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04월27일(토요일) 연천군 [1.21 무장공비 침투로&경순왕릉&고랑포구 역사공원&연천 호로고루] 탐방일정
탐방지 : 연천군 [1.21 무장공비 침투로&경순왕릉&고랑포구 역사공원&연천 호로고루]
탐방코스: [고랑포구 버스 정류장~(2.5km)~1.21 무장공비 침투로~(3.3km)~연천 경순왕릉~(659m)~고랑포구 역사공원~(1.5km)~연천 호로고루~(1.0km)~자작리 마을회관 버스 정류장] (9km)
탐방일 : 2024년04월27일(토요일)
탐방코스 및 탐방 구간별 탐방 소요시간 (총 탐방시간 4시간45분 소요)
06:00~08:10 연신내역에서 3호선을 타고 종로3가역으로 가서 1호선으로 환승하여 연천역으로 이동 [2시간10분 소요]
08:10~08:13 연천역 4번 출구로 나와서 연천읍약국 정류장으로 이동
08:13~08:40 연천읍약국 정류장에서 횡산리 정류장으로 가는 39번 버스 승차 대기
08:40~08:53 39번 버스를 타고 연천읍약국 정류장에서 연천군청년센터 정류장으로 이동 [13분 소요]
08:53~08:58 연천군청년센터 정류장에서 전곡재래시장앞 정류장으로 도보로 이동 [253m 이동]
08:58~09:30 전곡재래시장앞 정류장에서 고랑포구 정류장으로 가는 83번 버스 승차 대기
09:30~10:20 83번 버스를 타고 전곡재래시장앞 정류장에서 고랑포구 정류장으로 이동 [50분 소요]
10:20~11:00 고랑포구 버스 정류장에서 탐방출발하여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반정리 294 번지에 있는 1.21 무장공비 침투로로 이동 [16시 이전에 방문 가능]
[1.21 무장공비 침투로
주소 :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반정리 294
현재 1.21무장공비침투로에는 그 당시 이 곳에 주둔한 미군 제 2사단 방책선 경계 부대에서 설치한 경계 철책과 철조망을 뚫고 침투한 무장공비의 모형물을 만들어 전시하고 있다.
고랑포에서 서남쪽으로 3.5km지점에 위치한 1.21무장공비침투로는 1968년 1월 17일 23시 북한군 제 124군 소속 김신조 외 30명이 남방 한계선을 넘어 침투한 곳이다. 북한은 당시 김신조 외 30명의 무장공비를 1968년 1월 21일 서울로 잠입시켜 대통령 관저(청와대) 폭파와 요인 암살 및 주요 기관 시설을 파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1968년 1월 19일 21시경 파주시 법원리에 거주하는 나무꾼이 신고하여 군·경 합동으로 무장공비 소탕작전이 1968년 1월 20일부터 1월 30일까지 전개되어 사상자 29명, 도주 1명, 체포 1명(김신조)의 전과가 있었으나 우리 군·경의 피해도 적지 않았다.
현재 1.21무장공비침투로에는 그 당시 이 곳에 주둔한 미군 제 2사단 방책선 경계 부대에서 설치한 경계 철책과 철조망을 뚫고 침투한 무장공비의 모형물을 만들어 전시하고 있다. 관할 군부대에서는 1999년 10월 1일자로 민통선 북방 지역 출입 통제를 일부 완화하여 사전신청에 의한 견학이 가능하다.
문의처 : 연천군청 관광과 : TEL 031-839-2061 / (주말, 근무시간 외) 연천군청 당직실 031-839-2119
유의사항
출입관련 : 개별, 단체(25인 이상) 구분 없이 출입 7일 전 사전 신청 필수(사전 신청 후 초소에서 신분증 제시하여 출입)
안보관광지 신청서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출입시간 : 10:00 ~ 16:00 (12시~13시 제외)
*화요일 휴무
준수사항 : 출입 후 초소의 안내에 따라 행동하고 개별행동은 삼가야 합니다. 단체 관람 시, 출입자 명단을 미리 작성하면 출입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날씨 및 군부대 사정으로 인하여 불시 통제가 이뤄질 수 있습니다.]
