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해(講解) - 괘사(卦辭) - 2
彖曰夬는 決也니 剛決柔也니 健而說하고
(단왈쾌) (결야) (강결유야) (건이열)
決而和하니라. 揚于王庭은 柔 乘五剛也오
(결이화) (양우왕정) (유 승오강야)
孚號有厲는 其危 乃光也오 告自邑不利卽戎은 所尙이
(부호유려) (기위 내과야) (고자읍불리즉융) (소상)
乃窮也오 利有攸往은 剛長이 乃終也리라.
(내궁야) (이유유왕) (강장) (내종야)
●단에 가로되 쾌는 결단하는 것이니, 강함이 柔를 결단함이니, 굳세며
기뻐하고, 결단하여 화합하니라.
'양우왕정' 은 유가 다섯 강을 타는 것이요, '부호유려' 는 위태함이 이에
빛남이요, '고자읍 불리즉융' 은 숭상하는 바가 이에 궁하게 됨이요,
'이유유왕' 은 강한 것이 자라서 이에 마침이니라.
(決 - 결단할 결. 健 - 굳셀 건. 說 - 기뻐할 열(=悅) 乘 - 탈 승.
危 - 위태할 위. 乃 - 이에 내. 尙 - 오히려 상. 또한 더욱이 상.
窮 - 다할 궁. )
★뜻풀이
쾌는 아래의 다섯 양이 위의 한 음을 결단하는 것이니, 강이 유를 결단하는
것이다.
하괘 건으로 굳세며 상괘 兌로 기뻐하고, 乾으로 결단하여 兌로 화합함이니
乾卦 단전의 '保合大和' 하는 것이다.
괘사에 '양우왕정' 이라고 한 것은 상육 음이 아래의 다섯 양 위에 있으면서,
자신의 죄상을 모르고 위에 있는 것만 기뻐함이요,
'부호유려' 는 소인을 단죄하는 위태함과 어려움을, 다섯 양이 믿음과 정성
으로 뜻을 모으고 또 경계하면서 단죄함에 빛나게 됨이요,
'고자읍불리즉융' 은 자신을 먼저 다스리지 않고 무력을 숭상하고 사용하게
되면 결국 궁한데 이르게 됨을 말함이요,
'이유유왕' 은 아래의 다섯 양이 자라서 純陽卦인 乾괘가 되어 마침을 말함
이다.
첫댓글 주역을 봅니다.
고맙습니다
주역하경34괘 잘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