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제로' 철강 실증 기술 개발
5년간 국고.민자 8800억 신청
'그린철강으로 경쟁력 회복 속도내야'
철강 제조 과정에서 탄소가 발생하지 않아 '꿈의 기술'로 불리는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기술'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이르면 5월 나올 것으로 알려졌다.
철강업계에서는 우리나라 친환경 철강산업의 미래가 이번 예타 결과에 달렸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미국, 유럽 , 중국, 일본 등 철강 강대국들은 수조원의 자금을 쏟아부어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에 나선 상황이라
우리나라도 서두르지 않으면 '신 철기시대'에 도태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1월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실증기술개발 사업 등을
국가 연구개발(R&D) 사업 예타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고 현재 사업 타당성 여부를 분석하고 있다.
이미 수차례 회의를 진행한 상황으로 이르면 5월에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앞서 산업부는 지난해 3월 전략기획투자협의회 1차 회의를 열고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실증 기술 개발 사업'등을
신규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 대상으로 확정했다.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실증기술 개발 사업은 철강 분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분광 수소 유동 환원로 기반 30만t급
수소환원제철을 실증하는 사업이다.
산업부는 이를 위해 총사업비로 5년간 국고 3386억5000만원, 민자 5463억1000만원 등 총 8849억60000만원을 신청했다.
'유동환원로'를 활용하는 한국형 수소환원제철 기술은 자연 상태의 분철광석을 가공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헤외 철강사들의 '샤프트환원로'를 활용한 수소환원제철 공법은 고순도 철광석을 원료로 펠릿(Pellet, 철광석을 파쇄, 선별한 후
일정한 크기의 구형으로 가공한 원료)을 만들어야 하는데, 유동환원로를 활용한 국내 기술은 상대적으로 원료 수급이 쉽고
비용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최근 중국의 저가 철강에 밀려 국내 철강 생태계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수소환원제철 기술의 필요성이 더 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자국 내 소화되지 못한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들이 대거 유입되며 국내 철강업체들이 고전하는 가운데
'공급과잉'이라는 구조적인 문제가 쉽게 해결될 기미가 안 보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우선 이 같은 위기에 반덤핑 관세 부과로 맞설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 20일 현대제철 지난해 12월 중국산 .일본산 열연강판 저가 공급에 대해 반덤팅 제소를 신청한 데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무역위원회는 중국산 후판에 대해 중국 기업에 최대 38%의 잠정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또 지난 1월에는 중국산 스테인레스 스틸 후판에 21.62% 의 반덤핑 잠정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다만 궁극적으로는 국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전문가는 '반덤핑 관세 부과는 단지 임시방편일 뿐' 이라며 '국내 공급 과잉 완화, 그린철강 가속 등
근원적인 경쟁력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