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복점 변형도 : Yield point strain, ε yp
인장실험에서 영구 변형(소성변형)이 되기 시작하는 때의 변형도. 탄소강재 경우에는 탄성영역에서 소성영역으로 천이가 뚜렷하여 항복점 변형도를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다.
확산소둔 : Homogenizing
통상 강괴에서 존재하는 편석을 경감 시키기 위해 1050~1300도 수준으로 장시간 가열하는 열처리로 단조,압연의 전처리작업으로 실시합니다.
환봉
반제품 빌릿을 봉강 압연기를 거쳐 원형 형태로 압연한 봉강/ 자동차용,구조용 소재용으로 사용
회주철
2% 이상의 탄소를 함유한 강을 주철이라고 하는데 탄소의 대부분이 흑연형태로 포함된 주철을 지칭함 / 파면이 회색, 연하고 가공이 쉬움
휀스류
선재를 소재로 가공 / 도로 및 주택. 건축물, 공원등 미관을 고려하여 설치한 경계 구조물
H형강(H-Beam)
반제품 빌릿이나 블룸을 Universal Beam Mill 이라는 압연기를 통해 H자 모양으로 압연한 강재 / 주로 건축 구조물로 사용
Heat Number
열처리로에서 특정 품질을 생산하기위해 모델링된 전산제어 연속열처리번호를 말한다. BOP(Basic Oxygen Plant)에서는 용강 차지별로 연속번호를 부여한다.
Heavy Gauge
생산두께가 고객요구사양의 최대치를 벗어난 제품
High Carbon Grade
탄소함량이 .20%이상인 강재를 말한다.
High Strength Low Alloy (HSLA)
고장력강으로 바나듐, 티타늄, 콜룸비움의 합금원소가 하나 또는 2개이상이 첨가되어 내후식성 혹 우수성형성의 성질을 가지는것을 말한다.
Hot Bands
Hot Rolled Sheets를 말한다.
Hot Mill (Hot Sterre Mill)
냉각되지 않은 슬라브를 특정두께 코일로 압연하는 공장을 말한다.
white rust
대기중의 산소가 금속도금공정에서 도금재료와 화합될때 발생하는 산화물. (Sacrificial Barrier: 강재의 부식을 막기위해 대기중 부식을 일으키는 원소와 화합하는 아연같은 금속도금재)
펄라이트 : Pearlite
강에서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교대로 층상을 이루는 2상 조직. 펄라이트는 오스테나이트가 분해되어 형성된다.
페라이트 : Ferrite
철을 함유하는 금속 산화물을 가리킨다
평강(평철)
반제품 빌릿이나 블룸을 소재로 두께 3mm이상 사각형태로 생산한 강재
플럭스코드 와이어 : Flux cored wire electrode
용접용와이어로 관형태로 되어 내부에 아크의 안정화, 탈상목적으로 용제가 채워져 있다.
피로 : Fatigue
시편이나 부품에 반복되는 하중이나 변형도를 가하는 일.
Flat Rolled Steel
원통형롤을 사용하는 압연공장에서 생산되는 강재, 두께대비 폭의 비율이 매우 높다. 예로 열연강판/코일, 냉연강판/코일, 도금강판/코일, 석도강판/코일이 있다.
Full Hard Cold Rolled
추가공정- 어닐링 혹 조질압연-없이 특정두께로 냉간압연된 열연산세강재를 말한다. 매우 딱딱하다. 변형이 매우 적은 압연작업에 사용된다.
Full Hard Temper
로크웰 경도 84 & B 스케일보다 높게 생산된 풀하드 냉연강재
P.E(폴리에틸렌) 피복강관
전기용접 강관 바깥면에 방청 방식용 폴리에틸렌을 피복한 강관 / 수도, 가스, 플랜트등의 매설용 배관
Pay Off
생산공정의 시작이며, 감겨져있는 코일이 풀리는것을 의미한다.
PC강선(봉)
탄소 함유량 0.65~0.95%인 피아노선재를 가공 변형의 제거와 특성치 향상을 목적으로 블루잉 처리한 고항장력 강선
Phase
다른 부분과 기계적으로 분리되는 계면에 의해 구분되는 물질의 균질한 부분.
Pinholes
강재표면의 아래에 내부로 뻗은 작은 둥근 구명형태로 생기는 도금결함의 하나이다. 오염된 반응물질, 부적당하게 퍼져있는 윤활유, 첨가물등이 원인으로 표면피복, 개재물, 긁힘, 패임에서 발생한다.
Pitting
점모양의 구멍으로 핀홀과 유사하나, 반응물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Pre-Paint
코일형태의 강재에 폴리에스터, 불소등 각종수지를 열융착시키는것.
