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메타-성경신학연구회 원문보기 글쓴이: 펄군
성경요약
https://youtu.be/FOH4qvNr9O8?si=sK1DPVam0tvZneJr
관주성경
http://kcm.co.kr/bible/kor/Amo1.html
성경 통독
https://goodtvbible.goodtv.co.kr/audio.asp?post_bible_version=2&post_bible_idx=30&jang=1&post_listen_type=1
성경 구조 및 연대기
라이프 성경사전 참조
참고 성경 : 신 18:15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희 가운데 네 형제 중에서 너를 위하여 나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일으키시리니 너희는 그의 말을 들을지니라 ... 18 내가 그들의 형제 중에서 너와 같은 선지자 하나를 그들을 위하여 일으키고 내 말을 그 입에 두리니 내가 그에게 명령하는 것을 그가 무리에게 다 말하리라 19 누구든지 내 이름으로 전하는 내 말을 듣지 아니하는 자는 내게 벌을 받을 것이요 20 만일 어떤 선지자가 내가 전하라고 명령하지 아니한 말을 제 마음대로 내 이름으로 전하든지 다른 신들의 이름으로 말하면 그 선지자는 죽임을 당하리라 하셨느니라 21 네가 마음속으로 이르기를 그 말이 여호와께서 이르신 말씀인지 우리가 어떻게 알리요 하리라 22 만일 선지자가 있어 여호와의 이름으로 말한 일에 증험도 없고 성취함도 없으면 이는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것이 아니요 그 선지자가 제 마음대로 한 말이니 너는 그를 두려워하지 말지니라
마 5:17 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를 폐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말라 폐하러 온 것이 아니요 완전하게 하려 함이라
눅 6:40 제자가 그 선생보다 높지 못하나 무릇 온전하게 된 자는 그 선생과 같으리라
요 19:30 예수께서 신 포도주를 받으신 후에 이르시되 다 이루었다 하시고 머리를 숙이니 영혼이 떠나가시니라
계 21:6 또 내게 말씀하시되 이루었도다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마지막이라 내가 생명수 샘물을 목마른 자에게 값없이 주리니
요절 및 주제
본서의 요절은 3:20~21 “유다는 영원히 있겠고 예루살렘은 대대로 있으리라 내가 전에는 그들의 피흘림 당한 것을 갚아 주지 아니하였거니와 이제는 갚아 주리니 이는 여호와께서 시온에 거하심이니라”이다. 요엘은 인생의 모든 고통을 죄의 결과로 보았다. 따라서 메뚜기 떼의 내습과 한밭 역시 죄에 대한 응보라고 했다. 요엘은 자연적인 재앙과 이스라엘 백성의 도덕적인 생활 사이에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믿고 만사와 만물을 창조하시고 섭리하시는 여호와의 뜻을 깨달을 것을 촉구한다. 모세오경에서 언약하신 하나님의 뜻대로 선민국가가 분국되었고 앞으로 유수될 수밖에 없음을 자연적인 재해를 통해 예언한다. 이처럼 남왕조의 불순종으로 유수케 되지만 하나님은 열조와의 언약을 기억하시고 남왕조를 회복하시는 여호와이심을 예언한다. 따라서 본서의 주제는 유수된 “남왕조를 회복하시는 하나님”이다.
성경구조
제1장 선민국가 회복 예언 (호세아∼미가) 호세아에서 미가까지는 여호와 하나님께서 선민국가를 제사장 나라로 회복하시는 섭리에 대한 선지자의 예언 내용이다. 하나님께서 언약자손에게 선민국가를 회복하시는 섭리에 대한 선지자의 예언을 통해 메시야 보내실 것을 언약해 주시려고 북왕조는 패망케 하시되 선민은 회복하여 거룩한 백성을 삼으시려고 열방과 선민을 심판하시는 섭리 내용을 예언하게 하신다. | |
제1절 북왕조 패망과 선민 회복 예언 (호세아) 호세아의 전체 내용은 여호와 하나님께서 언약자손을 회복하시는 섭리에 대한 선지자의 예언 내용이다. 하나님께서 선지자로 언약자손에게 북왕조는 패망케 하시되 선민을 회복하시는 섭리에 대한 선지자의 예언을 통해 메시야 보내실 것을 예언하게 하시려고 선지자를 통해 例證하시고 불신앙에 의한 패망 가운데 선민국가의 회복에 대한 약속의 내용을 예언하게 하신다. 1. 선지자를 통한 例證과 예언 (1:∼3:) 1) 북 왕조의 음행에 대한 심판 (1:) (1) 북 왕조 음행에 대한 예증 (1:1~9) (2) 언약자손으로서의 회복 예언 (10~11) 2) 북 왕조의 심판과 선민 구원 (2:∼3:) (1) 북 왕조의 영적 음행 심판 (2:1~13) (2) 언약자손의 회복과 축복 (14~23) (3) 선지자를 통한 회복의 예증 (3:) 2. 