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 드 만(Paul de Man) 연보
폴 드 만(Paul de Man, 1919년 12월 6일 생~1983년 12월 21일 몰; 향년 65세)
예일학파(Yale School)의 창시자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 폴 드 만(Paul de Man), 해럴드 블룸(Harold Bloom), 제프리 하트만(Geoffrey Hartman), 힐리스 밀러(Hillis Miller) 등의 예일대학교 문학부 교수 비평가 집단
벨기에 출신 예일학파의 대표적인 비평가
벨기에 출신 미국인 문학비평가
벨기에 브뤼셀자유대학교(Free Univ. of Brussels) 학사•미국 하버드대학교 박사 학위
하버드대 교수•존스홉킨스대 교수•코넬대 교수•예일대 교수 역임.
19세기 벨기에 아르티장(artisan, 기술 예술가) 가문 출신
―벨기에 안트베르펜의 신흥 부르주아지 계급
부 로버트(밥) 드 만(Robert (Bob) de Man, 성공적인 엑스레이 장비 제조업 사업가)
모 막달레나 드 브래이(Magdalena de Braey; 남편과 사촌 관계)
외증조부 유명한 플랑드르 출신 시인 얀 반 비어스(Jan Van Beers, 프랑스어 사용 가문)
삼촌 유명한 사회주의 이론가 겸 정치인 앙리 드 만(Henri de Man, 제2차세계대전 기간 나치 부역자)
형제자매 2남 1녀
1남 헨드릭(Hendrik, Rik, 1915년 생)
―학교 성적 부진
2녀 사산아(1917년 생몰)
3남 폴(Paul, 1919년 생)
―똑똑한 학생이자 뛰어난 운동선수로 성장
―독일어 사용 소년 집단 사이에서 성장해서 특권층이 다니는 안트베르펜 왕립 아테나이움(Athenaeum, 학술진흥기관) 입학
―과학과 공학을 전공해서 전 과목 최고 성적으로 최우등으로 졸업
1처 루마니아 출신 아나이데 바라기안(Anaïde Baraghian, 결혼 기간 1944년~1960년)
자녀 3남
1남 헨드릭(Hendrik)
2남 로버트(Robert)
3남 마르크(Marc)
2처 패트리샤 켈리(Patricia Kelley, 결혼 기간 1950년~1983년)
1남 마이클(Michael, 바드대학 시절 출생)
2녀 패치(Patsy)
1919년 1세 12월 6일 벨기에(Belgium) 안트베르펜(Antwerp)에서 벨기에인 아르티장 가문 출신 폴 아돌프 미셸 드만(Paul Adolph Michel Deman) 출생
1936년 18세 형 릭 드 만(Rik de Man)이 21세에 철도 건널목에서 자전거 사고로 사망
―릭이 근친 성폭력을 포함한 연속 성폭력을 저지름.
1937년~1940년경 19세~21세 벨기에 브뤼셀자유대학교 졸업(화학, 사회과학 수학; 반나치 좌익지에 글 게재)
1937년 19세 모친이 맏아들 릭의 사망 1주기 한 달 전에 다락방 세탁실에서 목메어 자살했지만, 이를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고 안트베르펜 왕립 아테나이움(Athenaeum)을 1등으로 졸업하고, 후에 가족의 비극으로 심리적 갈등을 겪었다. 가을에 브뤼셀자유대학교(Free Univ. of Brussels) 입학(공학을 전공하려 했지만, 부적응으로 중도 포기). 학생지에 기고. 삼촌 앙리를 정신적 후원자로 의존
1938년 20세 드 만의 친한 친구 벨기에인 길버트 애거(Gilbert Jaeger)를 통해서 그의 아내 루마니아 출신 아나이데 바라기안(Anaïde Baraghian)을 만나, 폴과 앤(아나이데)이 연인이 됨.