PVC 라미네이트 강판
GI, EGI를 소재로 PVC필름을 표면 압착한 강판/ 가공성, 내화학성 우수
철도용 레일
빌릿을 소재로 Universal Beam Mill 압연기에서 압연한 강재 / 철도용
철망
철선을 소재로 여러가지 형태의 망으로 제조한 제품
철못
선재를 제정기에서 가공한 제품
철선
탄소함유량 0.08~0.15%의 연강선재를 산세, 수세, 디스케일링 처리 후 상온에서 다이스를 통해 신선한 제품
취성 : Brittle
외부에서 하중을 줄때 구부러짐으로써 에너지를 흡수하는 능력이 없고 여러 조각으로 부서지는 성질을 일컬을 때 사용하는 말. 예를 들어 자동차의 창문 유리는 취성이 있으나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된 범퍼는 취성이 없다.
침식부식 : Erosion corrosion
일반적으로 파이프의 굽힘부위에서와 같이 유체가 매우 빠른 속도나 큰 각으로 재료와 충돌하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변질형태.
타공
철판에 천공기로 일정 간격, 크기로 구멍을 뚫는 가공 작업
타이어코드(스틸코드)
직경 5.5mm의 경강 선재를 0.15~0.38mm 정도의 가는 선으로 신선 가공 후 황동 도금한 것을 고속 연선한 제품
탄소강상태도
간단히 이야기하면 x축과 y추ㅠㄱ으로 이루어 진 도표로서, 도표의 x축 좌표는 순수철에서 카본함량이 계속 증가할 때 수치를 나타내고, 도표의 y축 좌표는 섭씨온도 증가치를 나타냅니다. 즉 이 도표는 x축 좌표와 y축 좌표가 어느점에서 만날때 현미경으로 보는 철의 형상이 어떤것인지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튜빙 : Tubing
OCTG파이프의 일종으로 유정, 가스정의 굴착에 사용되며, 케이싱을 통하여 직접 유정층에 삽입되어 기름을 지상으로 운반하는 통로이다.
특수강 주강품
용도에 따라 합금을 첨가하여 내열용,내마모용 등으로 사용.주로 공작기계,산업용,자동차 등의 부품용으로 사용
T-형강
반제품인 빌릿이나 블룸을 소재로 T 자 형상으로 압연한 강재
칼라 C-형강
C 형강에 부식 방지를 위해 프라이머 도료를 도장한 강재.
캠버 : Camber
1. Camber is the deviation of a side edge from a straight edge. Measurement is taken by placing a straight edge on the concave side of a sheet and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heet edge and the straight edge in the center of the arc. Camber is caused by one side being elongated more than the other. 2. The hook or dogleg near the ends of a coil
케이싱 : Casing
OCTG파이프의 일종으로 가스, 유정의 굴착에 사용된다. 유정, 가스정의 굴착시 시추구멍의 붕괴를 방지하고, 불순물의 통과를 저지한다.
코일스크랩, 스캘프 (skelp)
단접강관의 소재가 되는 반제품, 각형강괴 또는 빌릿을 분괴-조질 압연한 용접강관의 소재 / 코일 상태의 철판을 슬리팅한 후 발생하는 협폭 코일, 또는 코일 사용 후 남은 소량의 잔량 코일을 통상 지칭
코크스 : Cokes
코크스는 석탄(원료탄)을 코크스로(爐)에 넣어 1,000 ~ 1,300℃의 고온으로 장시간 구운 것으로 철과 산소의 화합물인 철광석을 고로내에서 녹이는 열원인 동시에 철분을 철광석에서 분리시키는 환원제로서 필수 불가결한 역할을 한다.
크리프 : Creep
비교적 고온, 낮은 응력(인장강도보다)하에서도 시간에 따라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
Cobbles
코일이 가공 라인에서 편평하게 흘러가지 않고 리본처럼 겹쳐지는것을 말한다.
Coil End
결함으로 코일 ID가 없는것 , 주로 500-10,000파운드 무게, 10,000파운드이상의 코일은 IPM이 주어진다. 5000파운드보다 작고, 고객이 요구한 규격과 맞지않는 것을 새비지코일(salvage coil)이라한다. 역시 IPM 이 주어지지 않는다.
Coke
휘발성물질을 제거하여 로에서 가공된 유연탄, 순수탄소인 딱딱한 다공성물질이다. 고로에서는 철광석용해를 위해 온도를 3000도까지 상승시키고, 가스를 줄이는데 사용한다.
Cold Reduction Mill
박판이나 코일이 냉간압연되어 다음 성질을 얻는것 1) 특정표면 2) 특정기계적성질로 균일화 3)박판을 경제적으로 가공 4) 두께를 균일하게 압연.
Commercial Tolerance (Dimentional Tolerance)
생산품품질이 ASTM표준규격에는 일치되나, 주문자규격을 벗어난 것을 말한다.
Continuous Anneal
코일을 여러부분으로 되어있는 가열로를 비교적 빠른속도로 통과시킬 때 특정온도로 급가열, 급냉하는 공정
Core
코일 내경
Cut Edge
시어링, 슬리팅, 트리밍을 거친 정상적인 가장자리
작은 나사
구조물이나 기계부품용 / 은, 황동, 스테인레스 재질을 가공, 생산하기도 한다
전기강판 (규소강판)
규소를 다량(1~5%) 함유시켜 자기 특성을 강화시킴, 주로 모터, 변압기등 전기 기기의 소재로 사용됨
전기동도금강판
냉연강판을 소재로 전기동을 전기도금표면처리한 강판
전기아연
소광을 황산에 녹여서 황산아연을 만들고, 이것은 양극에 납판, 음극에 알루미늄판(소량의 은 포함)을 사용해서 전기분해하여 음극판(陰極板) 위에 석출된 순수 아연을 주조(鑄造)하여 만든게 전기 아연이다.