불신앙에 의한 패망 예언 (4:∼10:) 1) 죄로 인한 북 왕조 패망 (4:~5:) (1) 북 왕조의 죄의 관영 (4:) (2) 지도자에 대한 경고 (5:1~14) 2) 불신에 의한 선민국가 패망 (5:15∼8:) (1) 근원적인 선민의 죄 경고 (6:~7:2) (2) 선민국가 지도자의 죄 경고 (7:3~16) (3) 우상숭배로 멸망 예언 (8:) 3) 심판에 대한 예언 (9:∼10:) (1) 선민국가에 대한 심판 (9:) (2) 하나님의 의의 실현 (10:) 3. 선민국가 회복에 대한 예언 (11:∼14:) 1) 회개의 촉구 (11:∼12:) (1) 선민에 대한 하나님 사랑 (11:) (2) 선민에 대한 하나님 언약 (12:) 2) 선민국가 회복에 대한 예언 (13:∼14:) (1) 북 왕조의 멸망에 대한 예언 (13:) (2) 선민국가 회복에 대한 예언 (14:) 제2절 선민국가 재난과 회복 예언 (요엘~아모스) 요엘부터 아모스의 전체 내용은 여호와 하나님께서 선민을 재난 가운데 회복하시는 섭리에 대한 선지자의 예언 내용이다. 하나님께서 선지자로 언약자손에게 북왕조는 패망케 하시되 선민을 회복하시는 사역에 대한 선지자의 예언을 통해 메시야 보내실 것을 예언하게 하시려고 선지자를 통해 남 왕조의 재난과 회복과 북 왕조 패망과 선민 회복에 대한 약속의 내용을 예언하게 하신다. 1. 남 왕조의 재난과 회복 예언 (요엘) 요엘의 전체 내용은 여호와 하나님께서 남 왕조를 재난 가운데 회복해 주시는 내용에 대한 선지자의 예언 내용이다. 하나님께서 선지자로 언약자손에게 남 왕조를 재난 가운데 회복해 주시는 섭리를 예언하게 하시려고 남 왕조 여호와 날의 재난과 준비된 여호와의 날에 심판과 구원에 대한 약속의 내용으로 예언하게 하신다. 1) 남 왕조 여호와 날의 재난 (1:) (1) 메뚜기의 침입과 경고 (1:1~14) (2) 재난에 의한 공포 (15~2:11) 2) 준비된 여호와의 날 (2:12~32) (1) 회개에 대한 권고 (12~17) (2) 준비된 여호와의 날 (18~32) 3) 심판과 구원에 대한 예언 (3:) (1) 열국에 대한 여호와의 심판 (3:1~8) (2) 남 왕조의 영원한 회복 (9~20) 신약 인용 : 스데반은 공회 앞에서 증거할 때 아모스 5:25-27을 인용하여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을 버렸으므로 하나님도 저들을 버려 그 범죄 행위대로 두셨다고 했다(행 7:42). 또 야고보는 예루살렘 회의 중에 아모스서 9:11을 인용하여 “이후에 내가 돌아와서 다윗의 무너진 장막을 다시 지으며 그 퇴락한 것을 다시 지어 일으키리니”(행 15:16)라고 했다. | 2. 북 왕조 패망과 선민 회복 예언 (아모스) 아모스의 전체 내용은 여호와 하나님께서 북 왕조는 패망케 하시되 선민은 회복해 주시는 섭리에 대한 선지자의 예언 내용이다. 하나님께서 선지자로 언약자손에게 선민국가를 회복해 주시는 섭리에 대해 예언하게 하시려고 이방과 선민의 심판을 통해 북왕조의 패망과 선민의 회복에 대한 이상에 대해 예언하게 하신다. 1) 이방과 선민에 대한 예언 (1:∼2:) (1) 이방에 대한 심판 (1:~2:3) (2) 선민에 대한 예언 (4~3:8) 2) 선민의 패망에 대한 예언 (3:9~6:) (1) 사마리아의 멸망 (3:9~4:3) (2) 북 왕조의 멸망 (4~6:) 3) 패망과 회복에 대한 예언 (7:∼9:) (1) 세 가지 환상과 복 왕조 저주 (7:) (2) 북 왕조 패망에 대한 예언 (8:1~9:6) (3) 선민의 회복에 대한 예언 (9:7~15) 제3절 열방과 선민 심판에 대한 예언 (오바댜~미가) 오바댜부터 미가의 전체 내용은 여호와 하나님께서 열방과 선민을 심판하시는 섭리에 대한 선지자의 예언 내용이다. 하나님께서 선지자로 언약자손에게 열방과 선민 심판하시는 섭리에 대한 선지자의 예언을 통해 메시야 보내실 것을 예언하게 하시려고 에돔은 멸하지만 앗수르는 잠시 심판을 유보하고 선민의 구원에 대한 약속의 내용을 예언하게 하신다. 1. 에돔에 대한 예언 (오바댜) 오바댜의 전체 내용은 여호와 하나님께서 에돔과 열방을 멸하시고 선민은 구원하실 섭리에 대한 선지자의 예언 내용이다. 하나님께서 선지자로 언약자손에게 야곱 족속의 구원에 대하여 예언하게 하시려고 에돔의 멸망을 예고하며 에돔의 포악을 책망하면서 선민의 구원에 대한 약속을 예언하게 하신다. 1) 에돔과 열방의 멸망 (1:1~16) 2) 선민의 구원에 대한 예언 (17~21) 2. 앗수르의 심판 유보 (요나) 요나의 전체 내용은 여호와 하나님께서 선지자로 앗수르의 심판을 유보하심에 대한 선지자의 예언 내용이다. 