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회장, 고강도 쇄신 메시지
주총 앞두고 임원들 강한 질첵
'현상 유지 급급하다간 생존 어려워'
'경영진부터 죽을 각오로 행동할 때'
'독한 삼성인.'
이재용 삼성전자 회방이 강도 높은 질책성 메시지를 냈다.
최근 메모리를 비롯한 반도체 사업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주력인 TV, 스마트폰 사업이 중국에 따라잡히는 등
총체적인 위기에 빠지자, 고강도 쇄신을 주문하고 나선 것으로 읽힌다.
17일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은 최근 삼성전자를 비롯한 전 계열사 임원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삼성다움 복원을 위한 가치 교육'
영상 메시지를 통해 '인류의 미래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기술 혁신이 지속되고 있고 국가 총력전의 양상이 펼쳐지고 있다'며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죽느냐 사느냐 하는 생존의 문제'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어 '삼성전자는 과연 제 역할을 다하고 있는가'라고 반문하면서 '과감한 혁신이나 새로운 도전은 찾아볼 수 없고
판을 바꾸려는 노력보다는 현상 유지에 급급하다'고 지적했다.
이 회장은 "'사즉사'(죽기로 마음 먹으면 산다)의 각오로 과감하게 행동할 때"라고 말했다.
이 회장이 사장단이 아닌 전체 임원들을 대상으로 이 정도의 위기의식을 잔한 것은 전례를 찾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세미나에 참석한 임원들에게 각자의 이름과 함께 '위기에 강하고 역전에 능하며 승부에 독한 삼성인'이라고
새겨진 크리스털 패를 줬다.
삼성의 한 임원은 '이전 교육들과는 차원이 다른 절박함이 느껴졌다'며 '독한 삼성인이 이 회장이 던진 핵심 화두라고 본다'고
전했다.
이는 반도체, TV, 스마트폰 등 '세계 1등' 사업들이 동시에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삼성의 상징인 반도체의 경우 메모리,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스템LSI 등 모든 사업부가 위기에 빠졌다.
실제 이 회장은 이번 영상을 통해 '메모리는 자만해 인공지능(AI)에 제대로 데처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
이 회장은 메모리 외에 다른 각 사업부의 문제점 역시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계의 한 고위 인사는 '뉴삼성을 위한 이 회자으이 승어부(아버지를 뛰어넘는 것) 전략이 하나씩 모습을 드러내야 하는 시점'이라고 했다.
삼성전자는 이 회장의 메시지 직후인 19일 주주초오히를 통해 주주들과 소통에 나선다.
삼성 위기론이 주로 다뤄질 가능성이 있다.
'AI 호아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오는 21일까지 개최하는 연례 개발자 회의 'GTC 2025'에서
삼성전자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관련한 언급을 할지도 관심이 모아진다. 김정남.공지유 기자
'삼성 전분야 경쟁력 훼손' 자성한 JY...신상필벌.수시인사 예고
임원 2000명에 영상 메시지
반도체 부진, 가전.폰 중 추격 허용
미 관세.보조금 리스크까지 겹쳐
'셍존문제 직면...사즉생 각오 필요'
'첫째도 둘째도 기술' 초격차 강조
'뉴 삼성' 비전.전략 나올지 주목
'(지난 1999년 당시) 21세기를 주도하며 영원할 것만 같았던 미국 다우지수 30개 재표 기업 중 24개가 새로운 혁신 기업에 의해
무대에서 밀려났다.
남의 일이 아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최근 전 계열사의 부사장 이하 임원 2000명을 대상으로 강한 질첵성 메시지를 낸 것은
그만큼 안팎 상황이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반도체 제국' 인텔 같은 회사마저 순식간에 가라앉는데, 삼성이라고 다를 게 없다는 위기의식을 강하게 주문한 것으로 읽힌다.
이 회장이 위기 타개를 위한 승어부(아버지를 뛰어넘는 것) 전략을 본격화할 지 관심이 모아진다.
JY '삼성, 도전 없고 현상 유지 급급'
이 회장의 메시지를 담은 이번 영상은 '바뀢 않으면 죽는다'는 위기의식으로 체워져 있다.
