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고정자산회전율
고정자산은 비유동자산에 해당하는 자산으로써
기업의 영업활동을 위해 장기간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다. 즉, 1년이상 보유하는 자산이라고 보
면 될 것이다.
따라서 고정자산회전율은 매출에 높은 기여를
하는 자산인 고정자산이 기업의 수익을 얻기 위
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잘 이용되고 있는지를 평
가하는 지표라고 보면 될 것이다.
고정자산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를 참조하
면 될 것이다.
참조 :
http://cafe.daum.net/stockpapa/1wTi/11006
이에 대한 산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산식을 보면 고정자산 규모에 비해 매출액
이 높을수록 자산의 효율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가늠할 수 있다. 즉, 고정자산을 더 효율적으로 잘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다만 향후 경기침체를 예상하여 설비투자를 축소
하거나 구조조정을 통해 사업부 및 고정자산을
매각처분하는 경우 고정자산회전율은 높게 나올 수
도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낮다는 것은 효율성이 그만큼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향후 경기전망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설비투자를 확대한다면 이 또한
비율이 낮아질 수 있다.(분모가 커짐)
따라서 고정자산회전율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다른
변수가 있는지 확인후 설비자산 규모의 적정여부와
효율적 이용정도를 판단하는 것이 좀더 나은 판단
을 내리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적으로 고정자산 투자금액이 매출액으로 실현
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지표인 고정자산회
전일수(기간)를 활용하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
이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Thank you.
고정자산회전율에 대한 접근은 다른 변수가 있는지 확인 후 설비자산규모의 적정여부와 효율적 이용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