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집 제5권 / 서(序)
전주 이씨 족보 서(全州李氏族譜序)
송치규(宋穉圭) 찬(撰)
[생졸년] 1759(영조 35)~ 1838(헌종 4) 수(壽) 79세
우리 조선의 양녕(讓寧)과 효령(孝寧) 두 대군(大君)은 세상에서 말하는 동방의 태백(泰伯)이요 우중(虞仲)이다. 그 후손이 여러 종친 중에서 가장 번성하게 되었으니, 베푼 것에 대한 보답의 이치가 어찌 그러하지 않겠는가. 효령의 후손 참판(參判) 이소(李韶)의 한 파(派)가 호서(湖西) 지역의 은진(恩津)에 살게 된 것은 참판공의 묘가 현(縣)의 봉황산(鳳凰山)에 있기 때문이다.
효령의 자손들이 옛날에 15권으로 된 족보를 가지고 있었으니, 그 수가 억(億)뿐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족보가 나온 지 이미 50년이 되어 세대가 더욱 멀어졌다. 은진에 사는 일족이 족보를 정리하여 간행하고자 하는 것은, 구양씨(歐陽氏 구양수(歐陽脩))가 “각기 고조(高祖)와 현조(玄祖)가 있고, 다시 위로 9대까지를 더하여 고치고 모으기를 계속 한다면, 또한 나중에 회통(會通)할 때가 있을 것이다.”라고 말한 뜻에서 나왔다.
진실로 일족을 거두어 모으고 종친에게 도탑게 하는 것이 부지런하고 두텁지 않으면 어떻게 이와 같겠는가. 처음부터 끝까지 이 역사(役事)에 온 힘을 쏟은 사람은 참판공 9대손인 진만(鎭萬)과 진용(鎭容)이다. 진용이 나에게 와서 서문을 요청하였다.
아! 효령대군의 덕은 말할 필요도 없이 드높고, 또 참판공(參判公)의 깨끗한 명성과 곧은 절의가 어찌 남의 말을 기다려서 드러나는 것이겠는가. 게다가 나는 글솜씨가 서툴러서 잘 발휘할 수 없기 때문에 사양하였지만 그 요청이 더욱 간절하여 대략 이 글을 써서 돌려준다.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노재준 박해당 권민균 (공역) | 2015
----------------------------------------------------------------------------------------------------------------------------------------------------------
[原文]
全州李氏族譜序 - 宋穉圭
國朝讓寧,孝寧二大君。世所謂東方之泰伯虞仲。其後裔在諸宗爲最蕃。報施之理。豈不然乎。孝寧之後參判諱韶一派。居于湖右之恩津。蓋以參判公墓在縣之鳳凰山故也。孝寧子孫舊有譜爲十五卷。則其麗之不億可知。而譜後已爲五十年。世益遠矣。恩津
族。修其派譜。將刊印。蓋出於歐陽氏所謂各有高玄。再而成九。而以竢刪集。則亦當復有會通之時之意也。苟非收族敦宗之勤且厚。何以如是。終始致力於是役者。參判公九代孫鎭萬,鎭容。鎭容來問序於余。嗚呼。孝寧之德。尙矣無論。參判公之淸名直節。又豈是待人言而顯者哉。且余拙於文辭。無以發揮。遂以是辭之。而其請益力。略書此以歸之。<끝>
강재집 제5권 / 서(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