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공산은 삼국시대부터 공산(公山). 중악(中岳).부악(父岳) 등으로 불려져 온 영남 지역의 명산(名山)이다.
'중악'이나 '공산'의 명칭은 「삼국유사(三國遺事)」.「삼국사기(三國史記)」등의 기록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공산'은 현재의 팔공산을칭하는 것이고, '중악'이라는 것은 신라 오악(五岳)의 하나로 불리던 명칭이었다.
삼국사기」권32. <제사지(祭祀志)>에 기록된 삼산(三山)과 오악(五岳)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신라는 산악을 신격화하여 호국신군으로 받드는 산악숭배사상으로서 삼산 오악을 두었는데,
이를 대사와 중사로 표현하여 국가 최상의 제전으로 삼았다.
곧 신라의 대사삼산(大祀三山)과 중사오악(中祀五岳)은 국가의 안녕을 기원하는 동시에
확장되는 신라세력을 상징하는 신라 최고의 호국성신(護國聖神)이었던 것이다.
신라 오악이라는 것은 동쪽 토함산(동악),
서쪽 계룡산(서악), 남쪽 지리산(남악), 북쪽 태백산(북악) 그리고 중앙의 공산(중악)을 지칭한다.
이는 곧 팔공산이 통일신라의 중심지적 위치에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이렇듯 팔공산은 신라 호국성신인 오악의 하나로서 신라의 상징적인 존재로
국가차원에서 숭배되어 온 영산(靈山)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신령스러운 땅에 불교가 수용되면서부터는 자연히 신라불교의 성지로서 자리매김 되었으며,
신라 하대에 이르러서는 왕실의 원찰지(圓刹地)로서 원찰 조성과 원탑(願塔)조성 등 융성한 불교문화를 꽃피우게 된다.
대구 팔공산 지도(1)
대구 팔공산 지도(2)
대구 팔공산 지도(3)
대구 팔공산 지도(4)
대구 팔공산 지도(5)
이 흐름은 고려시대에서도 계속되어 고려의 초조대장경(初彫大裝經)이 부인사(符仁寺)에 봉안되고,
유가종(瑜伽宗)의 거봉인 홍진국사 혜영(弘眞國師 惠永). 자정국사 자안(慈靜國師 子安)은
동화사(桐華寺) 주지로서 전국의 불교를 관장하는 오교도승통(五敎都僧統)이 되어 이 땅의 불교를 호령하였다.
불교가 탄압받던 조선시대에도 은해사(銀海寺)가 인종태실수보사찰(仁宗胎室守譜寺刹)로,
파계사(把溪寺)가 영조(英祖)의 장수를 비는 원찰로서 조선 왕실의 보호를 받는 등 팔공산의 법등은 계속 밝혀져 왔다.
이같은 전통으로 이곳에는 현재도 수십개소의 사찰이 자리잡고 있으면서 불교문화의 꽃을 피우고 있다.
팔공산의 불국(佛國)은 영산으로서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 강력한 지방 세력의 거점지였기 때문에
신라. 고려. 조선 등 왕조를 달리하면서도 계속 왕실의 호위를 받을 수 있었고,
그러한 배경 속에서 각 왕조의 중심적 불교문화가 지속되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렇듯 지방 호족적이면서도 중앙왕실적 불국으로서의 팔공산의 불교사(佛敎史)는
군위 삼존석불을 비롯, 동화사 .은해사 등 도처에 남겨진 불적과 현존하는 사찰들에서 그 일면을 살펴 볼 수 있다.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맥을 이어온 불교의 역사와 함께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남겨져 있는 이같은 불적들을 보노라면,
마치 이 곳에 불교의 모든 사상 형태들이 포함된 듯이 보인다.
아미타신앙, 미륵신앙, 밀교신앙 등이 시대의 정치상황과 맞물려 전개되었으며, 그러한 사상에 따른 불교예술도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그래서 시간성을 배제하고 본다면 팔공산은 모든 불교신앙이 집약된 듯한 느낌을 갖는다.
(동화사 통일 대불)
*.동화사 유래.
동화사의 창건에 대해서는 두 가지 다른 주장이 있다. 동화사 사적비 桐華寺 寺跡碑 에 의하면,
신라 소지왕 15년(493) 극달極達화상이 창건하여 유가사瑜伽寺라 부르다가 흥덕왕 7년(832) 심지心地대사가 중창할 때
오동나무가 겨울에 상서롭게 꽃을 피웠다 하여 동화사 桐華寺 라 이름을 고쳤다고 전한다.
또한 삼국유사에 의하면 진표 율사로부터 영심 永深대사에게 전해진 팔간자를 심지 대사가 받은 뒤
팔공산에 와서 이를 던져 떨어진 곳에 절을 지으니 이곳이 바로 동화사 첨당 籤堂 북쪽 우물이 있는 곳이었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이상의 두 가지 창건설 가운데 신라 흥덕왕 7년(832) 심지 대사가 중창한 시기를 사실상 창건으로 보는 게 일반적인 견해이다.
동화사는 창건 뒤 현재의 대가람으로 정비되기까지 여러 차례 중창과 개축이 이루어졌다.
동화사는 신라말인 934년 영조 靈照선사, 고려 명종 20년(1190) 지눌보조 普照국사,
고려 충렬왕 24년(1298)홍진 弘眞국사에 의해 각각 중창 중건되었다.
보조국사는 호국불교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동화사 중창에 크게 공헌하여 동화사와 염불암에 영정이 모셔져 있다.
또 고려 말기 대표적인 고승인 홍진 국사는 동화사를 하안소 下安所로 삼고 대규모 중창을 이루었다.