1939년~1945년 21세~27세 제2차세계대전 중 독일 나치 통제 벨기에 주요 일간지 「르 스와르」(Le Soir) 문예 기자
―일부 반유대 기사를 포함한 200여 편 이상의 기사를 써서 후에 나치 부역 논쟁을 일으켰다.
1940년 22세 나치의 벨기에 점령을 피해 프랑스 남부 스페인 국경 부근으로 드 만과 친한 친구 길버트 애거(Gilbert Jaeger) 그리고 그의 아내 아나이데 바라기안(Anaïde Baraghian)이 피란. 삼촌 앙리는 나치 침략자들을 환영했고, 1년간 나치 치하 벨기에의 꼭두각시 수상으로 임명됨. 12월 일간지에 「우리 문학 연대」(Our Literary Chronicle)라는 제목으로 매주 컬럼 연재(나치 부역 논지). 독일 나치가 통제하는 일간지 『르 수아르』(Le Soir)와 『헤트 블라암슈 란트』(Het Vlaamsche Land)지에 연속 기사 게재
1941년 23세 3월 4일 폴 드 만이 반유대계 벨기에의 프랑스어 신문 『르 수아르』의 문화비평가가 되었으며, 플랑드르의 반유대계 일간지 『헤트 블라암쉬 란트』(Het Vlaamsche Land)에 기고(두 신문에 수백 편의 글 게재). 폴과 앤 사이에 세 아이 가운데 첫째 아들 릭(Rik) 출생
1942년 24세 11월~1943년 4월 신문 컬럼니스트, 출판사, 서적 수입상 등의 직업에서 실직한 후에 은거 생활. 삼촌 앙리가 우익계에서 의심을 샀고, 벨기에 레지스탕스로부터 반역자로 사형당할 위기에 처해서 파리로 망명. 일간지 기사 게재를 중단하고, 나치 부역 전력을 부인
1944년 26세 친한 친구 길버트 애거(Gilbert Jaeger)의 전 아내 루마니아 출신 아나이데 바라기안(Anaïde Baraghian)과 결혼(1942년 바라기안과 애거 이혼; 폴과 아나이데 사이에 두 아들 출산)
1945년 27세 은거 생활로 미국과 프랑스 문학을 읽었으며, 허먼 멜빌(Herman Melville)의 『백경』(Moby Dick)을 독일어로 번역해서 출판
1946년 28세 2월 두 번째 출판사 헤르메스(Hermès) 설립
1947년 29세 2년간 헤르메스출판사에서 2권 이상을 신간 발행. 출판 사업을 위해 가족 친지와 지인들로부터 후원금 모금. 아버지 밥 드 만(Bob de Man)과 지인 간호사가 사업으로 진 빚을 일부 대신 갚아줌.
1948년 30세 사업 실패로 배임 혐의를 받자, 아버지 밥이 폴과 앤 부부를 위해 해외 여행용 비자를 발급받고, 폴이 벨기에를 출국해서 미국 뉴욕시(New York City)로 이주했고(자영 출판사 배임 혐의로 망명, 징역 5년과 벌금 중과), 아내 바라기안과 어린 세 아들은 배를 타고 항해해서 장인과 장모가 이민 간 아르헨티나로 떠남. 드 만은 뉴욕시 지하철역의 더블데이서점에서 책을 진열하고 판매하는 일을 하다가, 여인 메리 맥카시(Mary McCarthy)의 소개로 바드대학(Bard College)에서 불문학 강의(이력서에 석사 학위 논문 「동시대 소설에서 시간에 대한 베르그송의 개념」(The Bergsonian Conception of Time in the Contemporary Novel)과 중단된 박사 논문 『미학 의식의 현상학 서론』(Introduction to a Phenomenology of Aesthetic Consciousness)을 기재하고, 자기소개서에 전시에 레지스탕스 그룹에서 활동했다고 소개)
1949년 31세 12월 바드대학 여대생 프랑스인 패트리샤 켈리(Patricia Kelley)와 결혼
