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혜 선사의 활발발한 선기 드날린 별전의 도량
지난 3월 10~13일 한국 불교의 대표적 선지식 고우 스님(봉화 금봉암), 대강백 무비 스님(범어사 승가대학장)이 중국의 간화선 선적지를 찾았다. 간화선을 창시한 대혜(大慧, 1089~1163) 선사의 흔적과 고봉(高峰, 1238~1295) 선사의 숨결을 만끽하기 위해서다. 조계종중앙신도회 부설 불교인재개발원이 주관한 간화선 선적지 순례에는 108명의 간화선 수행자들이 함께했다. 법보신문은 순례 길에 동행, 7회에 걸쳐 연재한다.
|
1600여 년 전 중국 동진시대에 창건돼 선종 5산의 하나로 꼽히는 아육왕사는 대혜 선사가 15년간의 귀양살이를 마치고 68세부터 3년간 주지를 살며 선기(禪氣)를 드날린 도량이다. |
|
오늘날 한국불교에서 최상승의 수행법으로 불리는 간화선은 화두를 통해 삼매에 이르고, 그것을 타파해 조작과 시비, 분별을 송두리째 뽑아내 청정한 본래 모습을 확인하는 수행이다. 말과 생각의 길이 끊긴 자리에서 화두를 타파하는 바로 그 순간 본래 부처의 자리로 돌아간다.
화두는 부처와 조사의 말이다. 하여 인간의 생각과 말이 더듬을 수 없는 말 이전의 말이요, 생각 이전의 생각이라고 한다. 화두를 들어 사유의 자취, 말의 자취가 끊어지고 있는 그대로를 볼 수 있을 때에야 진리는 아무런 가감 없이 드러난다. 그렇게 말없이 전해져온 법은 오조 법연과 원오 극근을 거쳐 대혜 종고에 이르러 비로소 간화라는 이름으로 그 체계를 갖췄다.
개구즉착(開口卽錯). 말이 더해지면 그것은 하나의 이해요 착각이며 집착이다. 그래서 서산대사는 “누구든지 말에 팔리면 꽃을 드신 것이나 빙긋이 웃은 일이 모두 교의 자취가 될 것이요. 마음에서 얻으면 세상의 온갖 잡담이라도 선지가 될 것”이라고 했다.
저장(浙江)성 닝보(寧波)에 첫 발을 내디딘 간화선 선적지 순례단이 불이(不二)의 깨달음으로 나아가기 위한 쉴 틈 없는 일정에 들어갔다. 첫 방문지는 닝보 시내에서 30여분 거리에 위치한 아육왕사(阿育王寺). 1600여 년 전 중국 동진시대에 창건돼 선종 5산의 하나로 꼽히는 이곳은 대혜 선사가 15년간의 귀양살이를 마치고 68세부터 3년간 주지를 살며 활발발한 선기(禪氣)를 드날린 도량이다.
|
대혜 선사의 얼굴과 행장을 소개한 석판. 개산당에 모셔진 이 석판이 선사의 유일한 흔적이다. |
|
대혜 선사는 북송 말 남송 초의 험난한 시대를 살았다. 요나라와 금나라의 끊임없는 침략으로 국가의 존립이 위협받고, 백성들은 전란에 휩쓸려 삶의 터전을 잃고 유랑걸식으로 목숨만 겨우 연명하던 때였다. 이에 대혜는 선풍을 진작해 피폐해진 시대정신을 일깨우고 침체된 사회 분위기를 중흥시키겠다는 원을 세웠다. 그 중에서도 국가 지도층인 사대부(士大夫)들이 간화선을 바로 알아야 국난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때부터 곳곳의 인사들과 서찰을 주고받으며 그들의 선지를 발현하는데 힘썼고, 그렇게 오고간 편지글이 한권의 책으로 묶여진 것이 바로 오늘날 한국불교에서 수행자들의 필독서로 손꼽히는 『서장(書狀)』이다.
『서장(書狀)』은 대혜 선사가 40명의 사대부와 2명의 스님과 주고받은 수행에 관한 편지글 모음이다. 대혜는 항시 “세간의 번뇌는 활활 타는 불과 같으니 그 불길이 어느 때나 멈추겠는가. 시끄러운 곳에 있어도 대나무 의자와 방석 위에 앉아 공부하는 일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때와 곳을 가리지 말고 공부할 것을 후학들에게 당부했다. 이러한 대혜의 선풍은 그가 아육왕사에 머물고 있을 당시 그 회상에 1만 2000여 대중이 모여들었다는 데서 미루어 짐작하고도 남음이다.
해동의 수행자들이 간화의 체계를 세운 주인공 대혜 선사의 회상으로 향하는 걸음을 서둘렀다. 아육왕사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정골사리를 모신 도량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는 곳. 정골사리가 봉안된 사리보탑은 아육왕사의 창건과 깊은 연관이 있다. 1600여 년 전 혜달이라는 스님이 꿈속에서 도인이 알려준 장소에 도착해 3일간 기도를 올렸더니 5층 4각의 사리보탑이 지하에서 솟아올라 절을 지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사리탑만 세운 작은 사찰이었는데 양무제(梁武帝)가 아육왕이라는 이름을 하사한 후 대찰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여기서 아육왕은 불법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사회를 구현하고자 했던 고대 인도의 아쇼카왕을 말한다.
