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운 1장 44절 상제께서 무신년 四월에 전주에 가셔서 여러 종도들로 하여금 글월을 정서하게 하시니라. 상제의 말씀에 따라 광찬은 김 병욱의 집에 머물면서 상제께서 전하는 글을 일일이 등사하고 형렬은 상제를 따라 용머리 주막에 가서 상제로부터 받은 글월을 광찬에게 전하느니라. 광찬은 그 글월을 정서하여 책을 성편하였도다. 상제의 명대로 책이 성편되니 상제께서 광찬에게 “세상에 나아가 그 글을 전함이 가하랴” 하시니라. 광찬이 상제의 존의에 좇을 것을 여쭈니 상제께서 그에게 “경석에게 책 한 권을 주었으니 그 글이 나타나면 세상이 다 알 것이라” 말씀하시고 성편된 책을 불사르고 동곡으로 떠나셨도다. 책 중에 있는 글이 많았으되 모두 불사르셨기에 전하지 못하였고 한 조각만이 종도의 기억에 의해서 전하는도다.
士之商職也 農之工業也 士之商農之工職業也 其外他商工留所(疑有闕文)萬物資生
羞耻放蕩 神道統 春之氣放也 夏之氣蕩也 秋之氣神也 冬之氣道也 統以氣之主張者
也 知心大道術 戊申十二月二十四日
左旋 四三八 天地魍魎主張(天文)
九五一 日月竈王主張(陰陽)
二七六 星辰七星主張(政事)
運 至氣今至願爲大降
無男女老少兒童咏而歌之
是故永世不忘萬事知
侍天主造化定永世不忘萬事知
...................................................................................
<교운 1장 44절> 은 '시천주' 를 설명한 글이라고 이야기했었다....이건 누가 봐도 명확하다...
'永世不忘萬事知' 의 의미는 바로 위에 달려 있다.... '無男女老少兒童咏而歌之' 가 그것이다....그러니까 '永世不忘萬事知' 와 '無男女老少兒童咏而歌之' 사이에 < 是故> 가 붙어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至氣(今至願爲)大降" 하는 운수( 運 ) 가 오면 자연스레 萬事知 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
숫자들이 있는 부분을 '마방진' 이라 부르는데, 이건 달리 이야기하면 '神들의 자리(=神의 조판)' 이라는 뜻이다....
각설하고,,,,
<교운 1장 44절> 에 덧붙여야 할 것들이 있다....일단 간단한 것부터 덧붙여 보겠습니다.....
(1) 원(圓)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 - 대순회보 208호 포정문 벽면 글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01
대순(大巡)이 원(圓)이며 원(圓)이 무극(無極)이고 무극(無極)이 태극(太極)이라. 우주(宇宙)가 우주(宇宙)된 본연법칙(本然法則)은 그 신비(神秘)의 묘(妙)함이 태극(太極)에 재(在)한바 태극(太極)은 외차무극(外此無極)하고 유일무이(唯一無二)한 진리(眞理)인 것이다. 따라서 이 태극(太極)이야말로 지리(至理)의 소이재(所以載)요, 지기(至氣)의 소유행(所由行)이며 지도(至道)의 소자출(所自出)이라.
..............................................
원의 종류가 3가지가 나와 있다....
붉게 표시된 부분의 그 다음 문장부터는 대부분 도주께서 쓰신 글이다....도주께서 쓰신 글에서는 '태극(太極)' 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태극과 무극의 관계에 관하여 서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다음 이어지는 문장에는 <至理, 至氣, 至道> 가 언급되고 있는데,.....푸른 글씨는 이 3가지의 관계를 드러내고 있다....이 관게에 의하면 <至氣 至理, 至道> 의 순서로 이야기했음을 알 수 있다.....
이 3가지는 아래의 글에 보인다...
(아래)
제생 43절 상제께서 전주 이 치안의 집에 「고견 원려 왈지(高見遠慮曰智)」의 글을 써 놓으셨도다.