이 회장은 몰락한 기업들을 두고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하고 변화에 제때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 회장은 특히 국가총력전 양상으로 펼쳐지고 있는 글로벌 산업계 흐름을 주목하면서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죽느냐 사느냐 하는 생존의 문제'라고 했다.
이 회장은 이어 '삼성전자는 전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이 훼손됐다'며 '과감한 혁신이나 새로운 도전은 찾아볼 수 없고
판을 바꾸려는 노력보다는 현상 유지에 급급하다.
위기 때마다 작동하던 삼성 고유의 회복력은 보이지 않는다'고 했다.
이 회장이 내건 화두는 '독한 삼성인' '사즉생의 각오'다.
그는 '중요한 것은 상황이 아니라 상황을 대하는 우리 자세'라고 했다.
실제 이번 임원 세미나에 나온 외부 인사들은 '남들보다 잘하면 된다는 안이함에 빠진 것 아니냐'
'상대적 등수에 집착하다 질적 향상을 못 이루는 것 아니냐' 등의 지적이 나왔다고 한다.
지난해 '삼성 위기론'이 불거진 이후 이 회장의 질책성 메시지가 대외에 알려진 것은 이번이 사실상 처음이다.
특히 이 회장이 사장단 회의가 아닌 임원 회의에서 이같은 질책성 메시지를 낸 것은 전례를 찾기 어려운 것이다.
이번 영상은 연초 사장단 세미나 때 공개한 신년 메시지를 다시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따.
삼성의 한 임원은 '이번 세미나는 절박함의 강도가 이전과 차원이 달랐다'고 했다.
이 회장은 이와 함께 기술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첫째도, 기술, 둘째도 기술, 셋째도 기술'이라고 했다.
이 회장은 그동안 '그술 중시, 선행 투자의 전통을 이어 나가자' '세상에 없는 기술로 미래를 만들자 등의 언급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주문해 왔다.
'초격차'를 위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은 결국 기술이라는 것이다.
'경영진보다 훌륭한 인재 국적 불문 영입'
이 회장은 또 '경영진보다 더 훌륭한 특급 인재를 국적을 불문하고 양성하고 모셔와야 한다'며
'성과는 확실하게 보상하고 결과에 책임지는 신상필벌이 우리의 오랜 원칙이다.
필요하면 인사도 수시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이 고강도 질책성 메시지를 낸 것은 삼성 사업들이 거센 도전을 받고 있는 가운데
한 발짝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DS)부문은 일제히 부진에 빠졌다.
매모리사업부는 SK하이닉스와 마이크론에 세계 1등 지위를 뺴앗길 처지에 놓였다.
파운드리사업부와 시스템LSI사업부는 여전히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TV, 슴트폰, 가전 등은 중구긍로부터 거센 도잔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TV시장 점유율은 2023년 30.1%에서 지난해 28.3%로 하락했고,
스마트폰의 경우 19.7%에서 18.3%로 떨어졌다.
휴머노이드 로봇 등 미래 사업들은 아직 수익화 단계가 아니다.
이런 와중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보조금 리스크까지 겹쳤다.
또 다른 재계 한 관계자는 ' 이 회장의 메시지는 위기를 정면돌파하겠다고 내외부에 천명한 것'이라며
'이 회장은 창업회장과 선대회장을 뛰어넘는 뉴삼성 비전이 절실하다'고 했다.
고 이건희 선대회장은 '마누라와 자식 뺴고 다 바꿔라' '회장인 나부터 바뀌겠다' 등 신경영 메시지를 통해
삼성은 초일류 기업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재계에서는 삼성이 위기 속에서도 지난해 역대 최대 투자를 집행한 점을 들어 올해 역시 미래 준비를 위한
공격 투자를 계속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연구개발(R&D)과 시설투자에 각각 35조원, 53조60000억원을 쏟아부었다.
한편 삼성인력개발원이 주관하는 이번 세미나는 다음 달 말까지 순차적으로 열린다.
삼성이 전 계열사 임원을 대상으로 세미나를 진행하는 것은 2016년 이후 9년 만이다. 김정남.공지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