하나님께서 선지자로 언약자손에게 선지자로 앗수르의 심판을 유보하심에 대해 예언하게 하시려고 선지자의 소명과 사역에 대한 사건과 앗수르의 회개에 대한 사건으로 예언하게 하신다. 1) 선지자의 소명과 사역 (1:1~17) (1) 선지자의 불순종 (1:1~17) (2) 요나의 회개와 구원 (2:1~10) 2) 앗수르의 심판 유보 (3:~4:) (1) 요나의 니느웨 전도(3:1~10) (2) 니느웨의 회개와 심판 유보 (4:1~11) 3. 선민의 구원에 대한 예언 (미가) 미가의 전체 내용은 여호와 하나님께서 선민을 구원 하실 것을 약속해 주시는 선지자의 예언 내용이다. 하나님께서 선지자로 언약자손에게 선민의 구원을 약속해 주시는 내용을 예언하게 하시려고 선민의 심판을 예고하고 선민국가의 회복을 약속하면서 심판과 회복에 대한 내용으로 예언하게 하신다. 1) 선민의 심판에 대한 예언 (1:∼3:) (1) 선민국가에 대한 심판 (1:) (2) 북 왕조의 멸망과 선민 구원 (2:) (3) 지도자들의 범죄와 예루살렘 황폐 (3:) 2) 선민국가의 회복에 대한 예언 (4:∼5:) (1) 예루살렘 회복에 대한 예언 (4:1~5) (2) 선민의 회복에 대한 예언 (6~5:) 3) 심판과 회복에 대한 예언 (6:∼7:) (1) 회개의 권고와 심판의 경고 (6:) (2) 범죄 중에 선민국가의 회복 (7:) |
성경읽기
제1장 선민국가 회복 예언 (호세아∼미가)
제1절 북왕조 패망과 선민 회복 예언 (호세아)
제2절 선민국가 재난과 회복 예언 (요엘~아모스)
1. 남 왕조의 재난과 회복 예언 (요엘)
2. 북 왕조 패망과 선민 회복 예언 (아모스)
1) 이방과 선민에 대한 예언 (1:∼2:)
2) 선민국가의 패망에 대한 예언 (3:~6:)
3) 북왕조 패망과 선민회복에 대한 예언 (7:∼9:)
(1) 세 가지 환상과 복 왕조 저주 (7:) https://goodtvbible.goodtv.co.kr/audio.asp?post_bible_version=2&post_bible_idx=30&jang=7&post_listen_type=1
7: 1~ 3 황충의 환상 첫째, 메뚜기 災殃
암7:1主 여호와께서 내게 보이신 것이 이러하니라 王이 풀을 벤 後 풀이 다시 움돋기 始作할 때에 主께서 메뚜기를 지으시매 암7:2메뚜기가 땅의 풀을 다 먹은지라 내가 이르되 主 여호와여 請하건대 赦하소서 야곱이 微弱하오니 어떻게 서리이까 하매 암7:3여호와께서 이에 對하여 뜻을 돌이키셨으므로 이것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리라 여호와께서 말씀하셨느니라
4~ 6 삼키는 불의 환상 둘째, 불
암7:4○主 여호와께서 또 내게 보이신 것이 이러하니라 主 여호와께서 命令하여 불로 懲罰하게 하시니 불이 큰 바다를 삼키고 陸地까지 먹으려 하는지라 암7:5이에 내가 이르되 主 여호와여 請하건대 그치소서 야곱이 微弱하오니 어떻게 서리이까 하매 암7:6主 여호와께서 이에 對하여 뜻을 돌이켜 主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이것도 이루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7~ 9 다림줄의 환상 셋째, 다림줄
암7:7○또 내게 보이신 것이 이러하니라 다림줄을 가지고 쌓은 담 곁에 主께서 손에 다림줄을 잡고 서셨더니 암7:8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아모스야 네가 무엇을 보느냐 내가 對答하되 다림줄이니이다 主께서 이르시되 내가 다림줄을 내 百姓 이스라엘 가운데 두고 다시는 容恕하지 아니하리니 암7:9이삭의 山堂들이 荒廢되며 이스라엘의 聖所들이 破壞될 것이라 내가 일어나 칼로 여로보암의 집을 치리라 하시니라
10~13 제사장 아마샤가 아모스를 中傷함 아모스와 아마샤의 對決
암7:10○때에 벧엘의 祭司長 아마샤가 이스라엘의 王 여로보암에게 보내어 이르되 이스라엘 族屬 中에 아모스가 王을 謀叛하나니 그 모든 말을 이 땅이 견딜 수 없나이다 암7:11아모스가 말하기를 여로보암은 칼에 죽겠고 이스라엘은 반드시 사로잡혀 그 땅에서 떠나겠다 하나이다 암7:12아마샤가 또 아모스에게 이르되 先見者야 너는 유다 땅으로 逃亡하여 가서 거기에서나 떡을 먹으며 거기에서나 豫言하고 암7:13다시는 벧엘에서 豫言하지 말라 이는 王의 聖所요 나라의 宮闕임이니라
14~17 아마샤의 中傷에 대한 답변
암7:14아모스가 아마샤에게 對答하여 이르되 나는 先知者가 아니며 先知者의 아들도 아니라 나는 牧者요 뽕나무를 栽培하는 者로서 암7:15羊 떼를 따를 때에 여호와께서 나를 데려다가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기를 가서 내 百姓 이스라엘에게 豫言하라 하셨나니 암7:16이제 너는 여호와의 말씀을 들을지니라 네가 이르기를 이스라엘에 對하여 豫言하지 말며 이삭의 집을 向하여 警告하지 말라 하므로 암7:17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기를 네 아내는 城邑 가운데서 娼女가 될 것이요 네 子女들은 칼에 엎드러지며 네 땅은 測量하여 나누어질 것이며 너는 더러운 땅에서 죽을 것이요 이스라엘은 반드시 사로잡혀 그의 땅에서 떠나리라 하셨느니라