전기아연도금강판(EGI)
냉연강판을 소재로 전기 도금욕조를 통과시켜 아연도금한 강판. 가전용 칼라강판의 소재및 가전용으로 사용
전기주석도금강판
석도원판을 소재로 전기 도금욕조를 통과시켜 주석 도금한 강판. 식관/잡관자재 및 식음료 캔으로 사용
전조가공 : Roll Forming
전조가공(roll forming)은 공구의 형상을 소재에 복사시키는 방법이며 가공방법은 공구(roll)나 소재, 또는 이 양쪽을 회전시키거나 왕복시킴으로써 공구의 형상을 찍어내는 것이다. 이 방법은 단조나 압출 등의 비합리적인 요소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한 가공법으로 작업이 간단하고 자동화가 편리하며 진동이나 소음이 제거되므로 양산에 적합한 가공법이다. 전조된 재료의 조직을 살펴보면 연속된 섬유상조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절삭가공된 제품보다 강도와 기계적 성질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표면이 압착되므로 피로 강도가 증가하고 충격에 강하며 재료의 절약에도 도움이 되는 가공법이다. 전조시 사용되는 재료는 강 또는 구리나 경합금 등이 사용된다. 전조가공의 가장 효과적인 가공이 나사전조이다. 나사전조에는 평판식전조와 롤식전조의 두가지가 있는데 나사부붐의 양산으로는 평판식 나사전조가 많이 쓰인다.
전해크롬산처리강판 : Tin free steel TFS
주석강판을 대체하기위하여 tin대신 크롬을 사용하여 도금한 강재. 현재는 석도원판에 크롬과 전해크롬산을 얇게 도금한다.
절곡
철판 또는 형강류를 기계나 열을 이용하여 그 형상을 바꾸거나 여러 각도로 소성 변형시키는 작업
절단(shear)
스트립 코일의 양끝을 잘라 정돈하든가 일정 칫수로 폭방향 절단하는 작업
제강공정
고로에서 생산된 쇳물(용선)은 탄소(C) 함유량이 많고 인(P), 유황(S)과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 부스러지기 쉽다. 이러한 쇳물을 강인한 강(鋼)으로 만들려면 탄소의 양을 줄이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과정이 제강공정에서 이루어진다. 제강공정은 용선예비처리, 전로제강, 2차정련이라는 세가지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용선예비처리는 쇳물에 포함된 불순물 인과 유황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둘째, 전로제강공정은 전로에 쇳물을 부은 후 고압, 고순도의 산소를 불어넣어 탄소를 태우고 불순물을 없애는 공정으로서 철강의 기본적인 품질을 결정하는 공정이다. 마지막으로 2차정련은 최종제품 내부품질(성분, 재질 등) 요구조건에 맞게 제어하는 공정이다.
제선공정
철광석(소결광), 코크스, 석회석이 고로 윗부분에서 서서히 아래로 떨어질때 코크스가 고로 밑부분에 유입되는 열풍에 의해 연소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CO)가 철광석과 환원반응을 일으키면서 쇳물(용선)이 생산되는 공정을 말한다. 이때 코크스는 철광석을 녹이는 열원으로서의 역할과 산화철인 철광석에서 산소와 쇳물(용선)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고로에 장입된 철광석이 쇳물로 나오기까지 5 ~ 6시간 정도 소요되고, 이때 쇳물의 온도는 1,500℃ 정도이다.
조립식 패널(샌드위치 패널)
양면의 강판 내부에 우레탄이나 EPS등의 발포재나 G/W등의 불연재를 삽입하여 단열성, 불연성을 높인 건자재 /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
주강품
강(Steel)의 주물로서 주철에비해 강인하다. 용강을 주형에 주입하여 만든것.주로 부품용으로 많이 사용.
주조 : Casting
금속가공법의 일종으로 금속을 용해해서 주형에 흘려넣고 굳은 후에 꺼내어 제품화 한다. 현재 주조 제품은 공장기계, 원동기, 펌프, 트랙터 등 근대산업에 이용되는 모든 기계의 부품이다. 단조에 비해 복잡한 형상인 것이나 대형인 것을 간단하고 빨리 만들 수 있고 가공비용도 저렴하지만 제품의 기계적 성질이나 신뢰성 면에서 다소 뒤떨어 진다. 주조에 이용되는 금속 중에 보통 주철은 주로 큐폴라에서 용해 되며 가단주철, 합금주철, 구상흑연주철 등은 전기로에서 용해된다.
