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계 짐룡 중심 야권 통합론 솔솔
이재명 대표 비명계 만나 통합 속도
주기 대선 준비로 들떠 있떤 야권이 윤삭열 대통령의 석방으로 긴장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헌법재판소의 탄핵선고 전까지 단일대오로 결집하자고 촉구했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비명 계 잠재 대권 주자들을 중심으로 야권 통합론이 나오고 있다.
이재명 대표도 비명계 인사들을 만나며 당 통합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전날 윤 대통령의 석방이 결정적인 계기였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윤석열의 석방으로 우리 사회는 다시 내전 상태로 돌입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제 민주주의의 마지막 보루는 시민들의 단결된 힘 뿐'이라면서
'이를 통해 내란의 어둠을 몰아내고 탄핵을 지켜내자'고 호소했다.
최근 대선 출마를 시사한 김두관 전 민주당 의원도 야권 단합을 강조했다.
지난 전당대회 당대표 경선 때 이재명 대표와 직접 겨뤘던 김 전 의원은 '내란 세력 응징은 윤석열 파면과 함께
정권교체를 하는길밖에 없다'며 '범민주 세력과 함께 후보 단일화를 이루고 연합정부를 구성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재명 대표를 향해서는 '당내 분열 발언은 절대 안 된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사실상 조기 대선 행보를 걷던 이 대표는 진보성향 유튜브 채널에 나와 검찰과 비명 세력과의 내통을 의심하는 발언을 했다.
이 발언은회자됐고, 친명.비명 간 계파 갈등으로 이어졌다.
당시 유튜브 방송에서 이 대표는 2023년 국회 체포동의안 표결 때 당내 일부 인사들이 검찰과 내통했다고 의심했다.
이에 김두관.박용진 전 의원을 비롯해 당내 친문 인사인 고민정 의원 등이 나서 이 대표의 발언을 문제 삼았다.
당 통합을 저해하는 불필요한 언변이었다는 의미다.
그러나 윤 대통령 석방은 친명계와 비명계의 갈등을 봉합해주는 효과로 이어지게 됐다.
친명계 내부에서는 '자중하자'는 목소리가 나왔고, 이재명 대표도 조만간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을 만나며
통합 행보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조국혁신당이 제기했던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도 관심권 밖으로 완전히 밀려나게 됐다.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야 5개당 원탁회의에서 이대표와 김선민 혁신당 대표 등은 조기 대선과 관련한 어떤 말도 꺼내지 않았다.
김유성 기자
'여 포켓정당 이미지...조기대선서 불리'
중도층이 결국 선거 승패 갈라
국민의힘, 윤대통령과 거리둬야
선관위 스스로가 국민 불신 초래
김성태 전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국민의힘의 전신인 자유한국당에서 원내대표(2017년 12월~2018년 12월)를 지냈던
김성태 전 원내은 국민의힘이 중도층 공략에 신경을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포켓정당' 이미지가 계속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을 이기기 힘들 수 있다는 전망을 했다.
김 전 의원은 지난 6일 이데일리 유튜브 라이브 '신율의 이슈 메이커'에 나와 최근 진영 갈등이최고조에 이르렀다는 점을 언급했다.
이런 상태에서 중도층이 선거 승패의 향방을 가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국민의힘이 '윤 대통령의 옥중정치 퍼켓정당' 이미지가 각인된 상태에서 조기대선 정국을 맞는다면,(선거를) '하나마나'하는
상호아이 도리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전 의원은 '이재명 대표는 3월 26일 공직선거법 (2심) 항소심 결과가 나와도, 민주당 대선 주자로는 불변할 것'이라면서
'그런 이 대표와 맞설 상대가 윤심을 갖고 '맞짱'을 뜬다고 해서 이길 수 있겠는가'라고 묻기도 했다.
그는 '결국 민주당 지지 진영과 국민의힘 지지 진영이 팽팽하게 맞붙는 상황에서 이를 심판하고 가를 세력은 중도 무당층'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과 국민의힘 사이에 거리를 둬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기도 했다.
김 전 의원은 '윤 대통령이 자기 영향력을 (후보 공천에) 행사한다고 하면, 국민들이 과연 그 부분을 곱게 받아들이겠는가'라면서
'조기대선이 누구 때문에 치러지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마찬가지로 민주당과 이 대표도 중도층에 실망감을 주면서 지지율 하락을 겪었다고 김 전 의원은 분석했다.
윤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과정에서 민주당이 보여준 여러 실책을 언급한 것이다.
그는 '민주당이 털도 뽑지 않고 생으로, 날로 먹으려고 그러지 않았나'라면서
'국민들, 특히 중도 합리층이 '이건 아니다'라고 경계를 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김전 의원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횡 대한 문재를 제기하기도 했다.
폐쇄된 공간에서 선거 관련 업무를 처리하다 보니 국민적 불신을 자초했다고 봤다.
다만 부정선거론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김 전 의원은 '(부정선거에 대한) 실체적 진상을 밝힌다는 차원에서 군을 동원하고 비상계엄까지 할 정도는 아니다'라면서
'대한민국 사법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가운데 대법원 판단도 있지 않겠나,
지나치게 함몰된 부분이 있다'고 진단했다. 김유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