(2) 북 왕조 패망에 대한 예언 (8:1~9:6)
8: 1~ 3 과일 광주리의 환상 넷째, 여름 과일 한 광주리 https://goodtvbible.goodtv.co.kr/audio.asp?post_bible_version=2&post_bible_idx=30&jang=8&post_listen_type=1
암8:1主 여호와께서 내게 이와 같이 보이셨느니라 보라 1)여름 과일 한 광주리이니라 암8:2그가 말씀하시되 아모스야 네가 무엇을 보느냐 내가 이르되 여름 과일 한 광주리니이다 하매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내 百姓 이스라엘의 끝이 이르렀은즉 내가 다시는 그를 容恕하지 아니하리니 암8:3그 날에 宮殿의 노래가 哀哭으로 變할 것이며 곳곳에 屍體가 많아서 사람이 潛潛히 그 屍體들을 내어버리리라 主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4~ 6 이스라엘의 죄를 지적하심
암8:4○가난한 者를 삼키며 땅의 힘없는 者를 亡하게 하려는 者들아 이 말을 들으라 암8:5너희가 이르기를 月朔이 언제 지나서 우리가 穀食을 팔며 安息日이 언제 지나서 우리가 밀을 내게 할꼬 에바를 작게 하고 세겔을 크게 하여 거짓 저울로 속이며 암8:6銀으로 힘없는 者를 사며 신 한 켤레로 가난한 者를 사며 찌꺼기 밀을 팔자 하는도다
7~10 멸망을 선언
암8:7여호와께서 야곱의 榮光을 두고 盟誓하시되 내가 그들의 모든 行爲를 絶對로 잊지 아니하리라 하셨나니 암8:8이로 말미암아 땅이 떨지 않겠으며 그 가운데 모든 住民이 哀痛하지 않겠느냐 온 땅이 江의 넘침 같이 솟아오르며 애굽 江같이 뛰놀다가 낮아지리라 암8:9主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그 날에 내가 해를 대낮에 지게 하여 白晝에 땅을 캄캄하게 하며 암8:10너희 節期를 哀痛으로, 너희 모든 노래를 哀哭으로 變하게 하며 모든 사람에게 굵은 베로 허리를 동이게 하며 모든 머리를 대머리가 되게 하며 獨子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哀痛하듯 하게 하며 結局은 困苦한 날과 같게 하리
11~13 말씀의 기갈(飢渴)
암8:11○主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를지라 내가 饑饉을 땅에 보내리니 糧食이 없어 주림이 아니며 물이 없어 渴함이 아니요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못한 飢渴이라 암8:12사람이 이 바다에서 저 바다까지, 北쪽에서 東쪽까지 비틀거리며 여호와의 말씀을 求하려고 돌아다녀도 얻지 못하리니 암8:13그 날에 아름다운 處女와 젊은 男子가 다 渴하여 쓰러지리라
14~ 우상 숭배를 책망
암8:14사마리아의 罪된 偶像을 두고 盟誓하여 이르기를 단아 네 神들이 살아 있음을 두고 盟誓하노라 하거나 브엘세바가 爲하는 것이 살아 있음을 두고 盟誓하노라 하는 사람은 엎드러지고 다시 일어나지 못하리라
1) 히, 여름 과일이란 말과 끝이란 말의 音이 같음
9: 1~ 4 피할 수 없는 심판에 대한 문설주 환상 다섯째, 犯罪한 나라를 滅하리라
암9:1내가 보니 主께서 祭壇 곁에 서서 이르시되 기둥머리를 쳐서 門地枋이 움직이게 하며 그것으로 부서져서 무리의 머리에 떨어지게 하라 내가 그 남은 者를 칼로 죽이리니 그 中에서 한 사람도 逃亡하지 못하며 그 中에서 한 사람도 避하지 못하리라 암9:2그들이 파고 스올로 들어갈지라도 내 손이 거기에서 붙잡아 낼 것이요 하늘로 올라갈지라도 내가 거기에서 붙잡아 내릴 것이며 암9:3갈멜 山 꼭대기에 숨을지라도 내가 거기에서 찾아낼 것이요 내 눈을 避하여 바다 밑에 숨을지라도 내가 거기에서 뱀을 命令하여 물게 할 것이요 암9:4그 怨讐 앞에 사로잡혀 갈지라도 내가 거기에서 칼을 命令하여 죽이게 할 것이라 내가 그들에게 注目하여 禍를 내리고 福을 내리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5~ 6 권능으로 심판하시는 하나님
암9:5○主 萬軍의 여호와는 땅을 만져 녹게 하사 거기 居住하는 者가 哀痛하게 하시며 그 온 땅이 江의 넘침 같이 솟아오르며 애굽 江같이 낮아지게 하시는 이요 암9:6그의 宮殿을 하늘에 세우시며 그 穹蒼의 基礎를 땅에 두시며 바닷물을 불러 地面에 쏟으시는 이니 그 이름은 여호와시니라