주철 : Cast iron
주철은 강도는 다소 낮으나, 주조성이 좋고, 값이 싸며, 기계가공성이 좋아 널리 사용된다. 주철에는 주조시에 흑연이 석출하여 파단면이 회색인 회주철(灰鑄鐵; grey cast iron)과 흑연의 존재가 적은 백주철(白鑄鐵; white cast iron)이 있으며, 이 두가지의 중간에 속하는 반주철(斑鑄鐵; mottled cast iron)이 있다.
zinc calots
아연 배터리캔용 소재
아연 볼(zinc ball)
전기아연도 강판 제조시 아연 도금용 소재.
아연괴
원석인 섬아연석을 부유선광(浮游選鑛)에 의해서 아연 함유량을 60 % 정도로 높인 다음 배소(焙燒)한다 (이를 소광(燒鑛)이라 함) 이것을 건식법 또는 습식법으로 제련하여 아연괴를 생산함
아연도 철선
보통 철선에 아연 도금한 철선 [KSD 3552 #8~#22]
아연도 C-형강
아연도금 강판을 소재로 C자 형태로 압연한 강재
아연도금 경강선
경강선재를 상온에서 신선한 후 부식 방지를 위해 아연 도금한 선재 / 와이어로프의 소재
아연도금강관(비닐하우스용)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 전기용접 강관에 아연 도금한 강관 / 농원이나 비닐 하우스 골재용 강관
아연도금강관(수도용)
내식성을 높이기 위해 전기용접 강관에 아연 도금한 강관 / 수도 배관용
아연말
아연괴를 200℃ 이상 가열하면 연성, 전성이 취약해지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아연 분말
아연선
고순도의 아연지금을 사용하여 제조. 아연,알루미늄 증착 필름콘덴서의 용사용재료,철골구조물의 방식용 용사용재료.
아연판
아연괴를 100℃ 이상으로 가열, 전성(展性) ·연성(延性)이 풍부하도록 하여 판재로 가공
아연합금
이온화 경향이 철보다 높은 점을 이용 합금을 통해 화학적 내성을 높임 / 다이캐스트합금, 베어링합금, 놋쇠, 양은 등은 아연 합금 재료
알루미늄 복합패널
알루미늄판을 소재로 불소수지 도장 후 심재로 폴리에틸렌폼이나 기타 단열재를 부착시켜 만든 패널
알루미늄도금강판
아연 대신 알루미늄을 도금한 강판. 도금방식은 아연도와 유사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고압유체 등의 수송용으로 사용되는 배관용 탄소강관
압연 : Rolling
압연가공은 두개의 회전하는 롤(roll)사이에 소재를 통과시켜 단면의 형상이 일정한 판재나 형재등을 성형하는 방법이다. 압연은 연속적인 단조작업으로 볼 수 있으며 생산단가가 저렴하게 든다. 롤몸체의 형상을 여러가지로 하여 소재가 통과하는 공간,즉 패스(pass)의 형상이 결정되어 원하는 형재를 성형할 수 있다. 보통 1회의 압하량은 재료와 동력의 관계로 크게 할 수 없으므로 한정된 양으로 여러번 패스를 지나게 한다. 압연도 단조와 마찬가지로 열간압연과 냉간압연이 있다
압연롤 : Rolling Roll
압연에서 압연소재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이 롤이다. 롤은 webbler, neck, body의 3부분으로 나뉜다. webbler는 구동계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롤을 회전시키는 부분이며 neck은 몸체를 지지 하는 부분으로 강도설계의 기준이 되는 곳이다. 몸체는 그 형태에 따라 소재에 원하는 형상을 주는 곳으로 패스가 형성되는 부분이다. 롤은 소재와 직접 접촉하여 마찰이 일어나므로 내마모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해야한다. 따라서 롤의 재질은 냉강주철이나 표면 경화 처리를 한 탄소강 등이 주로 쓰인다.
압출 : Extrusion
금속재료를 힘을 가하여 다이구멍을 통과시켜 원하는 단면을 갖는 부품을 만드는 공정. 열간압출과 냉간압출이 있다. 소량생산일 때는 압연보다 경제적이다. 압출을 위해서는 먼저 형상을 결정할 다이와 소재를 밀어주는 가압판(plunger), 그리고 소재가 다른 방향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밀폐시켜주는 용기(container)가 필요하다. 인발보다 설비에 비용이 많이 든다. 압출은 주로 열간작업을 한다. 강종류의 재료는 거의 압출이 가능하지만 주로 비철금속이나 고합금강 등 고가의 재료가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앵커볼트
철구조물이나 기타 구조물의 고정용으로 고정할 곳을 미리 타공 후 앵커를 심고 고정
어닐링 : Annealing
철 또는 강의 조직을 연화시키기위해 제어된 온도에서 가열한후 다시 냉각시키는 것을 말한다. 박스어닐링에서는 산화를 최소화하기위해 금속용기, 포장재를 사용한다. 변태점 주변 온도까지 서서히 가열한후 서서히 냉각시킨다.
