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橋梁)
방포교(防浦橋) - 군(郡)의 서(西) 3리(里)에 있다.
덕교(德橋) - 군(郡)의 서(西) 10리(里)에 있다.
해변교(海邊橋) - 군(郡)의 서(西) 3리(里)에 있다.
대부교(大浮橋) - 군(郡)의 남(南) 5리(里)에 있다.
금천교(金川橋)
신어천교(神魚川橋)
금불교(金佛橋)
회현교(會峴橋)
전하교(田下橋)
호계교(虎溪橋) - 이상(以上)은 다 김해면(金海面)에 있다.
김해교(金海橋) - 대저면(大渚面) 평강리(平江里)에 있다.
정천교(正川橋) - 김해면(金海面) 대법리(大法里)에 있다.
화포교(花浦橋) - 이북면(二北面) 명동리(明洞里)에 있다.
신교(薪橋) - 이북면(二北面) 퇴래리(退來里)에 있다.
형승(形勝)
고가야지허수환기경(古伽倻之墟水環其境) - 정몽주(鄭夢周)의 분산성기(盆山城記)
서남제대해(西南除大海) - 권근(權近)의 시(詩)
산천수미인물번호삼차경대칠점우영(山川秀美人物繁浩三叉經帶七点紆榮) - 안숭선동헌기(安崇善東軒記)에 병기(倂記)되어 있다.
금릉팔경(金陵八景) - 타고봉(打鼓峰)의 맑은 달빛, 남포(南浦)의 고깃배 등(燈)불, 삼차수(三叉水)의 돛단 배, 죽도(竹島)의 안개와 구름, 연자루(燕子樓)의 먼 경치(景致), 함허정(涵虛亭)의 이슬 젖은 연(蓮)잎, 구지봉(龜旨峰)의 저녁 아지랑이, 호계(虎溪)의 저녁 놀
주(註) 4. 형승(形勝) : 지세(地勢)와 경치(景致).
고적(古跡)
수로왕궁유지(首露王宮遺址) - 지금 성(城) 안에 있으며 세속(世俗)의 말에 고궁지(古宮址)라고 전(傳)한다. 옛날에는 서문(西門) 밖 고현리(孤峴里)에 있었다.
망산도(望山島) - 동한(東漢) 건무(建武) 24년(年) 7월(月) 허왕후(許王后)가 아유타국(阿隃陀國)으로부터 바다를 건너서 왔다. 수로왕(首露王)이 유천간(留天干)에 명(命)하여 망산도(望山島)에서 기다리게 하고 신귀간(神鬼干)은 승현(乘峴)에서 왕후(王后)를 기다리게 했다. 왕후(王后)가 와서 높은 산(山)에서 쉬면서 입고 있던 비단(緋緞) 바지를 벗어 들고 산신령(山神靈)에게 바쳤다. 왕(王)이 맞이하여 왕후(王后)가 되게 했는데 영제(靈帝) 중평(中平) 6년(年) 기사년(己巳年) 3월(月)에 왕후(王后)가 돌아가니 연세(年歲)가 157세(歲)였다.
왕후사지(王后寺址) - 장유산(長遊山)에 있다. 합혼(合婚)한 장소(場所)에 수로왕(首露王) 8대(代) 손(孫) 질지왕(銍知王)이 절을 지어 이름을 왕후사(王后寺)라고 하였다. 후(後)에 절을 파(罷)하여 전답(田畓)이 되게 했다.
초선대(招仙臺) - 군(郡)의 동(東) 7리(里)에 있으며 넓은 들판 가운데의 작은 돌산(石山)이다. 세속(世俗)에 전(傳)하기를 거등왕(居登王)이 칠점산(七点山)의 참시선인(旵始仙人)을 초청(招請)하였다고 하는데 참시선인(旵始仙人)은 배를 타고 오면서 거문고를 안고 와서 노래하고 연화석(蓮花石)에서 왕(王)과 앉아 바둑을 둔 까닭으로 연화석(蓮花石)을 초선대(招仙臺)라고 이름하였다. 지금 아직도 위에 큰 바위가 있고 사람 형상(形象)이 있으며 아래 바위에는 거인(巨人)의 발자취가 있다.
사우당(四友堂) 조이추(曺爾樞)의 시(詩)에
伽倻古國鎖寒烟 가야(伽倻) 옛 나라에 찬 안개 둘렸으니
海上高樓獨巋然 바다 위 높은 누각(樓閣)이 홀로 우뚝하구나.
王業吾知如是止 왕업(王業)이 내가 알기에도 이처럼 끊어졌으니
不招賢者反招仙 현자(賢者)를 부르지 못하고 초선대(招仙臺)로 돌아 왔다네.
라고 하였다.
주(註) 5. 반(反) : 반(返)의 뜻.
파사석탑(婆娑石塔) - 군(郡)의 성(城) 안 호계(虎溪) 가에 있는데 무릇 5층(層)이고 그 색깔은 붉은 무늬가 있으며 생김새가 기묘(奇妙)하다. 세속(世俗)에 전(傳)하기를 허왕후(許王后)가 서역(西域)으로부터 올 때에 탑(塔)을 실어 풍파(風波)를 진정(鎭靜)시켰다고 한다.
읍성(邑城) -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4,000자(尺)이다. 안에는 28개(個)의 샘이 있고 호계(虎溪)가 남북(南北)으로 흘러 통(通)한다.
진례성(進禮城) - 군(郡)의 서(西) 35리(里)에 있다. 신라(新羅) 때 김인광(金仁匡)이 진례제군사(進禮諸軍事)가 되어 쌓았다. 세속(世俗)에 전(傳)하기로는 수로왕(首露王)이 그 한 아들을 진례성주(進禮城主)로 봉(封)하고 왕궁(王宮)을 설치(設置)하였다 하고 태자(太子) 담(坍)의 첨성대(瞻星臺) 옛터가 아직 있다. 지금은 경성(京城) 안이라고 일컬어진다.