(3) 선민의 회복에 대한 예언 (9:7~15)
9: 7~10 멸망 가운데 베푸시는 하나님의 은혜
암9:7○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이스라엘 子孫들아 너희는 내게 구스 族屬 같지 아니하냐 내가 이스라엘을 애굽 땅에서, 블레셋 사람을 갑돌에서, 아람 사람을 기르에서 올라오게 하지 아니하였느냐 암9:8보라 主 여호와의 눈이 犯罪한 나라를 注目하노니 내가 그것을 地面에서 滅하리라 그러나 야곱의 집은 穩全히 滅하지는 아니하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암9:9보라 내가 命令하여 이스라엘 族屬을 萬國 中에서 체질하기를 체로 체질함 같이 하려니와 그 한 알갱이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리라 암9:10내 百姓 中에서 말하기를 禍가 우리에게 미치지 아니하며 이르지 아니하리라 하는 모든 罪人은 칼에 죽으리라
11~15 이스라엘의 회복을 약속하심 이스라엘의 恢復
암9:11○그 날에 내가 다윗의 무너진 帳幕을 일으키고 그것들의 틈을 막으며 그 허물어진 것을 일으켜서 옛적과 같이 세우고 암9:12그들이 에돔의 남은 者와 내 이름으로 일컫는 萬國을 基業으로 얻게 하리라 이 일을 行하시는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암9:13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를지라 그 때에 播種하는 者가 穀食 秋收하는 者의 뒤를 이으며 葡萄를 밟는 者가 씨 뿌리는 者의 뒤를 이으며 山들은 단 葡萄酒를 흘리며 작은 山들은 녹으리라 암9:14내가 내 百姓 이스라엘이 사로잡힌 것을 돌이키리니 그들이 荒廢한 城邑을 建築하여 居住하며 葡萄園들을 가꾸고 그 葡萄酒를 마시며 果園들을 만들고 그 열매를 먹으리라 암9:15내가 그들을 그들의 땅에 심으리니 그들이 내가 준 땅에서 다시 뽑히지 아니하리라 네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성경개관
아모스서 [Amos]
https://goodtvbible.goodtv.co.kr/dictionary_view.asp?idx=5792
구약 성경 중에서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과 함께 후예언서에 속하는 소선지서 중 세번째 책이다. 저자 : 저자는 아모스이다.
그는 남유다의 드고아 출신으로(암 1:1), 목자이자 뽕나무를 배양하는 평민 출신의 선지자임을 밝혔다(암 7:14).
아모스는 물질적인 번영을 누리던 북이스라엘의 사람들, 즉 공의를 상실하고 가난한 자들과 압박받는 자들의 곤경에 대하여 무감각한 사람들을 향해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했다(암 1:6-16).
시대적 배경 : 정치적으로 아모스 선지자가 활동했던 시기는 이스라엘의 마지막 번영기였다.
당시 왕이던 여로보암 2세(암 1:1; 7:9)는 하맛 어귀에서 아라바 바다에 이르는 영토를 회복했다(왕하 14:25).
이는 솔로몬 시대에 버금가는 것으로 이때 이스라엘은 다메섹을 속국으로 삼았고, 근동 지역의 무역로인 트랜스 요르단 지역을 확보하고 있었다(왕상 8:65).
경제적으로도 번영하여 전쟁의 전리품으로 적잖은 부를 축적했고, 교역로를 지나는 다른 나라의 상인들에게 통행세를 거두어 국고를 늘려갔으며, 활발한 상행위를 통해 부유해져 갔다(암 8:5-6).
당시 특권층들은 겨울 궁, 여름 궁, 상아로 장식한 침상을 사용하는 등(암 3:15; 6:4) 풍요롭다 못해 사치스런 생활을 했으며, 풍성한 희생 제물로 제사드렸으나(암 4:4-5; 5:21-22) 점차 빈부의 격차가 심해져서 지배계층은 사치 속에 있는 반면(암 3:15; 5:11), 빈민들은 착취당하고(암 5:11; 8:5), 적은 돈에 종으로 팔리기도 했다(암 2:6; 8:6).
도덕적으로 타락하여 착취와 불의한 재판이 벌어졌고(암 3:10), 나실인의 서약을 깨뜨리고(암 2:12) 성적으로도 타락을 일삼았다(암 2:7).
종교적으로도 겉으로는 열심히 제사드렸지만(암 4:4-5; 5:21-22), 가난한 자들에게서 착취한 것을 성소에서 사용하는 등 피상적인 종교 행위를 했다(암 2:8).
아모스서의 시대적 배경 : 아모스가 사역했던 시기는 여로보암의 때의 지진이 일어나기 2년 전이었다(암 1:1; 슥 14:5 참고).
하솔과 사마리아에서 고고학 발굴의 결과 이스라엘에서 BC 760년경에 큰 지진이 있었음이 밝혀졌다.
아모스서의 내용 : 아모스서는 매우 명확하게 구성되어 있다.
2절의 서론을 쓴 후 아모스는 불의를 행한 다메섹, 암몬, 모압, 가사, 두로, 에돔에 대한 심판을 예언했다(암 1:1-2:3).
