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경제신문=박재민 기자] 위례선 트램 차량단가를 두고 발주처와 제작사 간의 이견이 생기면서 두 차례 유찰됐던 수주전이 물량을 줄이고 다시 발주에 들어간다.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이하 도기본)은 20일 조달청 나라장터시스템을 통해 9편성(45량) 규모의 '위례선 노면전차(트램) 차량' 사전규격을 공개했다.
사업 예산은 390억 3300만 원, 1편성 당 약 43억 원으로 당초 도기본 책정한 386억 원보다 약 4억 원 증액됐으나 발주물량은 1편성이 줄어들었다. 이는 도기본이 지난달에 실시한 '위례선 트램 차량' 원가계산 용역 결과에 따른 것이다.
위례선 트램 사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전액 부담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차량 발주처인 도기본도 증액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이번 도기본의 결정은 최선보다는 차선을 선택한 것으로 해석된다. 도기본 관계자는 "LH예산으로 진행되기에 금액을 크게 올릴 수 없었다"며 "한정된 예산에서 여러 방안을 고민 끝에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일단 도기본은 9편성만 먼저 구매하고 위례선 공사 과정 중에 남은 예산 등을 활용해 1편성을 추가 발주할 예정이다.
실제 사전규격를 통해 공개된 입찰제안서에 따르면 '계약 후 12개월 내 사업비 추가 마련 시 편성 당 동일 가격으로 1편성 증편 변경 계약을 요청할 수 있다'고 규정돼 있다.
도기본은 오는 25일까지 사전규격에 따른 제작사의 의견을 접수받을 예정이며 연내에 적격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다만, 업계 반응은 다소 냉소적이다. 제작사가 요구해왔던 '1편성 당 40억 원 후반' 수준의 단가에는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번 입찰은 제안서 평가에서 적격기준 85점 이상만 받으면 최저가로 투찰한 업체가 낙찰받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단가는 이보다 낮을 수 있다.
앞서 도기본은 지난 5월부터 위례선 차량을 구매하기 위해 입찰 공고를 게시했으나, 조달청이 국제입찰 참가 조항에서 정부조달협정(GPA) 미가입 국가 소재 업체도 입찰에 응할 수 있는 조항을 넣어 수정공고에 들어가는 등 시작부터 잡음이 들리기 시작했다.
이후 국제입찰 참가자격 조항을 수정하면서 도기본은 본격적인 제작사 찾기에 나섰지만 이번엔 단가가 발목을 잡으면서 입찰은 두 차례 응찰, 수주전 흥행은 완전히 참패했다.
차량 수주전이 갈팡지팡되자 정가는 물론 지역 주민들의 반발도 커지기 시작했다. 당초 도기본이 목표했던 개통일보다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도기본은 지난달부터 '위례선 트램 원가계산 용역'을 실시하면서 새 단가를 책정키로 결정해 이번 재공고까지 이르게 됐다.
https://m.redaily.co.kr/2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