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김종민, 잘봐달라며 검사 인사 청탁”… 김종민 “참고하라 했을뿐”
작년 7월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회의장에서 열린 법무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대화를 하는 모습./뉴시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지난해 12월 김종민 민주당 의원으로부터 한 검찰 간부의 사표수리와 관련해 인사청탁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추 전 장관은 “(김 의원이 검찰개혁 관련) 이런 식으로 자기 미화를 하거나 나를 공격하지 않으면 이것도 얘기 안 하려 했다”며 김 의원이 자신을 먼저 공격했다고도 했다.
김 의원은 지난 19일 추 전 장관을 향해 “추미애 장관은 검찰개혁을 위해 열심히 싸웠는데 당에서 뒷받침을 안 해줬다고 주장했는데 사실이 아니다”, “추 후보가 이낙연 후보에게 개인적으로 무슨 불만이나 원망이 있는 듯한 그런 뉘앙스도 느껴진다”고 지적하며 양측 갈등이 불거졌다.
그러자 추 전 장관은 지난 21일 본인의 유튜브 채널에서 라이브방송을 진행하며 “김 의원이 인사청탁을 했다”고 주장했다. 추 전 장관은 “작년 12월 당시 서울중앙지검 1차장이 사의를 철회하겠다고 해서 ‘낙장불입’이라고 일축했다”며 “그런데 이 친구가 김 의원을 찾아가 ‘장관을 상대로 항명한 게 아니니 사표를 안 낸 걸로 해달라’고 말했고, 김 의원이 ‘잘 봐줄 수 없나요’라며 검사 대변인처럼 민원성 인사청탁을 내게 해왔다”고 주장했다.
당시 서울중앙지검 1차장이었던 김모 검사는 이성윤 중앙지검장에게 동반 사퇴를 건의하며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추 장관은 이에 대해 “항명이었다”며 “이성윤 검사장이 당황해서 반차까지 썼다”고도 했다.
추 전 장관의 주장에 대해 김종민 의원은 본지 통화에서 “당시 그 검사가 사의를 표명했지만 실제 사의가 있는 것은 아니고, 주변에서 압박이 있었다는 제보가 있어서 추 당시 장관에게 참고하라고 알린 것”이라며 청탁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이어 “추 장관이 ‘해당 검사를 실제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고 하기에, ‘알겠다’고 했을 뿐”이라고 했고, “해당 검사와는 일면식도 없다”고 했다.
★김종민, 이낙연 비판한 추미애에 “정치적 의도로 사실 왜곡”
더불어민주당 대권 주자인 추미애 후보가 14일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민주당 대권주자인 추미애 후보를 향해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사실을 왜곡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앞서 추 후보가 경쟁주자인 이낙연 후보에게 “검찰개혁에 대한 책임을 회피했다”는 취지로 발언한 데 따른 반응이다.
김 의원은 14일 페이스북을 통해 “검찰개혁 이슈를 경선판에 끌고 와 정치적 공격에 이용하는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 검찰개혁의 깃발을 훼손하는 일”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당시 (이낙연) 지도부는 다른 건 몰라도 검찰개혁에 관한 한 추미애 지도부, 이해찬 지도부보다 훨씬 더 강하고 단호한 의지를 가지고 검찰개혁을 추진했다”며 “일부에서 속도조절론도 나왔지만 당지도부는 일관되게 원칙대로 간다는 입장을 견지했다”고 말했다.
이어 “결과적으로 검찰개혁특위가 수사 기소 입법을 마무리하지 못했다. 국민과 당원의 검찰개혁 열망에 온전히 부응하지 못했다는 점은 사실”이라면서도 “‘추미애는 열심히 했는데 당지도부가 책임회피했다'는 식의 정치적 주장은 옳지 않다”고 했다.
그는 “그러면 반대쪽에서는 추미애의 자기 정치 때문에 검찰개혁이 어려워졌다고 공격할 것”이라며 “이런 식의 정치적 공방으로 이 문제를 끌고 가면 안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추 후보가 진정 검찰개혁을 위한 사명으로 출마했다면 지금해야 할 것은 전임 지도부 공격이 아니다”라며 “검찰개혁은 아직 미완이다. 시대적 과제이자 국민의 명령이다. 우리 모두의 지혜와 힘을 하나로 모아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추 후보는 앞서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이 후보를 겨냥해 “그냥 우아한 말로 정치가 되지는 않는다”며 “신뢰를 잃었다. 힘이 있던 때 못했는데 그러면 앞으로 또 어떻게 해내겠느냐”고 했다.
그는 “국무총리 시절에는 대단히 안정감을 갖고 했다고 평가하고 인정한다. 그러나 당대표로서 점수를 드린다면 ‘빵점’”이라고 말했다. 지지층이 등을 돌린 원인으로는 검찰개혁 실패를 꼽으며 “지난 2월 중대범죄수사청 설치 법안 발의를 당내에서 한다고 했는데 검찰개혁특위에 맡겨만 놓았다. 대표가 약속하고 추진력 있게 해야 (상임위가) 돌아가는데 책임회피 (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