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부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인동에 있고, 전국에 7대 본산이 있다. 창교자는 총령본존(總領本尊)이라고 불리며, 1970년대 이후 신도 80만 명(자체 추정)으로 급속히 성장한 신종교이다.
창교자 하정효는 1939년 11월 16일경남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에서 태어났다. 하정효는 모친상을 당하여 그 무덤 앞에서 이 땅을 ‘어머니가 주무시는 방’으로 믿어 맨발순례를 선언했는데, 훗날 이것이 천자지손(天子地孫)사상으로 발전하여 이 종단의 출발점이 되었다고 한다.
한민족의 정통성을 단군ㆍ화랑ㆍ세종ㆍ충무공 정신에 두고, 전국 각지에 ‘세스팔다스계옴’의 신전을 짓고 주로 천제(天祭)를 지내는 종교활동을 계속해 오고 있다. ‘세스팔다스’는 뜻의 님과 삶의 님과 짓의 님의 세 신격을 받들어 그 힘으로 우리 스스로를 다스린다는 뜻이고, 또 ‘계옴’은 한울의 ‘온데 계시옵는 님’을 뜻한다.
특히 이 교단은 한글을 최고 최선의 언어로 여기는데, 교리체계를 순한글로 독특하게 표현하여 한국적 순수성을 강조하는 점이 특징이다. 순수 한글로 된 『세스팔다스의 ○○』(1985)이 대표 경전이다.
교의는 ‘한나라 사람살이’이며, 구체적 교리는 매우 가정적이고 실천적이다. 수행은 9단계로 나뉘며, 계옴ㆍ뜰뜻ㆍ새한○ 등의 주문을 외운다. 정교(正敎)ㆍ정무(正武)ㆍ정도(正道)ㆍ정사(正史) 찾기를 주력해 왔고, 또 인류 구원, 세계질서 회복, 자력갱생, 민족화합, 종족 보존을 표방하며 한국민족정신중흥운동과 세계평화운동을 벌여 왔다.
한편, 창교자가 창안해 낸 고유 무술인 ‘뫄한뭐루[鶴翼列陣]’ 8,192동작을 보급하고, 남을 죽이는 성향과 생명을 해치는 사악성 자체를 소멸시키는 운동을 순수한 우리말로 ‘체테수땜[邪惡抛棄]운동’이라고 명명하여 실천하고 있다.
신앙의례를 보면, 참태양을 의미하는 한옛새해의 상과 세스팔다스 계옴을 모시고 불을 밝혀 둔 채 그 아래에서 4번 큰절을 올리는 ○○이라는 마루바침(신앙의식)을 행한다. 그리고 수시로 횃○[天祭]을 지낸다. 횃○ 때는 28가지 제물을 차리는데, 술과 고기를 사용하지 않고 과일이나 채소, 곡식만을 쓴다.
교단조직은 매우 복잡한 체계로 되어 있는데, 총령경-총본부-세계종무청이 있고, 그 밑에 총무원, 제전원, 성도원, 신전원이, 그리고 그 아래 총본산이 있다. 총본산 아래 다시 칠종산과 십이문단, 그리고 국제부가 있다. 십이문단 산하에는 수녀원, 선교원, 교육원, 수도원 등이 있다. 1997년 당시 48개 교구에, 소속 교당 수는 1,200개 소이며, 교직자는 400명, 신도는 81만 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하정효님 어록
3. 태양은 나무 끝에 있는 하나의 열매에 불가하고 본체도 주체도 아니다. 은하계를 넘어 만경성화
4. 자기가 우주 중심인 것처럼 생각? 이것은 얄팍한 사고이다.
5. 썰물과 밀물의 파도는 외계의 바람작용이다.
6. 인류는 2,000년간 깃발 들고 싸움질, 1,000년간은 땅 따먹기 전쟁, 앞으로 1,000년간은 인종 뒤섞
7. 청장년은 본적지를 떠나고 어머니 품을 떠나고 있다.
8. 옛날에는 제일 두려운 것이 하나님, 할아버지였는데 요즈음은 제일 두려운 것이 핵무기, 마누라
9. 고향을 말살해 버리는 것, 自己根本 망실해 버리는 것, 자기근본 상실증에 걸리면 뜨내기 신세다.
