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개발업체 메디프론이 강세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마약성 의약품 환자들을 위한 비마약성 치료제를 승인했다는 소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 FDA는 17일(현지시간) 마약성 의약품을 끊은 후 금단현상을 겪는 환자들을 돕기 위해 세계 최초로 비마약성 치료제를 승인했다. 해당 약품은 유에스월드메드(US WorldMeds LLC)사의 루세미라(Lucemyra)로, 지난 3월 열린 FDA 자문위원회에서 승인 권고와 함게 신속심사 대상 지위를 부여 받았다.
2015년 기준 세계 진통제 시장은 항암제 다음으로 큰 90조원 규모다.
메디프론의 국소용 비마약성 진통제 비임상 시험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신약개발 지원사업 수행과제로 선정된 바 있다.
메디프론이 개발하는 바닐로이드 수용체 효현제(TRPV1 Agonist) 기전의 비마약성 진통제(MDR-652)는 미국 국립보건원(NIH)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확보된 신약 후보물질이다.
@주식투자의 마법공식 꼭 보세요
주식투자 80%는 손실이 나죠.
그 이유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 공식을 배우실 수 있습니다.
메디프론(065650)바이오주, 고령화사회 수혜주로 급등할 수 있는 종목.
메디프론-->치매 관련주.
문재인 대통령 “치매 진료비 90% 지원”
최근 급등하다 전환청구권행사로 하락--47만주남아 있습니다.
이제 이 물량은 부담되지 않습니다.
주목해야할 정보
1)치매 조기진단 기술.
알츠하이며 유전자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보유
2)비마약성 진통제 임상 1상
미국에서 진통제 오남용으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 발생중이며 이로 인한 정부 지원발생.
임상기간 단축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
3)치매 치료제 개발중
치매의 원인물질로 전환되지 않도록 경로를 차단하는 신약 개발중.
치매 국가책임제 발언 이 후 향후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
▲실적요약.
흑자전환에 성공했지만 3억정도에 그침
부채비율 30%이하. 바이오주인 만큼 실적에 대한 특례가 있다.
다음주 급등가능성 농후~~
*최근 치매관련 정보?
알츠 하이머 치매의 원인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의 응집을 억제, 원천적으로 치매를 치료하는 신규벤조퓨란계 유도체 인지기능장애 특허를 유럽에서 취득했다는 소식이 전해진바 있다.
글로벌치매 시장규모는 20조원으로 성장할 전망.
국가에서 치매 치료에 들어가는 총 비용은 2010년 기준 8조7000억원이었지만 2020년에는 18조9000억원, 2030년에는 38조9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고있다.
최초의 치매 치료제 ‘타크린’을 포함해 지금까지 출시된 대부분의 치료제는 발병 후 진행 속도를 늦추는 수준일 뿐 증상을 개선하거나치료하는 의약품은 없다.
수모1과 같은 바이오마커의 발견은 치매를 조기 진단해 치매 치료에 들어가는 사회적 비용을 연간 1조3000억원에서 많게는 2조8000억원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메디프론의 경우 인간 혈액에 존재하는 TTR(트랜스티레틴 단백질) 양을 측정해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를 조기에 선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체외진단 키트를 개발하고 유럽에 수출한 바 있다
@메디프론 사업내용
국내유일 치매진단키트 (혈액검사) 세계적 전무. 메디프론이 개발중이다.
1)비마약성 진통제 개발
적용->대상포진, 당뇨성 통증, 항암통증등
2016년 임상 1상 시작.
2)알츠하이머성 치매치료제(응집억제제 기전)
뇌속에서 베타아밀로이드가 뭉침으로 인해 외세포가 죽게됨으로 뇌에서 베타아밀오리드를 뭉치지 못하게 하는 방식
2015년 국내 임상1상 이후 16년 글로벌 해외파트너 선정 작업중
*RAGE 억제제 기전
전임상 동물실험중
*메디프론에 대한 결정적 정보보기=>
내년 치매관리법에 따른 중장기 수혜 전망.

*메디프론의 파이프라인
파이프라인이란?
제품 특허는 되었으나 시험이 필요한 발명(주로 의약 특허)으로 제품화 과정이 오래 걸린 제품을 뜻한다.

@주요 제품 등의 현황
첫댓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