1950년 32세 봄 드 만 부인이 세 아들 헨드릭(Hendrik), 로버트(Robert), 마르크(Marc)를 데리고 왔을 때, 패트리샤 드 만은 임신 중이었다고 함. 드 만이 앤에게 재정 지원을 약속했고, 앤은 맏아들을 드 만에게 맡기고, 남미로 귀국(맏아들 릭은 워싱턴 D.C.에 거주하는 계모의 외할머니에게 맡겨짐). 6월 패트리샤와 이중 결혼(패트리샤는 두 아이를 낳도록 10년 이상 이중 결혼 사실을 몰랐음.). 바드대학에서 해고를 당하고 보스턴으로 이주
1950년대 후기 32세 이후 미 하버드대학교 박사 학위, 코넬대(Cornell Univ.)•존스홉킨스대(Johns Hopkins Univ.)•취리히대(Zurich Univ.) 강의, 예일대학교(Yale Univ.) 불문학과 겸 비교문학과 교수, 예일학파(Yale School)로 활동
1951년 33세 벨기에 법원에서 배임 혐의로 실형 및 벌금형 선고(벨기에 귀국 시 즉시로 구속할 것을 법원이 언도). 법적 문제로 드 만의 아버지가 폴 드 만과 절연
1952년 34세 하버드대 대학생 헨리 키신저(Henry Kissinger)에게 프랑스어 개인 과외. 개인 출판사 경영. 가을에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비교문학과 박사 학위 연구 과정 입학
1953년 35세 파리 망명 중 재판으로 반역죄를 선고받은 전 벨기에 수상 삼촌 앙리가 스위스에서 자동차 운전 중에 자살로 추정되는 기차 충돌 사고로 사망
1954년 36세 드 만이 나치 부역자라는 내용의 무기명 투서가 하버드대로 왔지만, 드 만이 방어
1960년 42세 미국 하버드대학교(Harvard Univ.) 박사 학위(학위 시험과 학위 논문은 미통과되었지만, 하버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수여했고, 그 후 비평 활동 시작). 박사 과정 중에 강의 제목 “Humanities 6”(루벤 브라우어(Reuben Brower) 교수의 지도로 학생 중에 클렌스 브룩스(Cleanth Brooks)가 있었다.)로 하버드대에서 강의. 코넬대•존스홉킨스대•취리히대 강의. 8월 바라기안과 최종 이혼 후에 패트리샤와 두 번째 정식 결혼. 예일대 교수 제프리 하트만(Geoffrey Hartman)과 MLA 회의에서 만나 친구가 됨. 프랑스에서 논문 「낭만주의 이미지의 의도 구조」(The Intentional Structure of the Romantic Image) 발표. 가을에 코넬대에서 강의. 자신의 아파트에서 유대인들과 함께 거주하기도 하고, 레지스탕스 계열 잡지를 유통하기도 하는 등의 온건한 활동을 보임.
1964년 46세 비평가 친구 제프리 하트만의 소개로 M. H. 에이브럼스(M. H. Abrams)가 학장으로 있는 코넬대에서 별다른 저서나 학위 증빙 없이 정교수 임용
1966년 48세 10월 미국 존스홉킨스대 개최 학술회의에서 자크 데리다와 만나서 친구가 되었고, 두 학자가 해체주의자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데리다가 미국에 비평가로 데뷔하게 되었다.
1967년 49세 논문 「비평과 위기」(Criticism and Crisis, 『무지와 통찰』(Blindness and Insight) 제1장) 발표
1970년 52세 연구 분야 “문학 비평”으로 폴 드 만이 존 사이먼 구겐하임 기념 재단(John Simon Guggenheim Memorial Foundation)으로부터 연구 장학금 수혜
1970년대 52세 이후 취리히대 교수직을 약속받고도 미국으로 복귀해서 예일대 교수 하트만의 주선으로 예일대학교에서 교수로 평생을 보냄(이때까지도 드 만은 저서가 없었음).
