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왕상18:16
하나님과 언약을 맺은 이스라엘이 뻔뻔하게 공식적으로 가나안의 바알과
아세라의 이름으로 제단을 쌓고 선지자와 대결을 벌입니다. 여호와도
섬기지만 성공을 위해 바알이 주는 복을 굳이 외면하지 않겠다는 기회주의
태도입니다. 주님도 인정하실까요?
Israel, who has a covenant with God, brazenly builds an altar in the name
of Baal and Asherah in Canaan and confronts the prophet. Jehovah also
serves, but he is an opportunistic attitude that he will not turn a blind eye
to the blessings of Baal for success. Will the Lord acknowledge that?
-
오늘 본문은 ‘누가 비를 주관하는 신인가?’의 대단원을 향해 가는 결론
부분으로, 엘리야가 바알의 선지자들과 갈 멜 산에서 대결하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이 대결은 하나님께서 주관하셨고 기꺼이 응하신 대결입니다.
바알이 참 신인지, 여호와가 참 신인지 보여주기 위한 신들의 맞짱입니다.
Today's text is the conclusion to the grand finale of Who's the God Who's
in charge of Rain? and it's about Elijah confronting the prophets of Baal on
Mount Galmel. Of course, this competition was organized by God and was
willing to accept it. It's a battle of gods to show whether Baal is a true god
or Jehovah is a true god.
-
오바댜의 주선으로 엘리야와 아합이 3년 만에 다시 만납니다(16). 오바댜는
아합에게 헛되게 죽는 것이 두려워서 엘리야를 통해 하나님의 뜻을 확신했고,
엘리야의 단호한 맹세로 용기를 얻었습니다. 특히 “만군의 여호와께서 살아
계심을 두고 한 맹세(10)”로 오바댜는 하나님을 향한 신뢰로 충만해졌습니다.
Elijah and Ahab meet again after three years thanks to Obadiah's arrangement
(16). Obadiah was afraid to die in vain by Ahab, so he convinced Elijah of
God's will, and was encouraged by Elijah's firm oath. In particular, Obadiah was
filled with trust in God with "the oath (10) made by Jehovah of all armies to live."
-
그가 죽을 각오로 아합을 찾아가 엘리야를 만나도록 주선하였지만 자기에게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야곱이 형, 에서를 만나기 전에 심히 불안해
떨었던 경우와 같습니다. 오바댜가 다시 본 여호와 하나님은 “만군의 여호와”
이셨습니다. 아합은 엘리야를 만나자, “이스라엘을 괴롭히는 자(17)”라고 말합니다.
He made an arrangement to visit Ahab and meet Elijah in the hope of dying,
but nothing happened to him. It's like when Jacob trembled with anxiety before
meeting his brother, Esau. The Lord God whom Obadiah saw again was "the
Lord of all armies." When Ahab meets Elijah, he says, "The Israelite bully (17)."
-
그는 엘리야가 바알에 대해 반항하였기 때문에 바알이 분노하여 비를 내리지
않았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그러나 엘리야는 담대하게 진실로 되받습니다.
“내가 이스라엘을 괴롭게 한 것이 아니라 당신과 당신의 아버지의 집이 괴롭게
하였으니 이는 여호와의 명령을 버렸고 당신이 바알들을 따랐기 때문(18) “
이라고 반박하였습니다. 진정으로 “이스라엘을 괴롭게 하는 자”는 아합이었습니다.
He thought that because Elijah rebelled against Baal, Baal was angry and did not
rain. But Elijah boldly takes back the truth. "I have not troubled Israel, but you and
your father's house have troubled him, and this is because you have abandoned
Jehovah's orders and you have followed the Baals (18)," he retorted. It was Ahab
who truly "treats Israel."
-
그가 여호와의 명령을 버리고 바알을 섬기므로 여호와의 진노가 임한 것입니다.
그러나 서로의 주장에서 상대의 의견을 수용할 여지가 전혀 없습니다. “엘리야가
백성에게 이르되 여호와의 선지자는 나만 홀로 남았으나 바알의 선지자는 사백오십
명이로다(19)” 엘리야는 아합에게 유리한 조건을 걸고 바알 선지자와 단판을 요청합니다.
He abandoned Jehovah's orders and served Baal, so Jehovah's wrath came.
But there is absolutely no room for acceptance of each other's opinions in each
other's arguments. "Elijah said to the people, I am the only prophet of Jehovah,
but there are four hundred and fifty prophets of Baal (19)."
Elijah asks for a single match with the prophet Baal on the terms in Ahab's favor.
-
갈 멜 산은 므깃도 평원을 넘어 지중해가 내려다보이는 곳에 있습니다.
이곳은 바알의 신령한 장소이었습니다. 그곳에 바알의 선지자 450명과 아세라의
선지자 400명 도합 850명을 모으라고 제안하였습니다.
엘리야는 단신으로 갈 멜 산 정상에서 그들과 단판을 지겠다고 한 것입니다.