어닐링(철)선
보통 철선을 어닐링 온도에서 아연도금한 제품 [KS D 3552] / 포장용으로 사용
에폭시 피복철근
철근 외부에 에폭시 코팅 처리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 철근.구조물의 수명이 오랫동안 지속 (KSD 3629)
에폭시피복강관
비중 1.230~1.189, 굽힘강도 ·굳기등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를 표면에 피복한 강관으로 내약품성이 강함
연강선(재)
보통선재와 특수선재중 저탄소 선재에 속함.철선,전신선 및 아연도꼬임선 등의 소재로 사용(KSD 3554)
연성 : Ductility
강재가 압연, 압출, 성형등 가공중 파열없이 변형될 수 있는 정도를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인장강도 테스트에서 파열되기전 연신 혹은 단면수축으로 측정된 장력으로 표시한다.
연속주조 : Continuous Casting
제강공정을 거친 쇳물(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하여 일정한 모양을 만들고 연속주조기를 통과하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나 블룸, 빌릿 등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반대로 전통적인 방식에서는 용강을 주형에 부어 인고트(강괴)를 만든후 다시 인고트를 가열후 반제품으로 압연했다.
연신율 : Elogation rate
지정된 점간의 길이와 축방향으로 하중을 주어 파열되었을때 늘어난 길이의 증가분 비율을 백분율로 표시한다. 예)2인치에서 25% 연신율
열연 아연도금 강판 (HGI)
열연강판을 냉간압연 공정없이 바로 아연도금한 강판
열연박판(HR)
반제품인 Slab를 두께 3mm 이하로 열간압연후 Sheet 및 Coil 타입으로 제조된 강판
열연후판(HR)
반제품인 슬래브(Slab)를 두께 6mm이상으로 열간압연 후 Sheet 타입으로 절단한 강판
열처리 : Heat Treatment
열처리란 금속의 내부조직을 변화시켜서 그 금속부품 또는 공구의 사용시 필요로 하는 기계적 성질을 얻기위해서 행하는 가열 및 냉각 과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Quenching(급랭), Normalizing(공랭), Annealing(서냉)등으로 나뉜다. 철강재료가 공업적으로 매우 널리 사용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열처리 효과가 크고, 열처리 방법에 따라서 여러 가지 다양한 성질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동일한 화학조성을 갖는 강재라 할지라도 annealing처리에 의해서 강재의 성질은 연해지고, quenching처리에 의해서 매우 단단해 진다.
와이어로프
경강선, 아연도금 강선을 꼬아 스트랜드를 만들고, 마봉강등의 심강 둘레를 몇 개의 Strand로 감아서 꼰 선재 [KS D 3514, 7010]
완전소둔 : Full Annealing
냉간가공이나 소입열처리 등으로 생긴 철강내부의 응력을 완전히 제거하기위해 오스테나이트조직 구간온도(약900~1000도)로 가열 하고 일정기간 고온상태를 유지한 후 서냉하여주는 열처리를 말한다.
용융아연도금강판 (GI)
미소둔강판을 냉간압연하고, 아연욕을 통과시켜 Hot Dipping 방식에 의해 표면을 도금한 강판
용접봉심선
피복아크용접봉심선용 선재를 신선한 후 절단기에서 교정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한 제품
원형봉강
반제품 빌릿을 봉강 압연기를 거쳐 원형 형태로 생산한 강재 의 원소재로 철판에 천공(타공) 작업한 가공품
유공판
흡음, 방음벽등
육각볼트
육각머리 형태를 이루고 몸체 일부에 나사산을 가공한 제품.
응력제거소둔 : Stress Relief Annealing
주조,단조,소입,냉간가공 및 용접등으로 생긴 잔류응력을 제거 하기 위해 500~600도의 저온으로 유지, 서냉하는 열처리를 말한다.
이중보온관(단열강관)
내.외관 사이에 보온.단열재를 삽입하여 현장배관작업 공정을 단순화하여 보온 및 공기단축,비용절감을 기한 강관제품
이형PC강선(봉)
피아노선재를 상온에서 신선한 후 고주파 열처리한 제품 / 콘크리트파일, 전선주 등에 사용
인장강도 : Tensile strength
응력을 가하여 시험편이 파괴될때까지의 취성을 측정하는 기계적시험으로 최대인장하중을 평행부의 원단면적으로 나누어 얻는 값으로 표시한다.
AISI(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
북미 철강생산자, 공급자, 수요가들의 비영리협회를 말한다. 주로 북미철강산업과 회원들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철강재 사용을 홍보하는 역활을 한다.
ASTM(American Standard of Testing and Materials)
제조업체, 수요가, 소비자 그리고 정부, 학회가 포럼을 열어 재료, 제품, 시스템, 서비스에 대한 표준안을 정하는 비영리단체.
E.C.A. Number
열처리모델을 분류하는 컴퓨터로 제어된 연속열처리 번호를 말한다.
ECCS
전기크롬도금강재
Eddy Current Test
표면의 결함- seam등- 검출을 위한 전자장 비파괴시험방법
Electrolytic Tin Coated Sheets (ETCS)
산이나 알칼리공정에의해 전기전해방법으로 주석을 도금한 냉연박판
I 형강
반제품인 빌릿이나 블룸을 소재로 I 자 형태로 압연한 강재
Off Gauge
강판두께가 지정된 두께와 허용치를 벗어난 것을
U-RIB(강상판)
장대교량,또는 높이가 제한된 교량등에 사용되는 강재이며 선박,토목,해양구조물, 건축관계등의 구조물재로 사용
열연강을 스케일(표면불순물)제거 후 산화방지를 위해 Oiling 처리한 강판
산세공정 : Pickling line
열연강재를 염화수소 혹 황산용액에 침전시켜 산화철을 제거히는 공정을 말한다. 산세탱크는 180~190도 온도에서 5~6%의 황산을 보관한다. 산세공정의 목적은 도금공정전 준비작업으로 강재표면에서 산화물을 제거한다.