1971년 53세 제1 저서 『무지와 통찰』(Blindness and Insight: Essays in the Rhetoric of Contemporary Criticism) 간(“20세기 비평의 고전”이라고 평가)
1973년 55세 논문 「기호론과 수사학」(Semiology and Rhetoric) 발표
1975년~1986년 57세~68세 데리다를 미국에 소개하고 예일대 객원 교수로 초빙. 이때부터 자크 데리다, 폴 드 만, 제프리 하트만, 해롤드 블룸(Harold Bloom), 힐리스 밀러(Hillis Miller)를 중심으로 예일학파(예일비평학파) 성립(밀러가 제시한 명칭 “The Yale school of criticism)
1979년 61세 제2 저서 『독서의 알레고리』(Allegories of Reading: Figural Language in Rousseau, Nietzsche, Rilke, and Proust, 1979년; 1960년대 말엽~1970년대 초엽의 글 모음) 간. 예일 선언문 『해체론과 비평』(논문 「에프롱: 니체의 양식」, 「살아가기: 경계선상」 2편 수록) 간
1981년 63세 연구 분야 “문학 비평”으로 폴 드 만이 존 사이먼 구겐하임 기념 재단(John Simon Guggenheim Memorial Foundation)으로부터 연구 장학금 수혜
1982년 64세 논문 「이론에의 저항」(The Resistance to Theory)을 『예일불문학』(Yale French Studies) 제63호에 게재(드 만의 제3의 저서)
1983년 65세 『무지와 통찰』 제2판 간. 12월 21일 미국 코네티컷(Connecticut)주 뉴헤이븐(New Haven)에서 암으로 사망. 향년 65세. 최종 직위 예일대학교 비교문학과 학과장 겸 인문대학 스털링 교수(Sterling Professor)
1984년 유고 저서 드 만 저 『낭만주의의 수사학』(The Rhetoric of Romanticism) 간.
데리다가 『회고록: 폴 드 만을 위하여』라는 제목으로 드 만의 죽음을 애도하는 세 차례 강연회 개최. 데리다 저 『회고록: 폴 드 만을 위하여』(Memoires: pour Paul de Man) 간
1986년 유고 저서 드 만 저 『이론의 저항』(The Resistance to Theory) 간.
2월 『타임』(Times Magazine)지가 「예일 비평가들의 독재」(The Tyranny of the Yale Critics)라는 제목의 글 게재
1987년 8월 루뱅대학교(Univ. of Leuven) 벨기에 출신 대학원생 오트윈 드 그래프(Ortwin de Graef)가 드 만이 2차 세계대전 동안 『르 수아르』지 등 2개 일간지에 쓴 반유대계 글을 포함한 약 2백여 편의 기사 발견, 10월 미국 알라바마대학교(Univ. of Alabama) 학술회의에서 1939년~1943년 사이 2백여 편의 드 만의 전시 신문 칼럼(wartime journalism) 공개 논의, 12월 1일 『뉴욕타임스』에서 「나치 옹호 신문에서 발견된 예일 학자의 기고문」이라는 기사 제목으로 1940년~1942년 사이 드 만의 나치 부역 폭로
1988년 자크 데리다가 『비평 탐구』(Critical Inquiry)지에 「폴 드 만의 전쟁」(Like the Sound of the Sea Deep within a Shell: Paul de Man’s War) 게재. 앤트워프대학교(Univ. of Antwerp) 개최 폴 드 만 학술회의에서 브뤼셀자유대학교 소속의 한 역사학자가 「폴 드 만, 부역자」(Paul de Man, a Collaborator?)라는 제목으로 발표. 『전시 신문 칼럼』(Wartime Journalism, 1934-1943) 간
1989년 유고 저서 드 만 저 『비평』(Critical Writings: 1953-1978) 간
1992년 유고 저서 드 만 저 『이론에 대한 저항』(Resistance to Theory) 간
정순국, 『폴 드 만(Paul de Man)의 해체비평: 언어의 수사성을 중심으로』, 경희대대학원 영문학과 석사 학위 논문
1993년 유고 저서 드 만 저 『낭만주의와 동시대 비평』
(Romanticism and Contemporary Criticism: The Gauss Seminar and Other Papers) 간
1996년 유고 저서 드 만 저 『미학 이데올로기』(Aesthetic Ideology) 간
1998년 박주식, 「수사학과 낭만주의 문학―폴 드 만(Paul de Man)의 해체론적 수사학을 중심으로」, 『비평과 이론』 제3권, 한국비평이론학회, 151~181. (논문); 최성만, 「폴 드 만의 해체주의적 읽기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독어독문학』 제65권, 한국독어독문학회, 230~259. (논문)
2001년 드 만보다 11년 연하의 데리다가 한 강연에서 작고한 폴 드 만이 생전에 자신의 우정의 친구였다고 고백했다. 또한 그는 나치 부역과 관련해서 우정과 학문적 주장은 다르다고 구별했다.