10. 弘益人間이란?
11. 한국은 세계도처에 나가서 영원히 옳은 세계로 건설해 나가는 일을 해야 한다.
12. 한국사람 데리고 살면 100 → 300으로 나타낼 능력이 있는 민족이다.
13.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
14. 백두산, 백도라지, 흰옷과 선녀
15. 복주머니 속에 좋은 글귀를 적어서 보내준다.
16. 한국 사람이 얼마나 됩니까?
17. 외래정치, 외래경제, 외래문화…….언젠가는 터진다.
18. 공직자 자손이전에, 성직자 자손이전에, 자본공산주의자 이전에…….먼저 우리는 단군자손이다.
19. 우리가 해야 할 일
20. 民族은 生命이다.
21. 사대문을 열어놓은 나라 (외래범람)
22. 불교는 어둠에서 한 불꽃으로 확 밝아졌다. 양심의 불을 밝혔다.
23. 젊은 사람들 하는 일이 마음에 들지 않고, 괜히 괘씸하고 어딘가 잘못되어 가고 있다는 한탄을
24. 이론체제
25. 세계는 민족을 무너뜨리려고 한다.
26. 민족은 뼈대요 국민은 살이요, 주민은 피부이다.
27. 한국자체가 진리덩어리이다.
28. 기독교의 사랑, 불교의 자비, 유교의 인의
29. 현실의 복지의 총체적인 것이 한나라 사람살이이다.
30. 한국의 정치
31. 사람이 존중되고 각자의 의사가 존중되면서 이들이 주인이 되어야 한다.
32. 5.18 → 거꾸로 하면 8.15이다.
33. 이 박사 건국 민주주의 → 그 다음은 분단 민주주의.
34. 통치민주주의는 되었지 현장 민주주의는 아니 되었다.
35. YS, DJ는 돈도 못 벌어봤고, 농사도 못 지어봤고, 공장관리 노릇도 못해 본 사람이다.
36. 소모적인 정적이 없는 나라 → 천하를 화합시킨다.
37. 클린턴 복지국가 예산 줄이고 중국은 공산주의 → 공생주의로 변화를 해야 한다.
38. 현장실습이 바로 家庭이다.
39. 북한은 중공이 붙어있는 한 멸망하지 않는다.
40. 북한은 黨治에서 法治로 고치고 소득이 1.000$ 이상이 되면 망한다.
41. 한국과 비교해서 70년 떨어진 나라
42. 단군의 자손만이 진정한 민족을 찾을 수 있다.
43. 大義名分이 없는 團體(國家)는 국가가 아니다.
44. 弘益人間 理化世界 檀君聖祖는 大義名分이 뚜렷하다.
45. 북한의 김일성은 大義名分과 正統性이 없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도당, 잡당이라는 것을
46. 북한이 정통성을 주장하려면 김일성 이전 한민족체제로 돌아가야 한다.
47. 친정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시집간다고 말하듯, 민족의 뿌리로 돌아가야 한다.
48. 국조(단군), 국화(무궁화),국가(애국가), 국조(까치)
49. 무엇이 한국 정신이며 무엇이 한국 핵인가?
50. 정신 핵이란 잊어진 역사 속에 정통정신이 숨어 있다. 그것을 찾아내야 한다.
51. 한국 통일을 어떻게 할 것인가?
52. 우리나라를 망가트린 것은 정치인이 아니고 종교인이다. 국민통합 사고를 분열시켰기 때문에...
53. 한국은 남북통일이 되면 바로 종교 전쟁이 일어나게 되어있다.
54. 마니산 행사는 지성과 정성을 하늘과 조상에 고하는 것이다.
-----------------------------------------------------------------------------------------------------------
한국의 전통무술인 뫄한뭐루는 '나를 떠나 누리로 돌아가는 겨레의 살길'이라는 뜻이다. 1967년 세상에 공개됐으며 현재 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 미국, 영국, 캐나다 등에서도 퍼져있다.
뫄한뭐루는 10월 2일부터 8일까지 7일간 열리는 '11회 충주무술축제'에도 참여해 각종 연무시범을 보인다. 1:1 호신술부터 시작해 1:8로 이어지는 다수대련, 남녀노소가 누구나 가능한 건강무술에 대한 시연을 펼칠 예정이다.