이어 율법을 멸시하고 우상을 섬기는 유다와 가난한 자를 압제하며 사치, 부도덕, 불의를 행하던 이스라엘을 향해 심판을 선포하였다(암 2:4-16).
아모스는 “이 말씀을 들으라”(암 3:1; 4:1; 5:1)로 시작되는 설교 세 편을 썼는데, 첫 번째 설교에서는 정치적 안정, 경제적 번영의 축복을 사치와 압제와 불의로 대신하는 이스라엘에 심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암 3:1-15).
두 번째 설교에서는 사치, 압제, 학대 등 불의를 행하고 바른 삶이 따르지 않는 이스라엘의 거짓 예배를 폭로했다(암 4:1-13).
세 번째 설교에서는 여호와를 찾으며 정의를 행하라는 권면과 여호와의 날에 임할 심판을 말했다(암 5:1-6:14).
이어 메뚜기, 불, 다림줄, 여름 실과, 부서지는 문설주 환상을 통해 이스라엘에 임할 심판의 확실함(암 7:1-9:10)과 회복에 대한 약속도 선포하였다(암 9:11-15).
다른 선지서들과 마찬가지로 아모스서에도 하나님께서 백성들을 회복시키신다는 약속이 드러나 있다.
이는 “내가 저희를 그 본토에 심으리니 저희가 나의 준 땅에서 다시 뽑히지 아니하리라”(암 9:15)고 끝맺는 마지막 부분에 잘 드러나 있다.
신약에서의 아모스서 인용 : 아모스서는 신적인 권위가 있는 성경이다.
그 증거는 신약에서 아모스서를 인용했던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스데반은 공회 앞에서 증거할 때 아모스 5:25-27을 인용하여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을 버렸으므로 하나님도 저들을 버려 그 범죄 행위대로 두셨다고 했다(행 7:42).
또 야고보는 예루살렘 회의 중에 아모스서 9:11을 인용하여 “이후에 내가 돌아와서 다윗의 무너진 장막을 다시 지으며 그 퇴락한 것을 다시 지어 일으키리니”(행 15:16)라고 했다.
다윗은 그리스도의 그림자이며, 다윗의 왕국은 장차 실현된 메시아 왕국의 그림자였다.
여기서 야고보는 다윗 왕국은 바벨론에 의해 멸망했으나 메시아 왕국에서 계속되어 그의 왕위가 계속됨을 말했다.
아모스의 중심 주제들
공의 : 아모스서는 공의에 대해 다루었다.
아모스가 선포한 공의는 다른 사람들에게 선을 행하는 것과 그들의 복지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는 것을 포함한다.
그는 우리들에게 공의가 개인적인 관계들에 대한 문제일뿐 아니라 공적인 문제라는 것을 상기시켜 주었다.
하나님은 우리들이 선을 행하고, 공의롭고 도덕적인 사회를 세워나가기 원하신다(암 5:15, 24).
예배 : 아모스서는 공의와 관계된 예배에 대해 다루었다.
아모스는 의식적인 예배와 제사를 기뻐하는 사람들의 습관들에 대하여 공격했다(암 4:2-5; 5:21-27).
그는 제사드리는 것에 반대하지는 않았으나 그 방법이 잘못되었음을 지적했다.
첫째, 이스라엘의 예배는 하나님이 지정하셨던 예루살렘 성소보다는 다른 예배 중심지들에서 행해지고 있음을 지적한다(신 12:5-6).
둘째, 습관적으로 예배드리러 오는 사람들이 하나님의 도덕적인 율법을 어기는 것을 보면서 (암 4:4-5) 이들을 향해 “네 노래 소리를 내 앞에서 그칠찌어다 네 비파 소리도 내가 듣지 아니하리라 오직 공법을 물같이, 정의를 하수같이 흘릴찌로다”(암 5:23-24)고 하였다.
심판 : 아모스는 다가올 ‘여호와의 날’(암 5:20)에 대하여 말하면서 이 날은 피할 수 없는 날로, 하나님께서 심판하시는 날이며, “어두움이요 빛이 아니라”(암 5:18)고 하였다.
아모스는 “화가 우리에게 미치지 아니하며 임하지 아니하리라하는 모든 죄인은 칼에 죽으리라”(암 9:10)고 했는데, 이 말은 BC 722년에 예루살렘 멸망으로 이루어졌다.
아모스 기소 리스트 기소 이유 : 선지자 아모스는 죄의 목록을 낱낱이 작성하여 이스라엘의 죄악을 철저하게 고발하였다.
이러한 죄 때문에 하나님의 심판 선고가 불가피함을 알았던 것이다(암 3:3-6).
그럼에도 하나님은 여전히 아모스를 통해 구원과 회복에 대한 약속을 남기셨다(암 5:4-6,14-15; 9:11-15).
기소 내용 : 부자들의 사치와 부정 축재: 겨울 궁과 여름 궁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집 없는 자들을 돌보지 않고 그들의 것을 오히려 약탈함(암 3:10, 15). 특권층과 지도자의 부패 : 음주와 방종(암 4:1), 뇌물과 협박으로 공의를 버리고 불의한 재판을 하며 과부, 고아, 가난한 자를 압박하고 약탈하여 부정 축재함(암 5:10-12; 6:12-14).