2004년 최종철, 「알레고리에 대한 미학적 고찰: 폴 드 만의 해체비평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론을 중심으로」, 홍익대대학원 미학과 미학전공 석사 학위 논문
2007년 마틴 맥퀄런 저, 이창남 역, 『폴 드 만과 탈구성적 텍스트』, 앨피 간
2008년 폴 드 만 저, 황성필 역, 『이론에 대한 저항』, 동문선 간
2012년 유고 저서 드 만 저 『포스트 낭만주의의 곤경』(The Post-Romantic Predicament, 폴 드 만의 박사 학위 논문과 하버드 시절(1956년~1961년) 논문들 수록)
박수정, 「폴 드 만의 수사적 읽기와 언어의 물질성」, 『새한영어영문학』 제54권 제2호, 새한영어영문학회, 41~62. (논문)
2014년 유고 저서 드 만 저 『폴 드 만 노트북』(The Paul de Man Notebooks) 간
권정임, 「폴 드 만의 헤겔 미학 해석에 대한 비판적 주석 (1)―상징 개념을 중심으로」, 『미학예술학연구』 제42권, 한국미학예술학회, 203~251. (논문)
2017년 폴 드 만 저, 이창남 역, 『독서의 알레고리』, 문학과지성사 간; 박수정, 「폴 드 만의 전의이론을 통해서 본 에르네스토 라클로의 헤게모니 이론」, 『새한영어영문학』, 새한영어영문학회, 35~54. (논문)
저서
65편의 에세이와 글
저서 3권
제1 저서 『무지와 통찰』(Blindness and Insight, 1971년, 제2판 1983년)
제2 저서 『독서의 알레고리』(Allegories of Reading, 1979년; 1960년대 말엽~1970년대 초엽의 글 모음; 생전의 유일한 완성작 저서)
제3 저서 『이론에 대한 저항』(Resistance to Theory, 1982년 사망 전 완성 저서)
―1982년 논문으로 잡지 게재, 1992년 유고 저서 간, 1996년 미 미네소타대학교출판부에서 『미학 이데올로기』(Aesthetic Ideology)로 유고 저서 간)
유고 저서
『해체주의와 비평』(Deconstruction and Criticism, 공저)
『낭만주의의 수사학』(The Rhetoric of Romanticism)
『전시 신문 칼럼』(Wartime Journalism, 1939-1943)
『폴 드 만 노트북』(The Paul de Man Notebooks)
『이론과 사라지는 미래』(Theory and the Disappearing Future)
『후기 낭만주의의 곤경』(The Post-Romantic Predicament)
『바르트』(Barthes en cuestión)
『낭만주의와 동시대 비평』(Romanticism and Contemporary Criticism)
『비평』(Critical Writings, 1953-1978)
* 비평가 폴 드 만(Paul de Man): 문학 교수 겸 문학비평가 폴 드 만(Paul de Man)은 유럽 벨기에 안트베르펜(Antwerp)에서 아르티장 출신으로 출생해서 벨기에서 어린 시절부터 대학까지 성장하고, 미국으로 이주해 하버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여러 대학 강의를 거쳐 예일대 문학부 불문과 및 비교문학과에서 교수로 정착했다. 벨기에 출신 문학 비평가 폴 드 만은 미국 예일대 영문과 예일학파의 창시자로서 미국과 전 세계에서 가장 저명한 비평가로 이름을 높였다. 특히, 유대계 프랑스인 비평가 자크 데리다와 함께 대표적인 포스트모더니즘 비평가로서, 문학 텍스트에 대한 문학적 연구를 형이상학의 인식론이라는 범주화되거나 이성화된 문학 텍스트와 문학 자체의 규범을 해체하거나 탈구축해서 극복하고자 시도했다. 특히,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학 비평적 기획과 반영에 대해서 폴 드 만은 문학 비평과 해석의 내재적 저항(resistance)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드 만, 『이론에의 저항』(The Resistance to Theory), 「폴 드 만」, 『위키백과』 재인용 참조).
