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47개 증권사의 자산 중 위험액 규모가 상반기에 33조원을 넘어섰다. 위험액은 자산의 급격한 가격 변동이나 거래 상대방의 파산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손실 규모를 뜻한다. 올 들어 반년 사이 2조원 늘었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 47곳이 보유하고 있는 위험액은 지난 6월 말 기준 33조5669억원에 달했다. 작년 말(31조6046억원) 대비 6.2%(1조9623억원) 증가했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말(24조6003억원)과 비교하면 2년 반 동안 9조원가량 증가했다. 이 기간 BNK·다올·하이 등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투자했다가 손실 위험에 처한 중소형 증권사들의 위험액 증가율이 컸다. PF는 담보 없이 사업 전망을 보고 대출해주는 것을 말한다.
국내 증권사 총위험액 추이
BNK투자증권은 위험액이 3179억원에 달해 2019년 말(660억원)보다 376.2%나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다음으로 흥국증권(173.4%), 다올투자증권(128.6%), 한화투자증권(107.9%), 하이투자증권(105.6%) 등의 순이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다올투자증권과 BNK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은 부동산 PF 익스포저(리스크에 노출된 금액) 중 손실 위험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비율이 20%(지난 3월 말 기준)를 넘는다.
이재우 한국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유동성 장세 속에서 투자 위험을 과도하게 떠안고 자금을 운용해온 일부 증권사가 수익성 악화를 넘어 급격한 부실 위험에 노출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근 시장에는 일부 증권사나 캐피털사가 경영난으로 매각되거나 부도가 날 것이라는 루머까지 퍼지고 있어 금융 당국이 진화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한국거래소와 공동으로 악성 루머가 도는 종목에 대한 합동 단속반을 가동키로 했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허위 사실을 유포하는 주가 불공정 거래 세력 또는 공매도 세력이 있을 가능성에 대해 집중 조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