순례단은 이곳에서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친견하는 선물을 받았다. 사리보탑의 보수공사로 출입이 통제됐으나 순례단의 방문 소식을 들은 아육왕사 주지 스님이 진신사리를 모셔와 참배하도록 배려했다. 황금색 종 안에 좁쌀만한 크기로 매달려 있는 사리는 신심 약한 불자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는 이에 따라 검은색으로, 커피색으로, 흰색으로 변한다고 한다. 그러나 순례단 가운데 사리를 보지 못한 이는 아무도 없었으니, 구법의 길에 오른 이들의 신심이 보통은 아니었던 모양이다.
선사의 자취를 찾아볼 양으로 도량 이곳저곳을 기웃거렸다. 그러나 선사의 흔적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개산당(開山堂)에 모셔진 역대 주지들의 얼굴과 행장을 소개한 석판에서 대혜의 흔적을 유일하게 볼 수 있었다.
‘조고화두(照顧話頭ㆍ화두를 비추어 보라)’ ‘염불시수(念佛是誰ㆍ부처를 염하는 자 누구인가)’, 낯설지 않은 글귀가 발걸음을 붙든다. ‘선원(禪院)’이라 쓰인 편액을 보고 결례임을 알면서도 문을 열고 조심스레 건물 안으로 들어갔다. ‘허락 없이 들어가서는 안 된다’는 경고문이 선명했으나 이미 경계를 넘어서며 몽둥이찜질쯤은 각오한 상태였다.
|
허리를 곧추세운 채 정진 중인 대혜의 법손들. |
|
선원은 독채 형태의 선방과 지대방 단 두 동으로 단출했다. 반쯤 열린 선방의 문틈으로 얼굴을 들이미니 커다란 목탁 뒤로 허리를 곧추세운 채 정진 중인 스님들이 한 눈에 들어왔다. 대혜의 법손들이다. 조심스레 카메라를 꺼내 들고, 서둘러 셔터를 눌렀다. 갑작스런 카메라 플래시에 놀랄 법도 하건만 대혜의 법손들은 이미 깊은 선정에 들었는지 작은 미동조차 보이지 않는다. 무상정등보리(無上正等菩提)를 위한 치열한 구도열에 잠시 마음을 빼앗겼다. 그러나 더 이상은 무례일 것 같아, 아니 실은 선사들의 방(棒)이 정말로 날아올 것 같아 서둘러 선원의 경계를 넘어 안전지대(?)로 빠져나왔다.
아육왕사의 가장 깊숙한 곳에 위치한 사리보탑으로 자리를 옮겼다. 보수공사로 출입이 통제됐다고 하나 꼭 참배하고 싶은 마음이 앞섰기 때문이다. 두 손을 모으고 탑을 반 바퀴쯤 돌 즈음, 감춰진 듯 조심스레 붙어있는 포스터 한 장이 눈에 들어왔다. 포스터에는 티베트 불교 최대 분파 중 하나인 까규파의 수장 17대 까르마파의 얼굴과 서원이 선명히 담겨 있었다.
“…우리는 당신의 암울한 일면을 멋대로 드러내려는 것이 절대로 아닙니다. 자유라는 이름의 행복의 과실을 만들어낼 평화로운 논밭을 일구기 위함입니다. ….”
티베트의 자유를 갈망하는 내용이었다. 중국의 동부, 그것도 수많은 중국인들이 수시로 찾아와 참배하는 이곳에 붙어있는 이 포스터는 중국 정부 입장에서 볼 때 분명 불온 문서임이 틀림없다. 포스터는 적어도 두 달 이상은 붙어있었던 듯했지만 아마도 중국 공안들이 아직 발견하지 못한 모양이다. 불연 듯 대혜 스님 당시가 그려졌다. 나라의 평화와 안정을 바랐던 대혜의 마음이 까르마파의 마음과 결코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딱!” 한 스님이 휘적휘적 느린 걸음으로 커다란 나무토막에 손잡이가 달린 도구를 나무망치로 툭툭 두드리며 경내를 활보한다. 경내에 울려 퍼지는 소리가 단출한 모습과 대비될 만큼 맑고 청아하다. 중국인 관광객들이 서둘러 입구를 향하는 모습이 아마도 그만 도량을 나서야 한다는 뜻인 듯했다.
서둘러 나서는 길에 사찰 입구에 위치한 샘물 이름이 또다시 발을 멈추게 한다. 묘희천(妙喜泉, 미묘한 기쁨을 주는 샘), 묘희는 다름 아닌 대혜 스님의 호. 참된 이치를 깨달았을 때 느끼는 황홀한 기쁨, 즉 법열을 뜻하는 말이다.
“딱! 딱! 딱!”
나무망치 소리가 점점 가까워진다. 그러나 그 소리는 더 이상 채근이 아닌 “공부하라”는 경책의 말이 되어 온몸으로 스며든다.
meopit@beopbo.com
950호 [2008-05-26]
첫댓글 _()()()_
잘 읽었습니다.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