산화 : Oxidation
재료가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물을 만드는 현상. 열처리 가열공정에서 철이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면 산화철이 되고, 산화로 생긴 표면피막을 스케일이라 부른다.
상수도 이형관
주물용 선철에 강을 배합하여 만든 주철관 또는 구상흑연주철을 소재로 만든 배수관
석출경화 스텐레스강 : Precipitation hardening stainless steel
비철합금금속을 첨가하여 열처리공정을 거쳐 화합물을 석출(침탄)시켜 석출된 화합물이 조직을 경화 혹 강화시키는 스텐레스강.
선급협회
선주, 조선업자, 해상보험업자의 입장을 떠나서 공정한 제3자적 입장에서 독자적인 기술규칙에 따라 선박을 등록하고 선박의 설계, 건조에서부터 정비 및 운항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검사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선박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등록선박에 대한 자료를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업무로 하는 기술봉사기관이다. 홈페이지주소는 http://www.krs.co.kr 이다.
성형
강재를 일정한 파형으로 가공 / 롤성형, 프레스, 단조, 주조법 등이 있다.
소결 : Sintering
승온하여 광범위한 고상 확산에 의해 분말들을 응집시키는 과정. 철광석은 보통 30 ~ 70%의 철분(Fe)을 함유한 광석을 의미한다. 좋은 철광석이란 철분이 풍부하고 황(S), 인(P), 동(Cu)과 같은 유해성분이 적으며 크기가 일정한 것을 들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이상적인 철광석은 그리 흔하지 않고 원산지에 따라 품질, 성분, 형상이 각기 다르므로 그대로 고로에 투입할 수는 없다. 따라서 고로조업에 투입하기 전에 품질을 고르게 하고 철광석 가루를 일정한 크기로 만들어 내는데, 이를 소결공정이라 한다.
소성변형 : Plastic deformation
영구적인 변형. 예를 들어 휘어진 금속막대가 제자리로 돌아오지 않는다면 소성변형되었다고 한다
소형봉강 : Small bar
직경이 50mm이하인 환봉, 대변거리가 50mm이하인 각강, 폭 65mm이하인 평강을 총칭한다.
소형형강 : Small beam flange
폭이 50mm미만인 등변앵글, web높이가 50mm미만인 I형강, 양 flange의 합이 100mm미만인 부등변앵글등을 말한다.
수도용 도복장강관
상수도 배관용강관 / 내.외부면에 방청.방식을 위해 도복.도장한 강관
스카핑 : Scarfing
압연전 강재의 표면에 있는 결함을 없애기 위해 껍질을 벗기는것이다. 강괴, 강편의 표면스카핑은 토치스카핑, 핫스카핑, 파우더스카핑이 있다..
스테인레스 각봉(사각,육각)
스테인레스 반제품을 사각, 육각 형태로 봉강 압연한 강재
스테인레스 강
강에 크롬및 니켈크롬이 함유되어 표면에 산화크롬 피막을 형성함 / 표면이 아름답고, 내식성, 내산화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가공성, 용접성 양호 / 화학, 식품, 건축, 원자력 공업, 우주 산업등 폭넓게 사용됨
스테인레스 강관
스테인레스강 소재 강관
스테인레스 강선
스테인레스 소재로 제조한 강선
스테인레스 선재
스테인레스강을 선재 냉간 압연한 강재 / 와이어로프 소재
스테인레스 앵글
스테인레스강을 소재로 ㄱ자 형태로 압연한 강재
스테인레스 에칭판
스테인레스강판 표면에 얇게 에칭처리를 하여 무늬형상을 표면에 나타내도록 한 강판
스테인레스 와이어로프
스테인레스강을 소재로 한 와이어로프 (도금, 비도금, 헤라크레스, 승강기용)
스테인레스 Spring용
13크롬강이나 석출 경화형 스테인레스강을 열처리하여 스프링 성능 부여 [KS D 3535]
스텐레스강 : Stainless steel
크롬을 일반적으로 10%이상 함유하는 내식성강을 일컫는다. AISI는 크롬을 5%이상 함유하는 강을 스텐레스로 정의한다.
스틸 하우스
경량철골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기둥없이 철골 구조만으로 건축물의 형태를 완성, 두께 1mm 정도의 도금강판을 목재 형태의 ㄷ자형(스터디)으로 만들어 조립하는 건축물 / 내진성, 내구성, 단열성이 우수
스파이럴강관
광폭강대를 나선형으로 말아 테두리를 용접한 대구경관 / 제품의 강도가 커 강관틀, 강관말뚝, 구조용관으로 사용
스팽글 : Spangle
냉연강판의 아연도금공정에서 아연욕조에 Sb(안티몬)을 첨가하여 아연이 강판표면에 자연적으로 응고되어 나타나는 후처리.
