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시; 2024. 5. 4.(토)
ㅇ날씨; 맑음.
ㅇ동행; 친구 한사람.
2. 교통
ㅇ갈때
*소요산역; 전철 4호선 이용, 창동역에서 전철 1호선으로 환승.
ㅇ올때
*청산역에서 갈때의 역순으로 전철 이용 귀가.
3. 진행경과
ㅇ소요산은 명산으로 사통팔달 등로가 열려있어 동두천역 소요산역 청산역 말턱고개 신북온천 포천의
왕방산 초성리등에서 오를수 있습니다.
ㅇ해발 고도가 낮아 누구나 쉽게 오를것 같이 만만해 보이나 주능선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코스에 암릉길
과 가파른 경사길이 있어 기초 체력을 요하는 산 이기도 합니다.
ㅇ저는 소요산역에서 "벨기에,룩셈부르크 참전비"를 경유 하는 코스로 팔각정 능선을 따라 하중상백운대
로 진행 하곤 했는데, 오랜 만에 가보니 참전비 뒤의 길이 폐쇄되어 도로로 우회하여 소요 별 앤 숲 테마
파크를 거처 팔각정 능선길에 들어 섰습니다.
ㅇ초성임도 선택의 실수;
골프장 펜스길 옆 방향 표지목에서, 전에 말턱고개 임도를 걸어 보았기에 오늘은 무심코 신북 임도
방향으로 들어 섰는데 이 선택이 큰 실수 였습니다.
이 길은 훼손과 잡목등의 저항으로 길 흔적 조차 찾기 어려웠고 거미줄과 송화 꽃 가루의 공격까지,
사면 초가 그대로 였습니다. 잘못 들어선 원점에 회귀해 바른길을 찾아가야 한다는 기본을 망각 한
고집이.....
옛 군의 교통호와 희미한 족적을 찾아 어렵사리 포장 초성 임도에 내려 서서 노랑색갈의 송화 가루로
화장된 얼굴을 서로 바라 보고 박장대소하며 귀갓 길에.....................
ㅇ진행코스
*소요산역-벨기에,룩셈부르크 참전 기념비-소요별 앤 숲테마파크-팔각정-암릉(돌탑2기)-전망대갈림길
-하백운대-중백운대-덕일봉갈림길-선녀탕갈림길-상백운대-덕일봉갈림삼거리(상백운 왕복)-암릉길-
덕일봉(감투봉)-급경사로프지대-동막고개-번대산-티 클라우드CC 펜스길-임도표지 삼거리-신북임도
(개척진행)-초성임도합류-임도 통제철책(368 지방도)-에루살렘 수도원-수동교-신천교-청산역.
ㅇ탐방거리;
*gps 측정거리;13.2km(아래 개념도 참조)
4. 소요산(587.5m)
1)위치;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 산1-5.
동두천시와 포천시 신북면에 걸쳐 있는 산.
2)명칭;
974년(광종25)에 소요산이라 부르게 되었는데 서화담과 양사언 매월당이 자주 소요 하였다고
하여 소요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함.
3)자연환경
ㅇ소요산의 입구에 청량폭포와 원효폭포가 있는데 청량폭포가 있는 곳은 下白雲臺라 하고 그 위쪽
원효폭포가 있는 곳은 中白雲臺라 합니다.
원효폭포 주변에는 방음봉 이필봉 약수봉등의 봉우리들이 솟아 있습니다.
ㅇ신라시대 원효가 세운 자재암에서 30m 돌층계를 오르면 그 위쪽에 중백운대와 상백운대가 있습
니다.
중백운대와 상백운대를 거쳐 나한대 의상대에 이를수 있고 산의 정상에서 보면 북쪽으로 한탄강이
남으로 서울쪽의 산능들이 눈에 들어옵니다.
4)현황
ㅇ소요산은 수려한 자연경관과 많은 전설의 명승지를 품고 있습니다.
*전해오는 이야기;
ㅁ 원효폭포; 원효대사가 폭포 오른쪽 석등에 앉아고행수도를 하였다는 전설이 전해 지고
있습니다
ㅇ 계곡을 오르면 원효폭포가 있는데 이곳이 하백운대입니다.
그 우측에 원효대사가 앉아 고행을 하였다는 원효대가 있고 이를 지나면 백운암이 있습니다.
백운암을 지나 오르면 소요교가있고 건너에 자재암(향토유적 8호)이 있습니다.
그 앞에 청량폭포는 중백운대이고 이 곳에는 옥로봉 관음봉 이필봉등의 기묘한 봉우리 들이
있습니다.
옥로봉을 넘어 계곡을 따라 오르면 나한대와 의상대가 있는데 이곳이 상백운대 입니다.
ㅇ소요산에는 봄에 철쭉제가 열리고 가을에는 단풍축제가 열려 서울 경기지역 뿐만아니라 전국적인
문화행사로 자리 매김하고 있습니다.
*법수동 마을 이야기
5. 풍광사진
1)소요산역-팔각정 구간의 픙광
▲소요산 역
▲벨기에,룩셈부르크 한국전쟁 참전 기념비; 건립 1975.9.26. 비 기단 1.5m. 높이 20m. 경역면적 2,000평.
▲이상, 소요 별 앤 숲 테마파크
▲능선의 팔각정
▲각시붓꽃
2)숲길 능선-암릉 구간의 풍광
▲암릉 오름길의 돌탑
▲우측부터 건너편의 공주봉 의상대 조망
▲이상, 넓은 판형 암질의 거친 능선길
▲의상대 조망
▲이상, 하백운대 이전의 암릉 길
3)하백운대와 그 주변 풍광
▲이상, 하백운대 오르기 전의 숲길
▲하백운대
▲하백운대서 덕일봉 갈림 3거리 봉 조망
▲등로 옆의 작은 돌탑; 간절한 소원이라도............
4)중백운대와 그 주변 풍광
▲중백운대서 의상대 조망
▲숲 사이로 공주봉도 보고.
▲중백운대 전망대
▲능선길의 노송; 생기가 없다, 병치레(?)
▲급경사 선녀탕 가는 길
5)상백운대와 그 주변 풍광
▲상백운대 정상의 삼각점
▲상백운대 정상부
▲상백운 전위 봉의 공터
▲덕일봉 갈림 3거리 봉
6)덕일봉 갈림 3거리-덕일봉 구간의 풍광
▲이상, 뎍일봉 가는 안부 숲길
▲이상, 암릉 길
▲이상, 덕일봉 정상부 모습
7)덕일봉-번대산 구간의 풍광
▲동막고개 가는 길의 패잔병 나무의 잔해
▲동막고개 내림길의 급 경사 로프지대; 300 여m 정도 거리로 사진에 보이는 것보다 경사가 심하다.
▲소요지맥의 동막고개
▲번대산 숲길
▲번대산 정상
▲번대산 의 숲
8)신북 임도 갈림 3거리-청산역 구간의 풍광
▲임도의 숲
▲신북 방향의 임도를 찾아서
▲이상, 초성 임도
▲신천변의 아까시 꽃
9)트랭글 궤적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