비평가 폴 드 만은 벨기에 출신이지만, 미국에서 교수와 비평가로 활동하면서 유럽에서 주로 활동한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 철학 및 비평 방법론과 일치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을 전개했다. 데리다의 해체주의 이론을 문학 비평에 접목해서 비평적으로 설천한 비평가로 평가되고 있다.
데리다와 드 만의 해체주의 기획과 비평은 기존의 이성적 형이상학의 축적적 지식 체계를 해체 및 탈구축하고 인식론적 지식 체계를 재구축하려는 지식의 해체 과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획과 비평을 진보적이거나 급진적이라고 해석하기보다는 축적적 지식의 권위를 인식적 지식으로 이해하고 재해석하려는 시도라고 보아야 한다.
* 예일학파(the Yale School)와 예일비평(the Yale Criticism): 예일학파(the Yale School)는 미국 최초의 비평 방법론이자 미국 비평의 원조인 신비평(New Criticism) 이후로 미국에서 발흥된, 미국에서 두 번째의 비평 방법론을 일으킨 일단의 미국 비평가의 학파를 가리킨다. 미국의 신비평이 형식주의나 러시아형식주의와 그 흐름을 같이 한다면, 예일학파는 유럽의 해체주의와 그 흐름을 같이 한다. 포스트구조주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에서 해체주의로 서구 사상이 진화하면서,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주의가 새로운 비평 방법론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신비평이 의미와 내용을 삭제한 형식주의라고 한다면, 해체주의는 의미를 내용성과 형식성으로 분별하고, 의미의 형식성을 해체하는 새로운 비평 방법론이다. 철학자에서 비평가로 진화하는 유대계 프랑스인 데리다의 해체주의는 벨기에인 아르티장 출신 폴 드 만(Paul de Man)과 접목되어 미국 존스 홉킨스대로 이식되었다. 이들은 예일대 교수 제프리 하트만(Geoffrey Hartman)과 조우해서 1970년대 미국 예일대학교와 예일대학교 주변에서 정착하게 된다.
