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수준비
제사에서 쓰는 음식은 밥을 「메」라고 하고, 국을 「갱」이라고 하는 등 특별한 이름으로 부른다.
모든 제수는 향신료(마늘. 후추. 고춧가루. 파)를 쓰지 않고 간장과 소금만으로 조리한다.
① 신위 별로 준비할 것
밥(메), 국(갱), 숭늉(숙수) 등은 신위 수대로 준비한다. 예를 들어 1년 안에 제사지내는 분이 부, 모, 조부, 조모인 경우에는 「메」와 「갱」을 4 를 올려야 합니다.
추석 차례에는 「메」대신 송편을 올린다.
② 신위 수와 무관한 것
술(제주), 식초(초접), 간장(청장), 떡(편), 찌개(탕), 부침개(전), 구이(적), 포(어포, 육포 등), 식혜(혜), 나물(숙채), 김치(침채), 과자 및 과일(과실) 등은 신위 수와 상관없이 준비한다.
차례상 차리는 법
제사상은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이라고 본다. 따라서 제주가 있는 쪽이 남쪽이고, 제주가 바라볼 때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된다. (나침판의 북쪽하고 무관함)
차례상을 차릴 때에는 간단한 ‘규칙’만 기억하면 된다. 우선 기본은 ‘5열’로 두고, 각 열마다 정해진 규칙을 기억해두면 되는 것.
1열에는
조상의 영혼이 머무는 ‘신위’를 두고, 서쪽부터 술잔과 송편, 시접(수저를 놓는 빈 대접)을 놓는다.
2열에는
고기전과 고기 구운 것, 채소 구운 것, 생선 구운 것, 생선전 등이 올라간다. 이때 기억해야 할 것은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두며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3열에는
고기탕, 두부탕, 생선탕 등 탕류를 놓는다.
4열에는
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를 두는 것.
서쪽부터 북어·대구 등 포, 고사리·시금치·도라지 등 삼색나물, 식혜 등을 둔다.
5열에는
과일이나 과자를 올린다.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둬야 한다는 ‘홍동백서’와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으로 놓아야 한다는 ‘조율이시’를 기억해두면 쉽다.
차례 지내는 순서
추석 차례는 이른 아침에 지내므로 촛불을 켜지 않는다.
축문을 읽지 않고, 세 잔의 술을 올리지 않고 한 잔의 술만 올립니다.
① 제주가 향을 피운 뒤, 술을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② 모든 인원이 함께 두 번 절하고,
③ 제주가 술을 올린다. 이후 송편에 수저, 시접에 젓가락을 정리하고,
④ 잠시 공손히 서서 공양하실 동안 기다린다.
⑤ 수저를 거두고, 뚜껑을 덮고,
⑥ 다 함께 두 번 절한다.
⑦ 차례가 마무리되면 지방을 태우고, 음복한다.
지방쓰기
폭은 6cm 정도, 길이는 22cm 정도가 적당하며 한지를 사용합니다.
고위(아버지) 왼쪽, 비위(어머니) 오른쪽에 쓰고
한 분만 돌아가셨을 때는 중앙에 쓰면 됩니다.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의 관계를 쓰고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은 뒤
마지막에 신위라고 쓰면 됩니다.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顯祖考(현조고), 顯祖妣(현조비), 顯曾祖考(현증조고), 顯曾祖妣(현증조비)’라고 쓴다.

[사례1]
도곡리 순천 박씨 박○○ 씨의 집에서는 명절날 아침 8시에 제사를 시작한다. 마을 내에 친척이 있을 때에는 10촌까지 돌아가며 제사를 지냈다.
그러나 각자 자신의 부모와 조상을 먼저 모시고자, 1980년 중반부터는 각자 집에서 차례를 지내고 있다. 추석에는 메와 갱 대신 송편을 올린다. 단설로 하므로 조부모 내외를 모시고 난 후 부친과 모친을 모신다. 차례를 마치고 바로 산소를 찾는다. 예전에는 주・과・포를 챙겨갔으나 제사 후 바로 가기 때문에 절만 하고 온다.
[사례2]
도심리 재령 이씨 이○○ 씨는 명절 때 6촌 친척 네 집을 돌며 차례를 지낸다. 제사에 참여하는 자녀들까지 따지면 8촌까지 참석한다. 큰집에서 오전 여덟 시 반에 시작하여 점심때가 되어 마지막 집에서 제사를 끝낸다. 추석 때에는 송편을 올리는데, 편을 놓는 자리에 떡을 따로 놓지 않는다. 조상들을 합설하여 모신다. 차례가 끝나면 주・과・포를 가지고 성묘를 간다. 단잔을 올리고 재배한 뒤 음복하고 내려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