바알의 선지자는 450명, 아세라의 선지자는 400명 도합 850명입니다.
Mount Galmel is over the plains of Megiddo, overlooking the Mediterranean Sea.
This was a spiritual place in Baal. There, 450 prophets of Baal and 400 of Ashera
proposed to gather a total of 850. Elijah offered to make a single decision with
them at the top of Mount Galmel. The prophets of Baal are 450, the prophets of
Asherah are 400, a total.
-
그러나 정작 갈 멜 산에서 나타난 사람들은 바알의 선지자 450명뿐입니다.
그 이유에 대해 학자들은 대개 세 가지 의견을 내놓고 있습니다. 우선은, 바알의
선지자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므로 아세라 선지자는 참석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다음은, 원래 바알의 선지자인데 아세라 선지자도 겸직하였으므로 바알의
선지자가 참석했다는 의견입니다.
But only 450 of Baal's prophets appeared on Mount Galmel. Scholars usually
have three opinions on why. First of all, the visionary of Baal was mainstream,
so the visionary of Asherah was not present. The following is the opinion that
the prophet of Baal, who was originally a prophet of Baal, also served
concurrently as a prophet of Baal was present.
-
즉, 바알의 선지자와 아세라의 선지자가 엄격히 구분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아합 왕의 요청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왕비 이세벨이 엘리야 한
사람과 대결하는 데에 바알 선지자 450명으로 충분하다고 판단되어 그들만
보냈다는 견해입니다. 마지막 것이 통설입니다. 당시 갈 멜 산이 바알의 성지로
여겨졌기 때문이며, 이세벨이 후에 엘리야를 죽이려고 그렇게 억척스럽게 덤벼
드는 것을 보면 방심했다고 여겨집니다.
In other words, the prophet of Baal and the prophet of Asherah are not strictly
separated. Finally, despite King Ahab's request, it is believed that 450 Baal
prophets were sufficient for Queen Jezebel to confront Elijah, so they were sent
alone. The last one is the norm. This is because Mount Galmel was considered
the holy site of Baal at the time, and it is believed that Jezebel was careless to
see him later so forcefully attack Elijah.
-
바알의 선지자들은 그들의 규례를 따라 피가 흐르기까지 칼과 창으로 몸을 상하게
했습니다. '그들의 규례'란 바알의 예배 형태대로란 말입니다. 그들은 제사 시 주술을
외우는 것과 춤을 추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 때 칼과 창이 등장하는데 무기를
든 것은 자기 몸을 상해함으로 바알의 주목을 끌기 위해서였습니다.
The prophets of Baal followed their regulations and wounded themselves with
knives and spears until blood flowed. "Their Regulations" are in the form of Baal's
worship. It was common for them to memorize magic and dance during ancestral rites.
At that time, knives and spears appeared, and the weapon was taken to attract
Baal's attention by injuring himself.
-
피가 흐르기까지 자해하는 관습은 피가 신비한 효능으로 신을 감동시킨다는 미신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열왕기 하에 따르면 엘리야의 용모는 특이했던 것 같습니다.
허리에 가죽 띠를 띠고 털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바알이여! 응답하소서!
참 신자와 거짓 신자, 참 사역자와 거짓 사역자를 가르는 기준은 무엇인가?
The custom of self-harming until blood flows was because there was a superstition
that blood touched God with mysterious effects. Elijah's appearance seems to have
been unusual according to the Ten Kings. Because he had a leather belt around his
waist and had a lot of hair. Baal! Please respond! What is the standard that
distinguishes between true and false believers, true and false ministers?
-
안셀무스는 하나님을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가장 위대한 어떤 것"
이라고 정의했답니다. 그런데,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어떤 것은
실제로 존재해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상상할 수 없지만
존재하지 않는 것'보다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상상할 수 없지만 존재하는 것'이
더 위대하기 때문이지요.
Anselmus defined God as "something greatest that cannot think of anything greater
than that." And by the way, something that you can't think of anything greater than
that actually has to exist. Because "I can't imagine anything greater than that, but I
can't imagine anything greater than that, but it exists" is greater than "I can't imagine
anything greater than that, but it doesn't exist."
-
따라서 그것보다 더 위대한 것을 생각할 수 없는 어떤 것이 하나님이라면, 하나님은
그 본성상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 안셀무스의 하나님 존재증명의 대략적인
논의입니다.
Therefore, if it is God who cannot think of anything greater than that, God must
exist by his nature, the rough discussion of Anselmus' proof of God's existence is that.
-
이것을 단순하게 도식화한다면,
전제1: 하느님은 가장 위대한 것이다.
전제2: 가장 위대한 것은 실제로 존재해야 한다.
결론: 따라서 하느님은 존재한다.
If we were to schematize this simply,
Premise 1: God is the greatest thing.
Premise 2: The greatest must actually exist.
Conclusion: therefore God exists.