첨성대(瞻星臺) - 군(郡)의 서(西) 30리(里)에 있다. 가락왕(駕洛王)이 태자(太子)를 진례성주(進禮城主)로 임명(任命)하여 첨성대(瞻星臺)를 쌓게 했다고 한다.
토성(土城) - 세속(世俗)에 전(傳)하기를 수로왕(首露王)이 흙을 구워 성(城)을 신축(新築)하고 이름을 분성(盆城)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가곡산성(歌谷山城) - 군(郡)의 서(西) 20리(里)에 있다.
영모대(永慕臺) - 성(城) 안의 도화동(桃花洞)에 있다. 상서(尙書) 정익형(鄭益亨)이 귀양을 와서 살 때에 놀면서 쉰 곳이다. 그 후손(後孫) 정숙조(鄭䎘朝)가 본군(本郡)의 군수(郡守)로 왔을 때 바위 면(面)에다 행적(行績)을 기록(記錄)했다. 지금은 농업학교(農業學校)의 터가 되었다.
금단성(金丹城) - 녹산면(菉山面)에 있는데 둘레가 수백(數百) 간(間) 되는 옛날의 말 사육장(飼育場)이 있다.
청룡대(靑龍臺) - 녹산면(菉山面) 송정리(松亭里)에 있는데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의 낚시터에 필적(筆跡)이 있다고 한다.
분성대(盆城臺) - 가락(駕洛) 고도(古都)의 궁허(宮墟)인데 김문배(金文培)가 수축(修築)하고 비석(碑石)을 세웠다.
선유대(仙遊臺) - 선암강(仙岩江) 위에 있고 부사(府使) 김영수(金永綬)의 필적(筆跡)이 있다.
만장대(萬丈臺) - 분산성(盆山城) 남(南)에 있다. 부사(府使) 정현석(鄭顯奭)이 돌을 쌓았고 석파(石坡)라고 큰 글자 두 자(字)를 새겼는데 곧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호(號)이다.
봉황대(鳳凰臺) - 군(郡)의 성(城) 서(西)에 있다. 부사(府使) 정현석(鄭顯奭)의 필적(筆跡)이 있다.
선암(仙巖) - 녹산리(菉山里)에 있다.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이 놀면서 구경한 곳이다.
효감천(孝感泉) - 진례면(進禮面)에 있다. 효자(孝子) 반석철(潘碩徹)이 상중(喪中)에 있을 때 솟아 나왔다고 한다. 이병연(李秉延) 연안인(延安人) 충정공(忠定公) 묵재(黙齋)가 존귀(尊貴)하게 된 후(後)에 호남(湖南) 흥덕군(興德郡)에서 효자(孝子) 오준(吳浚) 또한 지극(至極)히 효도(孝道)하여 단 샘물이 솟아 나와 하늘이 상(賞)을 주었다는 데 감동(感動)하여 두 샘의 시(詩)를 지은 것이 있다. 영남(嶺南) 우도(右道)에서 반석철(潘碩徹)의 효성(孝誠)이 널리 퍼져 샘물이 감화(感化)되듯이 호남(湖南) 안에도 또한 오준(吳浚)이 있어 단 샘물을 솟게 했으니 영남(嶺南)과 호남(湖南)의 천리(千里) 기운(氣運)이 서로 응(通)했고 어찌 우연(偶然)히 두 샘이 만들어졌겠는가.
자미화수(紫薇花樹) - 삼강동(三綱洞)에 있다. 이부(李玸)가 함안(咸安) 모곡(茅谷)에서 머물기 시작(始作)할 때 한 가지를 나누어 심었을 때부터 지금(至今)까지 400여년(餘年)되었는데 꽃과 잎이 무성(茂盛)하여 이씨(李氏) 가문(家門)의 성쇠(盛衰)를 시험(試驗)한다고 한다.
계영배(戒盈盃) - 백양도(白壤陶)의 작품(作品)을 겨우 얻은 것이다. 두 줄기 물이 합(合)한 가운데에 오래 된 매화(梅花)나무가 심어져 있고 까치가 우는 아래에 구멍 한 개(個)가 뚫려 있는데 바닥에 통(通)해 있다. 까치 우는 가지에 꺾인 흔적(痕迹)이 있고 점(點)이 두 개(個) 있는데 붉은 잔(盞)에 네 개(個)의 구멍이 있고 담묵(淡墨)이 피어오르는 노을처럼 거품으로 나온다. 매양(每樣) 술 마실 때를 당(當)하면 붉은 꽃이 잔(盞) 속에 떠서 노을 기운(氣運)이 주면(酒面)에 향기(香氣)같이 뜬다. 용량(容量)은 8할(割) 내지(乃至) 9할(割)에 이르러 스스로 같다. 10할(割)에 이르러 가득 차게 되면 아래로 흘러 머물러 있지 않는다. 숙종조(肅宗朝)에 조이량(曺爾樑)이 강동(江東)을 다스릴 때 얻어 지금 후손(後孫) 집에 전(傳)하고 있다.
봉수삼(烽燧三) - 분산(盆山) ( ? ) 불을 살피고 ( ? ) 자암(子庵)
역원(驛院) - 남역원(南驛院), 덕산역원(德山驛院), 금곡역원(金谷驛院), 대산역원(大山驛院), 적항역원(赤項驛院), 성법역원(省法驛院), 남정원(南亭院), 이수원(梨樹院), 황산원(黃山院), 흥복원(興福院), 노현원(露峴院), 초령원(草嶺院), 북정자원(北亭子院), 삼기원(三岐院), 해양원(海陽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