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청년의 오락집중과 정치 무관심
2024년은 한국 프로야구 역사에 길이 남을 해가 될 것이다.
올 시즌, 관중 수가 1,000만 명을 돌파하며 야구는 다시 한번 국민적 스포츠로 자리매김했다. 경기장마다 메운 팬들의 열광적인 응원은 프로야구의 인기를 실감하게 한다. 선수들의 활약, 치열한 순위 경쟁, 각종 기록 경신 등이 팬들의 눈길을 끌고, 매 경기 팬덤의 열기는 더욱 뜨거워졌다.
하지만, 야구장의 뜨거운 열기와 달리 청년들의 사회적 관심사는 점점 냉랭해지고 있다. 올해 프로야구 티켓 구매
비율 중 20대가 38.1%로 가장 큰 점유율을 드러낸 반면, 지난 22대 총선의 20대 투표율은 52.4%로 가장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대학생 박현섭(22) 군은 “친구들과 야구를 볼 때 즐겁고 스트레스가 해소되지만 정치 뉴스들을 보면 양극화에만 집중된 정치 상황에 피로감을 느껴 관심을 잘 갖지 않는다"라고 했다.
이렇게 정치의 영역은 일상 속에서 멀어지고, 사람들은 복잡한 사회적 이슈보다는 일상 속의 즐거움, 예를 들어 스포츠나 오락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됐다. 그러나 스포츠를 마냥 부정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프로 스포츠는 전두환 정권 당시 정부 차원에서도 장려했던 국가적인 자긍심과 연대감을 높이는 하나의 수단이었다. 그럼 오락 집중과 정치 무관심화가 왜 문제냐라고 했을 때, 사회학과 대학원생 김재준(29) 씨는 비판 정신의 약화와 대중화의 문제 두 가지를 우려했다.
비판 정신이 약해지는 등의 첫 번째 문제는 로마 제국의 빵과 검투사 경기가 대표적인 예이다.
로마제국의 시민들은 공화정 몰락 시기 즈음부터 정치인에 대한 평가는 점점 자신에게 빵을 나눠주고 검투사 경기를 얼마나 열어주는지에 갈렸었다. 이 사실을 통해 오락만으로 만족을 하는 순간 인간이 자신의 에너지를 문제 해결에 제대로 활용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로 상술했던 만족으로 인한 사고의 단순화가 기존의 대중적 생각을 자신의 사고로 무비판적이게 받아들이며, 존 스튜어트 밀이 <자유론(1859)>에서 언급했듯이 대중적 사고를 무오류 적인 것들로 여기게 되는 대중화 (popularity)의 문제가 있다. 또한 현대의 오락들은 미디어를 통해 대중성이 더욱 강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 프로야구의 1,000만 관중 달성은 단순한 스포츠 성과로만 볼 수 없다. 이는 현대 사회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일지도 모른다. 스포츠에 대한 열광이 계속될수록, 사회의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축소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첫댓글 ="로마제국의 시민들은 공화정 몰락 시기 즈음부터 정치인에 대한 평가는 점점 자신에게 빵을 나눠주고 검투사 경기를 얼마나 열어주는지에 갈렸었다." 소스 넣어주기 (00에 따르면)
=사진 설명이 "가득 메운 관중"으로 갈 것이 아니라 20대가 많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설명도 그리 가야 글과 부합
=그래프 출처 넣어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