11:00~11:50 1.21 무장공비 침투로 탐방
11:50~12:40 경기 연천군 장남면 장남로 288 번지에 있는 연천 경순왕릉(漣川 敬順王陵)으로 이동
12:40~13:10 연천 경순왕릉(漣川 敬順王陵) 탐방
[연천 경순왕릉(漣川 敬順王陵)
소재지 :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 산18-2
문화재 지정일 : 1975년 6월 25일 사적으로 지정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마지막 임금인 제56대 경순왕의 능. 왕릉.
1975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11,777㎡. 무덤봉분의 지름은 7m, 높이는 약 3m이다.
경순왕의 성은 김씨, 이름은 부(傅)이다. 신라 제46대 문성왕의 6대손이며, 이찬 효종(孝宗)의 아들이다. 927년에 왕이 되어 935년 왕건(王建)에게 나라를 물려줄 때까지 9년간 재위하였으며 978년(경종 3)에 죽었다.
능은 오랫동안 잊혀져 오다 조선시대에 찾게 되었다고 하며, 신라의 왕릉 가운데 경주지역을 벗어나 경기도에 있는 유일한 신라왕릉이다.
무덤의 외형은 둥근봉토분[圓形封土墳]으로 밑둘레에는 판석(板石)을 이용하여 무덤보호를 위해 병풍처럼 돌렸고 능 주위로는 곡장(曲墻)이 돌려져 있다. 능 앞에 혼유석(魂遊石)이 놓여 있고 ‘新羅敬順王之陵(신라경순왕지릉)’이라고 새긴 묘비가 세워져 있는데, 뒷면에 있는 비문의 내용에 의하여 경순왕의 무덤임이 확인되었고, 1747년(영조 23)에 이 비를 세운 것을 알게 되었다.
능 앞에 있는 기타 석물로는 네 면에 사각 화창과 팔각지붕형의 옥개를 얹은 장명등(長明燈)과 함께 그 좌우로 석양(石羊)과 망주석(望柱石)이 하나씩 서 있다. 신라왕릉의 경우 곡장이 마련된 것이 없으나, 고려시대에 들어와서 왕릉에 비로소 곡장을 마련하고 있어 묘비에서와 같이 경순왕이 죽자 고려 왕실에서 왕의 예로서 무덤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왕릉의 주변에는 1986년에 건립된 재실과 신도비를 보호하는 비각이 서 있다.]
13:10~13:25 경기 연천군 장남면 고랑포리 209 번지에 있는 고랑포구 역사공원으로 이동
13:25~13:50 고랑포구 역사공원 탐방
[연천 고랑포구 역사공원
위치 :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장남로 270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임진강을 통한 물자 교류 중심 역할을 하던 나루터이다. 1930년대 개성과 한성의 물자 교류를 통하여 화신 백화점의 분점이 자리 잡을 정도로 번성하였으나 한국전쟁과 남북 분단으로 쇠락하였다. 또한 1.21 무장공비 침투 사태의 침투로로도 유명하다. 연천 고랑포구 역사공원은 고랑포구의 새겨진 역사와 지리적 특성을 생생하게 구현·재현하였다. 가상·증강현실을 통해 실감 나는 역사 및 안보 체험이 가능하며 아이들의 놀이공간과 다목적 공간(식사 장소 포함) 및 세미나실로 구성되어 있다.