스프링
경강선을 코일상으로 감아서 그 탄성이나 강인성을 이용한 제품
슬리팅
코일 형태의 철판을 폭방향 길이를 절단. 조정하는 작업 / 양면 절단 방식
신철업체 : Rerolled steel mill
규격외품을 원료로 재압연하여 형강등을 생산하는 제조업체
써포트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용의 지지대.
C-형강
반제품인 빌릿이나 블룸을 소재로 C 자 형태로 압연한 강재/ 건축용 구조물로 사용
SA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AE철강표준규격을 정하는 일을 한다.
Single Reduced
석도강판공정중 조질압연(temper rolling, skin pass)을 말한다. 실제 두께를 줄이지는 않고, 표면상태및 기계적성질(인성, 강도)을 조정한다. 주석도금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거치는 공정이다.
Slitter
스트립을 고객이 요구하는 정해진 폭으로 깅이로 절단하는것.
STS 작은나사
STS을 소재로 가공한 나사
STS리벳트
스테인레스 소재의 리벳트
STS볼트
스테인레스 선재를 소재로 볼트 가공한 제품 [STS 410 -자성을 띰]
방음벽
방음, 흡음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기능성 벽판 / 유공판을 소재로 제조
방화문
칼라강판, 스테인레스 강판등을 소재로 양면 철판의 내부에 심재(하니컴, 발포폼)를 넣어서 만든 문
배관용 탄소강관
저압력의 유체 및 가스, 공기 등의 일반적인 배관에 사용되는 강관
법랑
극저탄소강판이나 스테인레스 강판에 유리질의 유약을 도포하고 830도 이상의 온도에서 소성 융착한 강판 / 유약의 규산분을 많게 해서 내산성을 개량하여 내산 법랑이라고도 함 / 내식성, 내마모성 우수
베어링강
로울러 베어링의 강구, 로울러, 내외륜에 쓰이는 합금강 / 고속으로 변동하는 반복 하중을 극복해야 함으로 높은 피로강도와 내마멸성이 요구됨, 고탄소 저크롬강이 대표적인 강재
보일러 및 열교환기용 탄소강관
관의 내.외부에서 열교환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탄소강관 / 보일러 소관, 가열기관, 공기예열기관, 촉매관, 가열로관 등의 소재
보일러 및 열교환기용 합금강관
열교환을 목적으로 내열성이 강한 합금강을 소재로 만든 강관 / 보일러수관, 연관, 과열관, 공기예열관, 석유화학 공업의 열교환기관, 콘덴서관, 촉매관 등으로 사용
보통 철근
빌릿을 철근 압연기를 통과시켜 표면에 일정한 크기의 돌기와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마디를 갖게한 선재
불룸 : Bloom
정방형 철강반제품으로 최대 횡단면적보다 길이가 크다. 크기는 10'x10'보다 크다.
브라인드 리베트
알루미늄 소재로 접착면에 드릴로 천공 후 리벳건으로 압착시켜 접합 작업 수행
브리키 : Tin plate
순수일본어로 석도강판을 가리킴
비드와이어(tire bead wire)
경강선재 HSWR 72A 0.69~0.76%를 소재로 열처리(patenting)후 Cu-Sn을 도금한 강선 / 자동차, 자전거, 타이어 보강재로 사용
빌렛 : Billet
정방형 철강반제품으로 최대 횡단면적보다 길이가 크다. 크기는 2'x2' 에서 10' x 10'까지 있다.
Back End
1.생산라인의 입구끝부분. 2. 생산된 코일의 바깥부분 혹 사용코일의 안쪽부분
Backoff
품질결함때문에 코일끝부분을 절단하는것, 절단무게는 생산량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Band
철강스트랩으로 유명한 시그노드밴드로 알려진철강코일로 1-1/2인치폭으며, 생산라인에서 코일운반에 사용한다.
Base Box
주석도금강재(석도강판, 전해질석도강판, 석도원판)가 112장인 부피단위 즉 14x20 인치 혹 31,360 sq 인치이며, 일반 두께대신에 사용되는 거래호칭이다.
Base Weight
석도공장 사용용어, 두께를 0.00011로 나눈수치 혹 석도강판 한 베이스박스의 파운드무게를 말한다. 재고 표시는십진법 두께대신 기준무게를 사용한다.
Basic Oxygen Furnace
용선 혹 용강을 철로 정련하는 로. 가열로에 산소를 불어넣어 활발한 화학반응을 생성시켜 금속을 정련하는 것을 말한다.
Batch Anneal
4개의 큰코일이 높이로 고정되어 장시간 열처리에 투입되는것. 열처리중 냉연박판의 입자가 재결정되어 유연한 상태로 됨. 재결정과정의 제어로 fine grain조직을 쉽게 만들든가, 압연재의 방향성을 최소화하여 캔같은 원통 성형의 가공도를 높인다.
Black Iron
도금하지 않은 철강재를 말한다.
