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만성 동맥폐색질환과 버거씨병과 증상만 보고 어떻게 판별할 수 있을까요?
1번 사례에 제시된 증상도 결국은 동맥폐쇄증상이고
흡연도 동맥폐색질환의 원인인 죽상경화증에 기여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셤에선 버거씨병이라고 주어지고 기전을 물어볼거에요
가장 가까운 질환이 버거씨병이어서 그래요
폭 넓게 보면 만성 동맥폐색질환이 틀렷다고 할 순 없겠지요)
2. 8주차 1교시 1번
스트레스성 요실금의 기전에서
치골미골근 약화와 폐경을 같이 보아야 하는 건가용?
즉, 치골미골근 약화는 공통기전이고 비만, 폐경, 선천성 등은 '치골미골근 약화'의 원인으로 보아야 하는 걸까요?
(따로 보세요
치골미골근 약화로 스트레스성 요실금이 발생하고 폐경으로도 스트레스성 요실금이 발생하고요)
지문에서 폐경에 대한 근거만 보여서 에스트로겐 결핍에 대한 이야기만 답으로 썼었는데 답지를 보니 같이 써져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폐경햇다고 해서 모두 스트레스성 요실금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니 둘 다 쓴거에요)
3 8주차 1교시 3번
A군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을 알 수 있는 진단적 검사로 혈액배양검사는 안되는 지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 A군 베타 용혈성 연쇄상구균을 알 수 있는 진단적 검사로 혈액배양검사를 하지 않고 ASO titer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