의 간절한 뜻에 보답한다.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노재준 박해당 권민균 (공역) | 2015
-----------------------------------------------------------------------------------------------------------------------------------------------------------
[原文]
茂松庾氏族譜序 - 宋穉圭
余嘗讀木川縣監庾公墓表於先文中。惜其才器超凡。而位不稱德。又歎庾氏實前朝大族。而今頗不振。一日木川公後孫光澤檢來謂余曰。吾族方修譜而刊印。幸賜一言。以弁諸卷。諸宗之願也。余辭以無文且病昏。而其請甚力。按庾氏。皆祖於高麗太師忠節公。忠節佐太祖統合三韓。而受封於平山。自平山受封。移籍于茂松者曰太子少保安貞公。自是累公累卿。孝友淸白。代不絶書。而若侍郞公之危忠。尤豈非卓然者耶。我朝受命。侍郞公之裔曰賀。以鄭圃隱門徒。不肯從仕。謫于光州。子孫遂爲南土人。此又他譜之所未聞也。然則木川公及楸軒公秋峯公父子。其志節之偉然。百載之下。足令人起欽。而其有所自來。誠不可誣矣。嗚呼。達不達固有命。而修不修惟在己。庾氏雖甚零替。旣譜系而各知其來處矣。苟能明於內外之分。而相與戒勖。惇行孝悌。思所以不沫前徽。則人孰敢少之。而庶幾乎家聲之復振。庾氏其勉之哉。余以固陋。猥因序文之托。得詳諸公實蹟。又知庾氏之於吾家誼分之深。不但木川公一派而已。則爲幸大矣。遂忘拙而略書此。以謝其勤意焉。<끝>
강재집 제5권 / 서(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