거짓된 상행위와 사회적인 사치 : 소비자를 속이는 저울(암 8:4-6)을 사용하고 어려운 이웃을 돌보지 않으며 사치와 안락을 추구함(암 6:1-6). 우상 숭배와 거짓 예배 : 율법에 따른 바른 생활은 하지도 않으면서 제사 의식을 통해 하나님을 섬기고 있다고 착각함(암 4:4-5).
[최신 구약 개론] 아모스
https://goodtvbible.goodtv.co.kr/dictionary_view.asp?idx=8447
"비록 그다지 크지 않은 책이기는 하지만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저작권의 문제 및 역사적 배경 아모스는 8세기 전반기 이스라엘의 여로보아 2세와 유다의 웃시야의 치세에 살았던 사람이다.
표제는 그가 대지진 직전의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선지자로 활동했던 것을 시사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기본적으로 아모스서는 북왕국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이 때는 유례없는 번영의 시대였다.
이 때에 요나가 예언한 것처럼 다윗과 솔로몬의 제국 시절의 영토를 거의 회복했으며, 거대한 부가 왕국으로 쏟아져 들어왔다.
사마리아에는 강력하면서도 흥청망청할 정도로 부유한 계층이 성장하였다.
아모스의 설교의 초점이 된 것은 이러한 부유한 자들이 부와 권력과 특권을 남용한 점이다.
그러나 부와 군사적인 성공의 시기는 이스라엘 왕국의 짧고도 찬란한 일몰의 시기였다.
아모스 자신은 유다의 베들레헴 남쪽 오 마일 지점에 있는 드고아 지방 출신 목자였다.
이 선지자의 사회적 지위 - 얼핏 보기에 아모스는 천한 신분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
그에게 사용된 목자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rsh)가 아니라 다른 용어(nqd)가 사용되었다.
이 칭호는 대규모 목축업자였거나 가축 중개인으로 볼 수도 있다.
적어도 아모스는 단순한 농부나 소작인이 아니라 보다 부유한 사회계층의 사람으로서 그들의 죄악상을 고발했던 것이 된다.
어느 드고아? - 유일하게 알려진 곳은 유다 베들레헴 남쪽의 마을이다.
아모스와 기타 선지자들 - 7:14절은 아주 논란이 많은 부분중의 하나이다.
""나는 선지자가 아니며 선지자의 아들도 아니요(I not porphet; I not son of prophet)"" 라는 구절을 과거로 해석하거나 현재로 해석할 경우 많은 해석상의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적 아마샤는 아모스를 선지자로 생각했다는 것을 암시한다.
아마샤와 아모스 모두 그의 행동을 예언이라는 동사를 가지고 지칭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선지자와 이 책간의 관계 - 오경의 문서 비평 방법론이 지배하던 시기에는 아모스 자신의 말들을 후대의 것들로부터 분리하려는 노력들을 기울였다.
여기서 아모스는 이스라엘에 새로운 종교적 전통을 고안한 사람이 된다.
양식비평에 이르러서는 아모스서의 관심을 원래의 뼈대와 함께 원래의 설교들의 사회 문화적인 배경을 조사하고, 일단 성문화된 문헌의 편집 단계를 찾는데 시간을 들였다.
이로써 아모스는 이스라엘의 종교에 있어서 어떤 새로운 단계를 고안해낸 자가 아니라 이스라엘의 역사적 전통들에 깊이 젖어 있던 자가 된다.
이런 작업을 통해서 아모스서의 수많은 부분들이 후대의 증수된 부분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보다 더 많은 현대의 학자들이 비평학계의 방법론들이 과연 성경의 책들, 특히 아모스서와 가은 작은 책들을 잘게 쪼개는 것을 허용해 주는 가 하는 것에 대해서 점점 더 의심을 품고 있다.
아모스서에 대한 연구의 세 번째 단계는 문학적인 구조와 수사학적인 발전 과정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 책에 접근하는데 있다.
이들은 아모스의 저자 문제와는 별도로 아모스서가 하나의 통일된 작품으로 간주하고, 편집자이든 아모스이든 본질적으로 한 사람의 작품이라고 보는 경향이 있다.
문학적인 구조
열방들에 대한 신탁(1-2장) 아모스는 일곱 나라에 대한 예언적인 심판의 말씀을 전한다.심판의 신탁들은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해서 일종의 지리적인 교차대구법을 이루고 있다.
각각의 심판들은 지혜문학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X와 X+1의 숫자 패턴을 사용하고 있다(서너가지 죄로 인하여).
그러나 이것들을 주로 이스라엘을 비난하기 위해 채택된 수사학적인 기법들이다.
그의 말을 듣는 청중들은 이웃 나라들이 저지른 잔혹한 행위들에 대한 비판들에 쉽게 고개를 끄덕이다가 결국은 사회적인 불의에 대한 비난이 자신들의 발등에 떨어지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게 되었을 것이다.
주변 적국들에 대한 신탁은 이스라엘에게 갑자기 튀어 오르는 덫이 된다.
이스라엘에 대한 심판의 말씀들(3-6장) 여기서 아모스는 다양한 문학 양식들을 사용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것이 선지자적인 소송의 연설양식이다.
선지자는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이 고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법정 대리인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 배경은 재판정이다.
이런 선지자적인 소송 외에도 아모스는 또한 심판의 연설들과 저주의 신탁들을 사용한다.
