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2013년 1분기 한국의 대홍콩 수출 큰 폭으로 감소 | |||||||||||||||||||||||||||||||||||||||||||||||||||||||||||||||||||||||||||||||||||||||||||||||||||||||||||||||||||||||||
---|---|---|---|---|---|---|---|---|---|---|---|---|---|---|---|---|---|---|---|---|---|---|---|---|---|---|---|---|---|---|---|---|---|---|---|---|---|---|---|---|---|---|---|---|---|---|---|---|---|---|---|---|---|---|---|---|---|---|---|---|---|---|---|---|---|---|---|---|---|---|---|---|---|---|---|---|---|---|---|---|---|---|---|---|---|---|---|---|---|---|---|---|---|---|---|---|---|---|---|---|---|---|---|---|---|---|---|---|---|---|---|---|---|---|---|---|---|---|---|---|---|---|
작성일 | 2013-04-29 | 국가 | 홍콩 | 작성자 | 이민형(홍콩무역관) | |||||||||||||||||||||||||||||||||||||||||||||||||||||||||||||||||||||||||||||||||||||||||||||||||||||||||||||||||||||
--> -->
2013년 1분기 한국의 대홍콩 수출 큰 폭으로 감소 - 전자응용기기, 선박, 석유제품, 금 등 수출 감소 - - 수출 감소의 주요 원인은 엔화 약세, 중국 기술력 상승, 경기불황 등 -
□ 현황
○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2013년 1~3월 1분기 한국의 대홍콩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3% 감소한 66억9000만 달러, 수입은 5억4000만 달러를 기록함. 이는 같은 기간 한국의 전체 대외 수출증가율 0.5%, 대중국 수출증가율 7%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임.
○ 총 교역액은 72억3000만 달러이며, 한국의 대홍콩 무역수지 흑자는 61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6억4000만 달러 감소함.
한국의 대홍콩 무역수지 현황
자료원: 한국무역협회(MTI 4단위 기준)
□ 수출 감소 원인(주요 수출 감소 품목: 전자응용기기, 선박, 석유제품, 금·은 및 백금)
○ 전자응용기기 - (현황) 전자응용기기는 전년 동기 대비 95.2% 감소했고 수출금액으로는 6억4400만 달러 감소한 3300만 달러를 기록(전자응용기기 대표 상품: 경보신호기, 교통신호기, 전자계산기, 자동판매기, 방사선기기, 의료용전자기기, 기타 전자 응용기기 등의 고부가가치상품) - 특히, 경보신호기는 휴대전화용 LCD 관련 부품 등으로 99.3%나 감소했는데, 작년 상반기 수출 증가분의 큰 부분을 차지했기 때문임. - (감소 원인) 한국에서 홍콩으로 수출하는 전자응용기기 대부분은 홍콩을 통해 중국이나 유럽 등 다른 나라로 재수출됨. 그러나 2013년 1~2월 홍콩의 전자응용기기 재수출은 7.5% 감소하고 중국으로의 재수출은 13.8% 감소함. 이는 중국의 전자응용기기, 의료전자기기 등의 기술경쟁력이 올라감에 따른 것으로 분석됨. 또한, 엔화 약세에 따라 일본 제품의 수출경쟁력이 살아난 것도 원인으로 꼽을 수 있음.
○ 선박 - (현황) 선박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8.9% 감소했고, 금액으로는 약 5억9700만 달러 감소해 수출금액은 6억2300만 달러를 기록함. - (감소 원인) 선박 공급과잉,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전 세계적인 조선업 불황에 따라 한국의 전 세계 1분기 선박 수출은 26% 감소한 89억9200만 달러를 기록했고, 드릴십 등 고부가가치 선박 인도가 전년에 비해 감소해 수출금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홍콩으로의 선박 수 점유율 1위인 중국의 대홍콩 선박 수출량 또한 50.3% 감소해 10억7000만 달러를 기록함.
○ 석유제품 - (현황) 석유제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61.8% 감소했고, 수출금액은 6억 달러 감소한 3억7400만 달러를 기록함. - (감소 원인) 한국의 대홍콩 수출액 중 단일품목으로는 규모가 두 번째로 큰 석유제품의 경우 엔저의 영향으로 한국 제품의 수출 경쟁력이 타격을 입음. 홍콩의 한국제품 수입은 2013년 1~2월에 65.3% 감소, 일본 제품 수입은 7.3% 증가했음.
○ 금, 은 및 백금 - (현황) 2013년 1분기 금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9.5% 감소해 금액으로는 4억3100만 달러 감소함. (참고로 2013년 1~2월 중국의 대홍콩 금, 귀금속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133.2% 증가해 44억2400만 달러를 기록함.) - (감소 원인) 주 원인은 세계 각국의 대홍콩 금 수출 증가로 경쟁과열에 따른 감소로 보임. 로이터 등 복수 외신에 따르면 금 투자자들이 전통적인 골드 허브였던 스위스, 뉴욕, 런던을 탈피해 홍콩, 중국 아시아의 금에 투자했다고 함(대홍콩 금 수출 증가). - 중국 광둥성에 금, 귀금속 가공공장들이 밀집해 있어 완제품·반제품이 활발하게 홍콩에 수출됨에 따라 중국의 대홍콩 금 수출은 증가세였고, 상대적으로 홍콩의 대한국 금 수입은 줄어듦.
□ 추가 참고사항
한국의 대홍콩 Top 10 수출품 변화 추이 (단위: 천 달러, %)
주: 금액 기준,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MTI 4단위 기준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자료원: 주홍콩대한민국총영사관, 무역협회 통계자료, 해외언론 및 국내언론 보도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