현재 해탈교 건너편에 국사를 기리는 부도가 남아있다.
조선 시대에는 선조 39년 (1606) 유정 惟政사명대사, 숙종 3년(1677) 상숭 尙崇대사,
영조 8년(1732) 관허 冠虛, 운구 雲丘, 낙빈 洛濱, 청월 晴月 대사 등이 각각 중창 중건하였다.
대웅전을 비롯하여 천태각, 영상전, 봉서루, 심검당 등 현존하는 당우들은 대부분 조선조 영조 때 중창한 건물들이다.
지난 1992년 통일약사여래석조대불의 낙성을 전후해 동화사의 많은 당우들이 새롭게 지어졌다.
*.팔공산 동화사 염불암
동화사 염불암 소재지가 동구 도학동 산124-1이며
유형문화재 제14호 마애여래좌상 및 보살좌상(同華寺 念佛庵 磨崖如來坐像)과
유형문화재 제19호 동화사 염불암 청석탑(同華寺 念佛庵 靑石塔)를 보유하고 있다.
동화사 암자 염불암은 팔공산 너른 품안 안겨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대구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암자이다.
염불암이란 법당 뒤에 있는 큰바위에서 염불소리가 들려 이곳에 암자를 지어 불렀던데서 유래 하였다 한다.
염불암의 극락전(極樂殿) 뒤쪽에 있는 염불바위의 양면에 여래상과 보살상이 좌우에 나란히 새겨져 있다
마애불좌상.
우뚝 솟은 암석 두 면에 아미타불좌상(阿彌陀佛坐像)과 관음보살좌상(觀音菩薩坐像)이 부조되어 있다.
아미타불좌상의 높이는 4m, 관음보살좌상의 높이는 4.5m.
판내(瓣內)에 화려한 꽃무늬가 선각된 단판중엽연화문(單瓣重葉蓮華文)의 대좌에 앉은 자세,
비만한 얼굴에 미련스런 표정, 선각화된 옷주름선 등은 서로 유사하나, 관음보살상이 좀더 가냘프게 조각되었다.
그러나 아미타불좌상의 신체가 당당한 점에서 고려 마애불좌상으로 추정된다.
동화사 염불암 청석탑(靑石塔)은 유리안에 보관되어 있으며
이 탑은 탑신이 없고 3단의 화강암 지대석 위에 옥개석만 포개져 있는 형태이다
탄신부가 남아 있다 하더라도 옥개석의 크기와 지대석의 넓이로 보아 탑의 규모는 그다지 크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륜부는 재질이 다른 석재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원래의 것이 아닌 듯 하다.
팔공산의 또 다른 명소중 하나인 <동화사 염불암>은 언제 찾아 보아도 정감이 드는 암자입니다.
유형문화재 제14호 마애여래좌상 및 보살좌상(同華寺 念佛庵 磨崖如來坐像)과
유형문화재 제19호 동화사 염불암 청석탑(同華寺 念佛庵 靑石塔)을
한번더 관심 갖고 살펴 보시고 우리의 조상의 훌륭한 유산을 잘 보전하여 우리의 아들 딸들에게 물려주어야 겠습니다.
#. 신록의 바다, 천천히 걷는 것만으로도 즐겁다.
.
◆.올레길+문화유적 ‘일석이조’
이달 8일 대구녹색소비자연대가 마련한
팔공산 올레길 7코스 걷기에 동참했다.
이날은 봉황문~금당선원 앞~대웅전~비로암~
염불암까지의 왕복 코스다.
이날 행사의 콘셉트는 동화사 주위의 보물찾기와
올레길 걷기다.
대구의 보물 67점 가운데 마애불좌상, 당간지주,
비로암 등 동화사에 무려 11점이나 있다.
참가자들은 동화사 주위를 돌며 각종 보물을 찾고
확인 스탬프를 받느라 한창이었다.
매년 아이와 함께 참가한다는 박해식(48·여) 씨는
“그냥 지나치기 쉬운 우리의 문화유적을
한 번 더 눈여겨볼 수 있다”며
“아이들에게 산교육의 장을 만들어줘 의미가 깊다”고
말했다.
문화유적을 찾으며 허기진 배를 점심공양으로 때운 뒤
염불암까지의 왕복 산행에 나섰다.
동화사주차장에서 염불암(2.1㎞)까지의
가벼운올레길 걷기다.
계곡의 물소리와 이름 모를 산새소리가 코러스를 이루어
천천히 걷는 느림의 미학을 느낀다.
바쁘게 걸을 필요는 없다.
자연을 느끼면 그만이다.
친구와 같이 온 정재훈(29`회사원) 씨는
“올레길을 걸으며 건강도 챙기고 문화유적도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하다”고 말했다.
계곡의 힘찬 물소리를 들으며 길 가에 피어있는 야생화에 자기만의 의미를 담아
이름을 붙여주며 걷는 것도 흥미롭다.
송글송글 이마에 맺히는 땀방울을 훔치며 1시간여를 걸었을까.
염불암이 가까워졌다는 징표일까.
길가에 쌓아 놓은 돌탑들이 구도자의 혼을 보는 듯했다.
염불암에 올라서니 바위 서면과 남면에 새겨진 마애불좌상과 보살좌상이
속세의 티끌을 씻어버리라는 듯
무언의 온화한 가르침을 던진다.
▷.폭포길 가는 길(7코스)
= 탑골등산로→깔딱고개→상상골→동화사 경내→폭포골 가는 길→폭포골 왕복→
동화사 봉황문(편도 3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