智者 與天地同 有春夏秋冬之氣 每事 任意用之 謂之智慧勇力
大智 與天地同 有春夏秋冬之氣 (원=무극)
其次 與日月同 有弦望晦朔之理 (원=태극)
又其次 與鬼神同 有吉凶禍福之道(원=대순)
萬事起於陰 以布陽 先察陰晦 以觀陽明 每事先觀始發處
陰起事而陽明 陽起事而陰匿 要須先察陰陽 陰陽則水火而已
日用事物起居動靜 在於耳目口鼻聰明道理 耳屬水 目屬火 明白然後萬事可知
水生於火 火生於水 金生於木 木生於金 其用可知然後 方可謂神人也
陰殺陽生 陽殺陰生 生殺之道 在於陰陽 人可用陰陽然後 方可謂人生也
人爲陽 神爲陰 陰陽相合然後 有變化之道也
不測變化之術 都在於神明 感通神明然後 事其事則謂之大仁大義也
事有決斷然後 有變化之道也
春夏秋冬秋爲義 義則決斷也
六用三德 三德則天德地德人德也 統合謂之大德也
德義有生殺之權 生殺則陰陽 知此兩端而已
天用地用 人用之 調理綱紀 統制乾坤 此之謂造化手段也
理雖高 出於太極无極之表 不離乎日用事物之間
年月日時分刻輪廻 皆是元亨利貞天地之道也
天地之用 胞胎養生浴帶冠旺衰病死葬而已
養則收藏處 藏則出用處 觀其收藏出用之物 以致出也
人而用之之道 捨此而何以也
入而養中 出而形外 因其已知之理而益窮之 自然心自開也
......................................................................
3종류의 원(圓) 인 <무극, 태극, 대순> 의 관계를 알기 쉽게 붉은 글씨로 표시했다....
여기까지 했으니, < 교운 1장 44절> 에 관련내용을 덧붙여보겟습니다...
(2) <교운 1장 44절> 에 관련내용 덧붙이기
교운 1장 44절 상제께서 무신년 四월에 전주에 가셔서 여러 종도들로 하여금 글월을 정서하게 하시니라. 상제의 말씀에 따라 광찬은 김 병욱의 집에 머물면서 상제께서 전하는 글을 일일이 등사하고 형렬은 상제를 따라 용머리 주막에 가서 상제로부터 받은 글월을 광찬에게 전하느니라. 광찬은 그 글월을 정서하여 책을 성편하였도다. 상제의 명대로 책이 성편되니 상제께서 광찬에게 “세상에 나아가 그 글을 전함이 가하랴” 하시니라. 광찬이 상제의 존의에 좇을 것을 여쭈니 상제께서 그에게 “경석에게 책 한 권을 주었으니 그 글이 나타나면 세상이 다 알 것이라” 말씀하시고 성편된 책을 불사르고 동곡으로 떠나셨도다. 책 중에 있는 글이 많았으되 모두 불사르셨기에 전하지 못하였고 한 조각만이 종도의 기억에 의해서 전하는도다.
士之商職也 農之工業也 士之商農之工職業也 其外他商工留所(疑有闕文)萬物資生
羞耻放蕩 神道統 春之氣放也 夏之氣蕩也 秋之氣神也 冬之氣道也 統以氣之主張者
也 知心大道術 戊申十二月二十四日
左旋 四三八 天地魍魎主張(天文) 무극(=圓)
九五一 日月竈王主張(陰陽) 태극(=圓)
二七六 (=鬼神)星辰七星主張(政事) 대순(=圓)
運 至氣今至願爲大降
無男女老少兒童咏而歌之
是故永世不忘萬事知
侍天主造化定永世不忘萬事知
..............................................................................................
관련내용을 덧붙이면 위와 같이 됩니다.
덧붙여놓고 보니 그럴 듯 합니다....(나만 그런지 모르겠지만).....
3종류의 원(圓) 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참고) 3종류의 원 감상하기
.........................................
이쯤되면 ' 吉凶禍福之道' 의 설명도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만....
(이런 방식의 설명은 다른 종단의 교리로는 절대로 설명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첫댓글 https://www.youtube.com/watch?v=wDArpOdys8k
PLAY
😊😄🤔 이제 스핏님이 할일은, 천주(天主)가 누군지 신위를 밝히는 거군요. 기대됩니다.
두문동성수는 상제님께서 보신 천지공사의 요약본이라 할만 합니다.
두문동성수 내용중에는 천주님을 뜻하는 내용이 보이기도 합니다.
두문동성수 그림이 머지않아 풀리겠지만 그만 올리셔도 될듯 합니다.
자칫 잘못된 해석으로 누를 끼칠지 않을까?
염려가 되기도 해서요.
^^ 걱정하실 정도이니, 너무 깊숙이 들어온 모양이군요.......ㅎ
그래도 '뼈대' 정도는 이야기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