이하는 뫄한뭐루 총무관 문대웅 총관장과의 일문일답
- 뫄한뭐루의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 뫄한뭐루란 '나를 떠나 누리로 돌아가는 겨레의 살길' 이라는 우리말로서, 한국토종무술입니다. 뫄한뭐루란 1957년 진주시 금곡면 검암리 운문마을 출신의 '총령본존 하정효 계옴님'께서 창시했습니다.
- 이 무술의 특징으로는 무엇이 있나요?
▲ '뫄'는 사사로운 나의 맘과 몸을 벗어난다는 뜻이고, '한'은 하늘과 바다 및 터 땅 그리고 오늘을 가리키는 전통사상이며, '뭐루'는 '마루얼' 곧 종가(宗家)의 혼을 이릅니다. 총 8천 1백 92가지의 돌굼(품세)을 지닌 뫄한뭐루의 특징은 철저한 다수대련 실전무술이라는 점입니다. 또 강한 파괴력과 부드러운 동작 등 무술이 지녀야 할 요건과 전통적인 정서를 두루 갖추고 있습니다.
뫄한뭐루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여 동쪽방향으로 햇녘돌굼, 서쪽으로 달녘돌굼, 남쪽으로 물녘돌굼, 북쪽으로 뭍녘돌굼, 이들 사방사이의 간방돌굼 등 8대 방향으로 진출하는 기본돌굼이 있고, 방향마다 1천24개의 동작이 입체적으로 전개됩니다. 또 각 돌굼을 맨손으로 익히기만 하면 이를 다시 봉술과 검술 등 병기술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어 '하나를 알면 열을 구사할 수 있는' 무예로 일컬어집니다. 작게 구사하면 관절을 꺾는 호신술이 되고 크게 쓰면 다수상대를 제압하는 입체무술이 됩니다.
- 이 무술이 한국에서 어떻게 발전하고 있나요?
▲ 1957~1967년 창시자 하정효 계옴님께서 진주시 운문마을에서 출발, 10년 맨발 길로 전국 강산순례에서 창시 후 연무교육과 9대본산과 7대무관(성존무관, 팔현무관, 충렬무관, 국사무관, 진성무관, 학익무관, 무열무관)을 설립하여 수련시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1967년 11월19일 충무공별세 369주기일을 기해 충무발상지 본부 창설 이후 각 시도별 연무관 설립, 무술인력 및 유단자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대학교에도 동아리 만들고 있으며 미국, 중국, 영국, 캐나다, 필리핀, 일본, 태국, 이탈리아 등 세계 각국에서도 수련생들이 있습니다.
또한 매년 세계 마라치 선발대회, 충주세계무술축제, 대한민국무예대제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무예단 공연, 국립국악원 무예단 공연, 전쟁기념관, 성남아트홀, 일선 군부대, 진주개천예술제, 강릉단오제 등의 각종 행사는 물론 각 지역 이벤트 및 학교에서도 연무공연을 펼치고 있습니다.
- 이번 충주무술축제에서 어떤 것을 보여주실 계획인지?
▲ '겨레의 얼을 되살려'라는 주제로 맨손무형과 병장기류무형이 같은 동작으로 나타내는 돌굼길을 시연하게 됩니다. 또한 1:1에서 1:8로 이어지는 다수대련 및 검술대련의 시범 및 건강무술 시연도 펼칠 예정입니다.
- 뫄한뭐루를 직접 접해보고 싶으면 어디로 가야 하나요?
▲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 뫄한뭐루를 검색하시면 됩니다. 공식홈페이지(http://mhmr.net/)를 방문하시면 어디서 수련하실 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서울, 용인, 수원, 일산, 대전, 영동, 평창, 대구, 영주, 부산, 전주, 광주 등에 연무관이 있습니다.
첫댓글 언어공부 시에 '이두(신라시대 설총이 만들었다는)'라는 체계와 더불어 요근래의 구선 스님의 한글명상, 박현님의 바나리측 연구, 뫄한뭐루의 경전들을 함께 연구하면 좋을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