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등 봉합하며 종전 교두보 마련
광물 협정도 조속히 체결하기로
트럼프 '이번주 중 푸틴과 소통'
지난달 말 백악관 정상회담 파국으로 시작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갈등이
봉합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11일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서 외교.안보 고위급 회담을 열어, 중단했던 우크라이나 군사 원조를 즉각
복원하고 미국이 제안한 30일 잠정 휴전안을 수용하기로 합의했다.
지난달 28일 정상회담 당시 언쟁의 원인이 된 우크라이나 광물 협정도 되도록 빨리 체결키로 했다.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이날 9시간에 걸친 회담 후 공동성명에서 이런 합의 내용을 발표했다.
영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2022년 2월 발발한 전쟁의 휴전을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공동성명은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의 항구적 평화 회복을 위한 중요한 조치를 취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이를 수용하고 이행하는 조건으로 즉각 30일 일시 휴전(연장 가능)을 하자는 미국의 제안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미국.우크라이나가 일단 '휴전에 동의했다'며 이제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에게 휴전을 압박한 셈이다.
러시아는 그동안 일시적 휴전이 아닌 점령지의 러시아 할양을 전제로 한 영구적 종전 햡상을 요구해 왔다..
미국은 또 '(우크라이나에 대한) 정보 공유 중단을 즉시 해제하고, 안보 지원 역시 재개한다'고 성명에서 밝혔다.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과 정보 공유는 이날 저녁 즉각 재개됐다.
트럼프는 '젤렌스키를 백악관에 다시 초대하겠다'고도 말했다.
젤렌스키 '휴전에 동의' 트럼프 '백악관 다시 초대'
미, 무기 지원.정보 공유 즉각 재개
우크라의 해상 전투.공습 휴전에
미 '30일간 전면 휴전' 역제안
트럼프 '탱고는 두 사람이 춘다'
휴전안 받아들이도록 푸틴 압박
루비오 '러시아가 '노'라고 하면
누가 평화의 방해물인지 알 것'
우크라이나는 당초 해상 전투 및 공습 중단만 하는 제한적 휴전을 내놨다가, 회담 과정에서 미국이 '연장 가능한 30일 간의
전면전 휴전'으로 제안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포스트는 '미국과 균열을 드러내 (협상과 전쟁 모두에서) 우위를 잃어버린 젤렌스키 대통령이 휴전안에 동의한 것은
현명한 선택'이라고 평했다.
공동성명은 '(이 과정에서) 양국 간 포로 교환과 민간인 억류자 석방, 러시아에 강제로 끌려간 우크라이나 어린이 송환 등
인도주의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인질과 수감자를 교환한 이슬라엘과 헤즈볼라.하마스(이슬람 무장 단체)의 휴전과 유사한 방식이다.
성명에는 '미국은 러시아에 상호주의가 평화 제안의 열쇠라는 점을 전달하겠다'
'협상팀을 지명하고, 우크라이나의 항구적 평화를 위한 협상을 즉시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미국은 그 구체적 제안을 러시아 대표와 논의하기로 약속했다'는 내용도 담겼다.
러시아가 휴전 제안을 받아들이도록 미국이 압박하는 동시에 우크라이나.러시아 간 종전 및 전후 안보 협상을 미국이 주도해
이끌겠다는 의미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회담 후 '이제 공은 러시아 쪽으로 넘어갔다.
만약 그들이 '노'라고 답하면 우리는 평화의 방해물이 누구인지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곧 외교 당국자를 급차해 러시아에 휴전안을 전달할 예정이다.
당장 스티브 위트코프 백악관 중동 특사의 모스크바 방문이 유력하다고 알려졌다.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난 트럼프는 '탱고를 추려면 두 사람이 필요하다'(It takes two to tango)'는
미 속담을 인용하고 '이번주 중 불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고통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우크라이나 정상회담 때 서명하려다 파국으로 체결 못 한 광물 협정과 관련해서 '양국 대통령은 유크라이나의 장기적 번영과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의 중요 광물 자원 개발을 위한 포괄적 협정을 가능한 한 빨리 체결하기로 합의했다'는
내용이 들어갔다.
또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유럽 파트너들이 평화 절차에 참여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는 언급도 나왔다.
우크라이나는 광물 협정과 관련해 미국의 안보 약속이 없다는 점에 불만을 제기해 왔으나, 이번 성명에도 이는 들어가지 않았다.
이날 공동성명은 지난달 28일 트럼프.잴랜스키가 정상회잠 도중 설전을 벌이며 충돌한 지 11만이다.
생방송된 회담 마지막 10분간 벌어진 두 정상의 언행으로 정상회담은 파국을 맞았고, 이날 예정됐던 광물 협정 체결 역시
무산됐다.
이후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과 군사 원조를 모두 잠정 중단하는 사실상 보복에 나선 뒤 양국 관계는 빠르게
식어갔다.
결국 정상회담 후 나흘 만인 4일 젤렌스키가 공개적으로 유감을 표하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사과의 뜻이 담긴 친서를 보내 양국 갈등은 수습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트럼프는 이날 상.하원 합동 연설에서 '잴랜스키 대통령이 편지를 보내줘 고맙다'고 했다.
이어서 7일 위트코프 백악관 중동 특사가 '사우디 제다에서 우크라이나와 고위급 회담을 여는 방안을 조율 중'이라고 발표했다.
유럽 국가들의 화해 중재 노력도 양국 갈등 수습에 도움이 됐다는 평가다.
지난 2일 유럽 안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런던에 모인 유럽 정상들은 회담장을 찾은 젤렌스키를 따뜻하게 감싸며 응원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전선서 우위 점한 러, 30일 휴전안 순순히 받지는 않을 듯
현재 점령지를 영토로 인정받는
즉각적인 종전으로 직행 원해
푸틴도 미.우크라 합의에 침묵
미국과 우크라이나가 11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고위급 회담을 통해 30일간의 즉각적 휴전안에 합의하자 이에 대한
러시아의 반응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일단은 이번 회담의 주요 성과인 일시 휴전안을 러시아가 쉽게 받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러시아는 휴전이 아닌, 현재 점령한 지역을 자국 영토로 인정받는 즉각적 '종전'을 원한다는 것이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한마디로 '우크라이나를 떄려 협상에 나오도록 하고, 이후 러시아가 회담하도록 쥐어짜겠다는얘기'라고 분석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12일 이에 대해 '일단 공동성명의 문구를 주의 깊게 들여다보고 있다'며
'미국과 접촉을 통해 (휴전안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러시아가 휴전에 바로 동의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전망이 많다.
러시아 외무부는 앞서 블라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해상과 공중 휴전을 언급하자
'최종 해결에 대한 확고한 합의가 필요하다'며 '어떤 유예적 조치(휴전 등)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지난해 12월에도 '서방식 휴전 카드는 거부한다'고 했다.
당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은 '단기적 조치보다 영토 문제와 안보 보장을 포함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강조했다.
일시적 휴전 등 중간 단계 없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를 러시아에 넘기는 조건으로 종전에 바로 돌입하자는 의미다.
이는 전호아에 대한 러시아의 자신감에 바탕한다.
특히 쿠르스크 지역에선 파병 북한군의 도움을 받아 영토 3분의 2 이상을 탈환하고,
우크라이나군을 고립 직전에 몰아넣었다는 분석마저 나온다.
서방의 러시아 압박은 거세질 전망이다.
우르졸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과 안토니우 코스타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공동성명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포괄적이며 정의롭고 항구적 평화를 위한 긍정적 전개가 이뤄졌다.
이제 공은 러시아로 넘어갔다'고 했다. 파리= 정철환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