예일학파는 1970년대 이후 미국 예일대학교 불문학과, 영문학과, 비교문학과 등의 문학부의 일단의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를 비평 방법론으로 채택한 비평가 집단을 일컫는다. 해체주의의 선구자는 유대계 프랑스인 비평가 자크 데리다이고, 자크 데리다의 해체주의를 미국에 도입한 벨기에 출신 비평가 폴 드 만은 예일학파의 선구자이다. 그 외에 하버드대에서 박사 과정을 수학한 폴 드 만을 예일대로 영입한 제프리 하트만 그리고 해럴드 블룸이 예일대 문학부 교수로서 비평가 활동을 활발하게 했고, 데리다, 드 만, 하트만, 블룸 등의 일단의 예일대 비평가들을 힐리스 밀러가 예일비평학파(예일학파, the Yale School of Criticism)라고 통칭했다. 이들의 비평은 작품 자체를 유기적으로 중시하는 신비평 이후, 텍스트 자체의 의미를 해체하는 해체주의 비평 방법론을 미국 비평에 도입하는 커다란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예일학파의 해체주의 비평 방법론은 폴 드 만이 1983년 사망하고, 그의 나치 부역 전력이 여론에서 문제시되면서 예일학파도 그 운을 다했다. 그러나 예일학파 자체는 집단적으로 또는 공통적으로 활동했던 것은 아니고, 비평가들이 각기 개별적으로 활동했던 비평 운동이었다. 따라서 폴 드 만 사후에도 데리다, 하트만, 밀러 등의 예일학파의 비평가들은 학술과 교육 그리고 비평 활동을 계속했으며, 지금도 그렇다. 그러므로 데리다와 폴 드 만의 해체주의는 운명을 다했지만, 예일학파의 비평은 신비평 이래 미국의 가장 혁신적인 비평 방법론으로서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예일학파의 비평 방법론은 신비평과 같은 노선에서 “예일비평”(the Yale Criticism)이라고 새로운 명칭과 정의가 의미 부여될 필요성이 있다. 앞으로도 예일학파의 연구와 비평 활동은 계속될 것이고, 이들의 비평은 신비평을 계승하고 신비평을 극복하는 예일비평이라는 미국 비평의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폴 드 만의 생전 저서 3권: 폴 드 만의 생전 저서는 생전 제1 저서 『무지와 통찰』(Blindness and Insight, 1971년, 제2판 1983년)과 생전 제2 저서 『독서의 알레고리』(Allegories of Reading, 1979년) 단 2권으로 알려져 있다. 그 가운데 제2 저서 『독서의 알레고리』는 1960년대 말엽~1970년대 초엽 사이의 글을 모은 논문집이며, 폴 드 만 생전의 유일한 완성작 저서이다.
그러나 1982년 사망 전 해에 완성한 논문으로 생전 제3 저서가 된 『이론에 대한 저항』(Resistance to Theory)이 있다. 본래 논문으로 발표되었으며, 이 저술은 폴 드 만이 1982년에 저술한 생전 제3 저서에 해당하며, 폴 드 만의 생전 저서 3권의 하나이다. 이 책은 1992년 유고 저서로 간행된 바 있고, 1996년 미 미네소타대출판부에서 『미학 이데올로기』(Aesthetic Ideology)라는 제명으로 유고 저서로 재간행되었다.
* 한국의 폴 드 만(Paul de Man) 연구 성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검색되는 폴 드 만(Paul de Man)에 대한 한국의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권정임, 「폴 드 만의 헤겔 미학 해석에 대한 비판적 주석 (1)―상징 개념을 중심으로」, 『미학예술학연구』 제42권, 한국미학예술학회, 203~251 등 국내 학술 논문 28편; 마틴 맥킬런(Martin McQuillan) 저 『폴 드 만』(Paul de Man), Routledge 간, 2001년 등 단행본 170건; 최하영, 「폴 드 만에 있어서의 언어의 수사성」, 건국대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99년 등 학위 논문 31편; 이규은, 『반어의 시대』, 한국연구재단(NRF), 2002년 등 연구보고서 15편이 있다. <끝> <2024년 2월 26일, 나종혁 글>
* 참고 자료: 「폴 디 만」, 『위키백과』; 고명섭 기자, 「“책은 언제나 의도와 다르게 이해된다”」, 『한겨레신문』, 2019-10-19. (『독서의 알레고리』 서평); 김애령 교수, 「철학자의 우정(1) 신의와 배반: 자크 데리다와 폴 드 만」, 『이대학보』, 2013-05-07; 이동희, 「해체는 새로운 철학이다―데리다 [2]」, 철학여행까페 [85], 『시민사회신문』, 2009-11-09; “Paul de Man,” wikipedia; Louis Menand, “A Critic at Large: The de Man Case,” The New Yorker, 2014-03-17; 기타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