-
엘리야와 아합의 논쟁(16-18)
엘리아, 바알, 아세라 대결 제안(19-20)
갈 멜 산 대결을 준비함(21-24)
바알 제사장들의 실패(25-29)
-
오바댜가(16a)
가서 아합을 만나 그에게 말하매(16b)
아합이 엘리야를 만나러 가다가(16c)
엘리야를 볼 때에(17a)
-
아합이 그에게 이르되(17b)
이스라엘을 괴롭게 하는 자여 너냐(17c)
그가 대답하되(18a)
내가 이스라엘을 괴롭게 한 것이 아니라(18b)
-
당신과 당신의 아버지의 집이 괴롭게 하였으니(18c)
이는 여호와의 명령을 버렸고(18d)
당신이 바알들을 따랐음이라(18e)
그런즉 사람을 보내(19a)
-
온 이스라엘과(19b)
이세벨의 상에서 먹는(19c)
바알의 선지자 사백오십 명과(19d)
아세라의 선지자 사백 명을(19e)
-
갈멜 산으로 모아(19f)
내게로 나아오게 하소서(19g)
아합이(20a)
이에 이스라엘의 모든 자손에게로 사람을 보내(20b)
-
선지자들을 갈멜산으로 모으니라(20c)
엘리야가(21a)
모든 백성에게 가까이 나아가(21b)
이르되 너희가 어느 때까지(21c)
-
둘 사이에서 머뭇머뭇 하려느냐(21d)
여호와가 만일 하나님이면 그를 따르고(21e)
바알이 만일 하나님이면 그를 따를 지니라 하니(21f)
백성이 말 한마디도 대답하지 아니하는지라(21g)
-
엘리야가 백성에게 이르되(22a)
여호와의 선지자는 나만 홀로 남았으나(22b)
바알의 선지자는 사백오십 명이로다(22c)
그런즉 송아지 둘을 우리에게 가져오게 하고(23a)
-
그들은 송아지 한 마리를 택하여(23b)
각을 떠서 나무 위에 놓고 불은 붙이지 말며(23c)
나도 송아지 한 마리를 잡아(23d)
나무 위에 놓고 불은 붙이지 않고(23e)
-
너희는 너희 신의 이름을 부르라(24a)
나는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리니(24b)
이에 불로 응답하는 신(24c)
그가 하나님이니라(24d)
-
백성이 다 대답하되 그 말이 옳도다. 하니라(24e)
엘리야가 바알의 선지자들에게 이르되(25a)
너희는 많으니(25b)
먼저 송아지 한 마리를 택하여 잡고(25c)
-
너희 신의 이름을 부르라(25d)
그러나 불을 붙이지 말라(25e)
그들이 받은 송아지를 가져다가 잡고(26a)
아침부터 낮까지 바알의 이름을 불러 이르되(26b)
-
바알이여 우리에게 응답하소서. 하나(26c)
아무 소리도 없고 아무 응답하는 자도 없으므로(26d)
그들이 그 쌓은 제단 주위에서 뛰놀더라(26e)
정오에 이르러는(27a)
-
엘리야가 그들을 조롱하여(27b)
이르되 큰 소리로 부르라(27c)
그는 신인즉 묵상하고 있는지(27d)
혹은 그가 잠깐 나갔는지(27e)
-
혹은 그가 길을 행하는지(27f)
혹은 그가 잠이 들어서 깨워야 할 것인지 하매(27g)
이에 그들이 큰 소리로 부르고(28a)
그들의 규례를 따라(28b)
-
피가 흐르기까지 칼과 창으로(28c)
그들의 몸을 상하게 하더라(28d)
이같이 하여 정오가 지났고(29a)
그들이 미친 듯이 떠들어(29b)
-
저녁 소제 드릴 때까지 이르렀으나(29c)
아무 소리도 없고(29d)
응답하는 자나(29e)
돌아보는 자가 아무도 없더라(29f)
-
선택 앞에서 주저하는 이스라엘_
Israel hesitant in the face of choice
바알에게 유리한 게임 룰_
The rules of the game in Baal's favor
신의 존재 대결_
God's battle of existence
-
갈멜산 대결을 주선하시고 응하신 주님,
어두움과 생명이 극명하게 드러나게 하시어 그 잘못의 원인을 제거
하시어 생명은 생명으로 더욱 밝아지게 하시고 어두움은 다정한
기억으로 그리 바뀌게 하소서. 내 속 괴로움 그리 그렇게 녹이소서.
그리하여 거짓 신들의 달콤한 이야기들이 나무하는 땅에서 거룩한
고집스러움으로 도도하게 사는 성도가 되게 하옵소서.
The Lord who arranged and responded to the Mount Galmel showdown,
Let the darkness and life be clearly revealed so that the cause of the
fault is eliminated so that life may be brighter with life and darkness may
be turned into a friendly memory. May my distress melt away like that.
Let the sweet stories of false gods be saints who live proudly with holy
stubbornness in the land of trees.
2023.10.19.wed.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