이용시간 : 10:00~18:00 (입장마감 17:00)
쉬는날 : 1월 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매주 월요일
문의및안내 : 031-835-2002 ]
13:50~14:15 경기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 1257-1 번지에 있는 연천 호로고루(漣川 瓠蘆古壘)로 이동
14:15~14:50 연천 호로고루(漣川 瓠蘆古壘) 탐방
[연천2경 : 임진강변에 쌓은 고구려군의 요새 호로고루
연천 호로고루(漣川 瓠蘆古壘)
대한민국의 사적 제467호
1. 개요
2. 조사 내용
3. 역사
4. 관련 유적
5. 사적 제467호
1. 개요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원당리에 위치하는 고구려 보루. 사적 제467호. 5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
여담으로 이름이 호로인데 임진강이 옛날에는 호로하(瓠瀘河)라고 불렸기 때문에 호로하에 있는 오래된 보루라는 뜻으로 호로고루라고 불리게 되었다.
2. 조사 내용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에서 1990년대부터 2014년, 2016년에 걸쳐서 조사한 고구려의 보루이다. 평면 이등변삼각형의 구조를 띠고 있는데, 사실 성벽이라고 말할 만한 건 동벽 단 하나뿐이다. 나머지 북쪽과 남쪽의 벽은 임진강, 한탄강의 용암절벽 그대로를 성벽으로 삼아서 공력을 줄였다.
대체로 토축이 주된 성벽의 구성방식이지만 일부구간에는 외면에 석축으로 보강한 곳도 있다. 또한 토축이라고 하지만 정확하게는 토축 가운데에 석축으로 심주를 둔 방법을 택하였다.
성 내부는 평탄한 지대로 감시초소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 주혈건물지와 고구려 때의 생활의 흔적, 그리고 고려시대의 건물지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고구려의 연화문 와당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는데, 장군총에서 나오는 와당부터 평양성에서 나오는 와당과 닮은 것이 많아서 호로고루의 중심적 운영연대는 역시 5세기대의 고구려 남진 정책의 산물로서 파악되고 있다.
고구려의 와당은 관아가 있는 건물에만 쓰였다라는 기록을 통해 볼 때, 이 임진강, 한탄강 대치라인에서 호로고루가 중요한 거점이었음을 추론하게 해주는 자료이다.
호로고루처럼 이등변삼각형의 평면형태를 보이는 보루들은 덕진산성(확인 要), 은대리성이 있다. 모두 와당이 나오는 거점 보루이다. 이 거점 보루들 간의 거리는 비교적 등간격이고 그 주변으로 더 작은 보루들이 임진강, 한탄강을 따라서 펼쳐져 있는데 농담이 아니라 거점보루를 대대본부, 작은 소형보루들은 작계 진지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또 이 거점 보루들의 특징으로 도하(徒河), 도섭(徒涉)이 용이한 지점에 설치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지금 현재 고구려 보루들이 그러한 입지에 보루를 설치하였다는 것은 주도권을 잡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런 전략적 입지선택을 바탕으로 고구려가 효과적으로 임진강, 한탄강 전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다고 파악하기도 한다.
여담으로 흙으로 만든 북이 출토되었다. 북 조각에는 '상고(相鼓)'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고구려의 고분벽화에서 보이던 북으로 추정된다.
3. 역사
광개토대왕의 남진 사업과 그를 계승한 장수왕대의 남진은 475년 일국의 수도를 점령하는 데까지 성공한 계획적인 진출이었다. 단계적으로 그 구분이 나뉘는데, 1. 황해도 일대의 점령, 2. 임진강·한탄강 유역 진출, 3. 양주 분지 진출, 4. 아차산 일대 진출, 5. 한성 공략의 과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광개토대왕 대의 남진으로 황해도 일대가 고구려의 수중에 들어갔으며 황해도 일대에는 구월산성, 장수산성 등의 대규모 포곡식 산성을 건설하여 통치 거점으로 삼았다. 이를 발판으로 임진강 일대에 전선을 형성하는 데에 성공한 것으로 이 임진강 일대의 보루군들은 그러한 과정의 증거이다. 임진강 권역 아래의 고구려 보루들은 모두 여기 임진강 유역의 거점 보루만큼 크지 않다. 되려 연천 무등리 보루처럼 비교적 소형인 형태로 주로 구성되고 있다는 점에서 마치 현대의 군대 편제 마냥 사단 - 대대 - 중대 및 각급 소대 진지와 같은 구성으로 아차산까지 진출한 끝에 목표 대상인 풍납토성 및 몽촌토성을 점령한 것이라 보면 될 것 같다.
