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단순히 무부하,부하,과부하,단락 전류들을 개폐할수있느냐에 대한 질문이랑은 좀 다른것 같습니다. 솔직히 무슨말인지 문제자체가 이해가 어렵네요
1. 문제에 정상전류와 이상전류시의 통전,개,폐등의 가능 유무를 표시하라고 되어있는데 정상전류시,이상전류시 이말자체가 이해가 안됩니다. 그냥 단순히 정상전류가 (차단기,퓨즈,단로기,개폐기에) 흐를때, 이상전류가 흐를때 이런식으로 알아들으면 될까요??
2.이게 아닌것 같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통전이라는 말이 있어서... 통전밑에 이상전류나 정상전류가 차단기에 흐를수있는지 적으면 되나요?
3. 어쨋든 제가 이해한대로라면 정상전류는 전부다 흐를수가 있어야 합니다. 즉 통전은 모두 동그라미가 될것입니다. 차단기나 퓨즈,단로기등을 거쳐서 갈수있어야 하니 당연한듯 합니다. 그리고 개와 폐의 경우 차단기는 부하전류가 흐를때 개폐가 되니까 당연히 될거라 생각했고 퓨즈는 무부하시만 되니까 안된다고 생각했습니다,개폐기는 되겠고요. 다만 단로기는 무부하시만 개폐가 되니까 개,폐가 안될거라 생각했는데 개,폐의 의미가 뭔지 몰라도 세모가 되어있더군요.
개,폐의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단로기는 왜 세모인지 궁금합니다
4. 이상전류시에는 솔직히 더 모르겠습니다. 통전이야 다 되리라 생각했습니다. 나중에 차단을 하더라도 일단 흐를수는 있따고 생각했는데 왜 퓨즈는 엑스표시인가요?? 제가 질문이 길어지게 되는데 애초에 통전,개,폐에 대해 알지 못하고 각 개폐장치들의 정확한 특성도 몰라서 길어지는것 같기도 합니다ㅠㅠ 퓨즈는 안되는데 단로기는 또 되고..참 모르겠습니다
5. 솔직히 이상전류를 차단한다는 의미는 이해를 어떻게 해보려하는데 투입은 또 뭔지 모르겠네요 이상전류가 흐르지만 억지로 다시 투입(개방아니라 단락인셈)할수가 있다는 소리인가요?? 왜 엑스이고 왜 세모인지 전혀 모르겠습니다ㅠㅠ
길어졌는데 문제자체가 외우면 되는 문제일수도 있으나 기존에 알던 부하,무부하,과부하,단락시의 개폐유무랑 너무 달라서 솔직히 헷갈리고 잘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ㅠㅠ

첫댓글 안녕하세요...답변드립니다
1. 정상전류는 정상적으로 부하에 공급되는 전류, 이상전류는 과전류나 고장전류를 뜻합니다.
2. 통전이란 단순히 전류를 흘릴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3. 개란 차단기 혹은 개폐기를 열어서 전류가 통하지 않도록 하는것, 폐는 닫아서 전류가 통하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단로기의 경우 무부하 충전전류등이 흐를 경우에는 열수 있습니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세모로 한 것입니다.
4. 퓨즈는 이상전류일 때, 자동 적으로 끊어질수는 있으나
사람이 임의로 열게 될 경우 문제가 발생하므로 X입니다.
투입은 폐와 같은 의미로 전류를 흐를 수 있는 상태로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