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 개발 '드라이브'
로봇, SW 기업과 시너지 중요
기술 고도화로 미래 역량 확보
레인보우로보와 협력도 본격화
삼성전자가 국내 유망 인공지능(AI) 로봇 플랫폼 기업과의 협력.투자를 통해
휴머노이드 기술 개발을 고도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톱티어 로봇 기업으로 올라서겠다고 선언했다.
박순철삼성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는 31일 '제조.서비스.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한 로봇을 개발하고
메카 AI 등 로봇 핵심 기술을 지속적으로 축적해 고성장이 예상되는 미래 로봇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국내 유망 로봇 AI 플랫폼 업체에 대한 투자.협력 등을 진행해 기술 역량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로봇 플랫폼과 관련해 외부 협력 방침을 시사한 것은 로봇 개발과 운용 등에서
날로 소프트웨어(SW) 플랫폼이 중요해지고 있어서다.
특히 최근 주목 받는 휴머노이드 개발 과정에는 다양한 상황에서 로봇의 예상 가능한 행동을 학습시키고
특정 응용처에 맞게 조정하는 복잡한 과정이 동반하는데 SW 플랫폼을 통해 이 과정을 단축하고 효율화 할 수 있다.
반도체 실제 기업으로 알려진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개발 플랫폼 '그룻(GROOT)'을 개발한 것도 이 같은 이유다.
이 플랫폼은 로봇 개발자들에게 범용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과 데이타를 제공해 로봇 개발자들의 개발 과정을 지원한다.
그래픽처리장치(GPU) 시장에서 GPU 개발룰인 쿠다(CUDA)를 통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했듯 엔비디아는 후머노이드 시대의 도래와 맞물려 그룻을 통해 다양한 회사의 휴머노이드 개발을 지원하고 나아가 이를 차세대 수익원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 역시 이러한 흐름에 맞춰 자체 SW 역량을 강화하고 하드웨어 기술과의 시너지를 도모하려는 것이다.
최근 자회사로 편입시킨 레인보우로보틱스와의 개발 협력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박 CFO는 '자사 AI 및 SW 기술과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기술을 접목해 지능형 휴머노이드 등
첨단 미래 로봇을 신속히 개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레인보우로보틱스가 핵심 제품으로 밀고 있는 협동로봇 등은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움직이는 규칙 기반 제품이다.
박 CFO가 자사 AI.SW 기술을 접목하겠다고 말한 것은 향후 글로벌 제조사 수준의 딜러닝 기반 AI 로봇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에서 양사의 특장점을 최대화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허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