한편 이 고구려 보루들은 남진의 성공으로 필요가 없어진 뒤 몇몇 주요 거점들에 한해서만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었고 추후 신라 진흥왕대에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에 즈음하여 다시 대 신라 방어선으로 재활용된다. 지금도 임진강에는 고구려 산성과 신라 산성이 대치하는 구도 그대로 발굴되는 양상이다.
4. 관련 유적
남한의 고구려 관련 성곽 유적
남한 지역에 있는 고구려 유적은 산성과 고분군으로 나뉜다. 9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고구려 유적에 대한 인식은 당연히 남한엔 거의 없다고 보았었으나 지표조사와 발굴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점차 그 알려지게 되었다. 남한 내 고구려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 철기의 편년은 5세기 중엽에서 6세기 중반경으로 판단되고 있으며 역사적 맥락으로도 장수왕의 남진정책에 따라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5. 사적 제467호
문화재청 홈페이지: 연천 호로고루 (漣川 瓠蘆古壘)
호로고루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효종 7년(1656)에 편찬된 『동국여지도』 이며 이책에는 호로고루가 삼국시대의 유적임이 명시되어 있고 최초의 학술조사 기록은 1919년에 발간된 『조선고적조사보고』이다. 이 보고서에는 도면과 함께 사진을 싣고 있으며 삼국시대 성으로서의 중요성이 기술되어 있다. 그 후 1991년부터 2003년 사이 본격적인 학술조사 및 발굴조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성의 형태는 북동쪽에서 남서 방향으로 흐르는 임진강에 접한 현무암 천연절벽의 수직단애 위에 있는 삼각형의 강안평지성(江岸平地城)이다. 성벽의 전체둘레는 성의 가장자리를 따라 재었을때 약 400여m이고, 그중 남벽은 161.9m, 북벽은 146m이며, 동벽은 현재 남아있는 부분이 93m이고 성내부는 전체적으로 해발 22m, 성벽 최정상부는 30m 정도이다. 성벽 중 가장 높은 동벽 정상부와 서쪽 끝부분에는 장대(將臺)가 설치되었으며, 성으로 진입하는 문지는 동벽 남쪽을 제외하고는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천호로고루는 연천당포성, 연천은대리성과 함께 임진강과 한탄강이 지류와 만나 형성하는 삼각형의 대지위에 조성된 독특한 강안평지성(江岸平地城)으로 임진강이 국경하천역할을 했던 삼국시대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학술적으로 가치가 높은 귀중한 문화유적이다.]
14:50~15:05 경기 연천군 장남면 자작리에 있는 자작리마을회관 버스 정류장으로 이동하여 탐방 완료
15:05~15:30 자작리마을회관 버스 정류장에서 적성전통시장 정류장으로 가는 093-1번 버스 승차 대기
15:30~15:19 093-1번 버스를 타고 자작리마을회관 정류장에서 적성전통시장 정류장으로 이동 [19분, 8개 정류장 이동]
15:19~16:00 적성전통시장 정류장에서 양광교회 정류장으로 가는 30번 버스 승차 대기
16:00~18:19 적성전통시장 정류장에서 양광교회 정류장으로 이동 [2시간 19분, 118개 정류장 이동]
18:19~18:25 서울 은평구 녹번동에 있는 양광교회 정류장에서 불광역으로 이동
18:25~18:30 불광역에서 구산역으로 가는 6호선 지하철 승차 대기
18:30~18:36 6호선을 타고 불광역에서 구산역으로 이동 [6분 소요]
연천 1.21 무장공비 침투로 위치도
연천 경순왕릉 위치도
연천 고랑포구 역사공원 위치도
연천 호로고루 위치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