이상들에 대한 기록들(7-9장) 선지자는 자신이 받은 다섯 개의 이상들에 대한 자서전적인 기록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 중 네 개는 서로간에 비슷하고, 마지막은 뚜렷한 차이가 난다.
처음 네 개는 분명한 연결점이 있으며, 하나의 집단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아모스는 자신의 신탁들을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문학적인 기교들을 사용하고 있다.
신학적인 주제들
하나님의 주권과 심판 아모스는 하나님께서 북왕국의 종교적, 사회적 관행들을 거부하시고, 그들의 불순종 때문에 그들을 벌하시기로 결정하셨다는 것을 선언하고 있다.
허버드는 주권적인 통치와 심판을 네 가지 상이한 차원에서 바라본다.
첫째는 개인적,신적 차원에서이다.
심판에서 주도권은 하나님께 있다.
둘째는 창조적 차원이다.
세상 자체가 악을 심판하기 위해서 일어나는 형국이다.
셋째는 도덕적인 인과관계의 차원이다.
다른 사람들을 향해 저질러진 악은 본인에게 악으로 되돌아온다는 것이다.
넷째는 정치적인 역사의 시각에서 보자면 하나니므이 주권적인 통치는 세상의 열방들을 다 포괄한다.
우상숭배와 사회적인 불의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아모스의 메시지는 우상수애와 사회적인 불의라는 두 가지 영역에 대한 것이다.
여호와 숭배가 부패했으며, 외형적이고 허식적인 종교적인 사항들은 율법의 중요한 요소들을 상실했다.
어떤 이는 하나님을 공개적으로 무시하기도 했다.
물질적인 번영은 부유한 상류계층을 만들어 냈고, 여유 시간과 잉여 재산은 죄악에 사용되었다.
이제 공의로우신 하나님께서 자신의 언약 백성들 가운데 공의를 명하시며, 순종을 요구하신다.
언약과 남은 자 아모스는 급진적인 종교개혁가가 아니었다.
언약에 근거한 법정 소송의 대리자로서의 그의 위치는 언약의 존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책은 오경의 내용을 많이 언급하고 있으며, 언약적인 이념들을 잘 파악하고 있다.
선민, 즉 야웨와의 언약 관계 속에서 구속을 받은 나라라는 이스라엘의 지위는 이 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거룩성 때문에 이 백성의 죄를 심판으로 대응하시는 수밖에 없으시다.
그러나 이스라엘에 대한 그의 헌신 때문에 거기에는 항상 남은 자들, 즉 하나님의 심판을 통과하고 하나님의 계속적인 백성의 핵이 되는 자들이 항상 존재한다.
여호와의 날 이스라엘에게 여호와의 날은 그 나라가 변호를 받는 날, 용사이신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적들에게 심판을 행하시는 날로 보았다.
그러나 아모스는 이 개념은 완전히 뒤집었다.
여호와의 날은 이스라엘에 대한 심판을 의미했으며, 용사이신 하나님은 이 백성의 죄를 심판하기 위해서 원수들의 군대들을 자기 백성에게로 보내실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 아모스는 선지자들을 통해서 계시도니 하나님의 말씀의 능력과 효력에 대해서 다른 선지자들과 같이 신념을 갖고 있다.
신약으로의 접근
신약은 사회 정의 및 가난한 자들의 학대에 대한 아모스서의 관심을 공유하고 있다.
아모스서는 특히 신약의 몇몇 구절들 속에서 구체적으로 인용되어 있다.
롬12:9에서 악을 미워하고 선을 사랑하라는 권면, 스데반의 설교에서 나타나는 국가적인 우상숭배에 대한 회상 등이 그것이다.
또한 행15:16-17에 인용된 암9:11-12를 들 수 있다.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야고보는 이방인들을 교회 속에 포함시키는 것이 이스라엘의 재연합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을 성취시키는 것잉라고 주장한다.
다윗의 무너진 천막을 다시 일으키며, 그 틈을 수리하는 것은 이스라엘이라는 실제적인 나라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열방들을 모으는 것도 또한 포함하는 것이었다.
259장 예수 십자가에 흘린 피로써
1. 예수 십자가에 흘린 피로써
그대는 씻기어 있는가
더러운 죄 희게하는 능력을
그대는 참 의지 하는가
예수의 보혈로
그대는 씻기어 있는가
마음 속에 여러가지 죄악이
깨끗이 씻기어 있는가
2. 주 예수와 밤낮으로 늘 함께
그대는 행동을 하는가
아무 때나 어디서나 그대는
십자가 붙들고 있는가
예수의 보혈로
그대는 씻기어 있는가
마음 속에 여러가지 죄악이
깨끗이 씻기어 있는가
3. 주님 예수 다시 올 때 그대는
영접할 예복이 있는가
그대 몸은 거룩한 곳 천국에
들어갈 준비가 됐는가
예수의 보혈로
그대는 씻기어 있는가
마음 속에 여러가지 죄악이
깨끗이 씻기어 있는가
4. 모든 죄에 더러워진 예복을
주 앞에 지금 다 벗어서
샘물같이 솟아나는 보혈로
눈보다 더 희게 씻으라
예수의 보혈로
그대는 씻기어 있는가
마음 속에 여러가지 죄악이
깨끗이 씻기어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