Black Plate
1.도금되지 않은 철강재 - 주로 탄뎀라인(냉간압연공정)에서 나온 철강재, 그리고 석도강판에서 도금되지 않은 원판을 말한다. 2. 128파운드(0.0141인치)이하의 석도강판을 말하며, 다른 금속으로 도금 안 되었을때의 수치이다. 3. 도금하지 않고 사용하는 저탄소냉연강재 혹 주석, 크롬도금한 저탄소냉연강재를 말한다.
Blast Furnace
석회, 철광석, 코크스가 고압, 고온송풍(120,000 psi)과 반응을 일으켜 철광석을 용해하는 용광로를 말한다. 고로는 선철을 생산한다.
Bloom
합성물이 강재표면으로 이동하여 발생하는 도금결함, 주로 왁스나 윤활유가 표면으로 올라와서 흐릿하게 보이도록 만든다.
Bonderizing
페인트접착력을 높이기위해 냉연강재 혹 아연도금강재를 인산염피막처리하는것.
Box Annealing
산화를 최소화하기위하여 밀폐된 용기에서 합금 열처리공정을 말한다. 보통 변태점아래까지 서서히 가열한후, 서냉시킨다.
Build Up Coil
2개이상의 코일을 하나로 붙여 선적하기 편하게 하는것.
Burr
코일절단가공시 생기는 코일끝 날카로운 부분
Bust Coil
The BUST (build up side trimmer) 코일은 사이즈불량, 품질결함이 있는 코일이다.
By Coil
coil이나 cut plate형태로 판매되는 철강재의 거래용어
마대강
열간압연한 강대를 상온에서 냉간압연한제품. 폭600mm미만.인발가공에 적합.(포장용 밴드등에사용)
마르텐사이트 : Martensite
소입(燒入)한 강(鋼)속에서 볼 수 잇는 침상(針狀)의 아주 굳은 조직. 오스테나이트의 변태생성물중 가장 굳다.
마봉강
탄소강,합금강,쾌삭강등의 정련한 빌릿을 원형으로 압연생산하여 자동차 부품용 등으로 사용
맨드릴 : Mandrel
코일을 감는 설비, 미끄럼을 방지하기위해 코일내경을 잡아주며, 4단계로 내경의 확대축소조정이 가능하다.
맨홀뚜껑
상.하수도용
머찬트바 : Merchant Bar
규격외 봉강제품이나 3인치이하 소형형강 특히 철근 20-30mm를 말한다.
무계목 강관
이음매가 없는 강관, 봉강을 가열하여 만네스만식이나 에어헐트식 천공기로 구멍을 뚫어 두껍고 짧은 중공소재를 압연, 인발한 강관
무늬강판
열연강판에 Check 무늬 처리한 강판
미쉬메탈 : Mischmetal
철과 철이 아닌 원소를 합쳐 합금화를 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탈산제, 접종제, 흑연구상화제용으로 사용됩니다. 접종제나 흑연구상화제용은 철강에 카본성분이 바늘처럼 침상형으로 있어서 가공성을 저해하는데, 흑연을 구상화 시켜 가공성이나 강도를 높이는데 사용하는 것입니다.
Material Safety Data Sheets (MSDS)
강재들의 사용에 대한 안전유의사항들이 표기된 서류를 말한다.
Matte Surface
주석도금강판의 표면이 Reflowed Surface에 대비하여 광택이 없는 것을 말한다.
Medium Carbon Grade
철강재에서 탄소함유량이 .08~.20%의 범위에 있는것을 말한다.
Mill Speed Line
Speed를 말한다.
Minimill Steel Producer
전기로를 사용하여 쇳물을 녹여 제품을 생산한다.
라인파이프 : Line pipe
유전, 가스생산지역에서 기름이나 가스의 운반을 위한 파이프라인의 역할을 한다.
레일
빌릿을 소재로 Universal Beam Mill 압연기에서 압연한 강재
Lead Time
계약후 고객주문을 생산, 선적하기위해 걸리는 시간
Light Gauge
철강재 두께가 고객이 요구한 최소두께허용치보다 얇은 것을 말한다.
Line Speed
코일이 공정시작부터 끝까지 가공되는 속도를 말한다.
Lot No.
특정고객이 주문한 코일이 그룹별로 어느시기에 가공된 것임을 확인하는 번호
Low Carbon Grade
탄소함유량이 .08%미만인 강재를 말한다.
Reflow
코일표면에 주석을 융착응고시켜, 밝고 반짝이는 표면을 만드는 도금공정
Rigidity
강재의 강도
ㄷ-형강
빌릿이나 블룸을 소재로 ㄷ자 모양으로 압연한 강재 / 주로 건축 구조물로 사용
다층피복강판(APM)
GI를 소재로 합성수지를 접착한 후 아스팔트, 컴파운드, PE필름을 부착한 강판 / 내식성, 내화학성 우수
단강품
강괴나 빌릿을 소재로 프레스,또는 해머로 두들겨서 만든강. 강도면에서 우수하여 강도를 요하는 제품에 사용.차륜,차축,압연기 등에 사용
단면감소율 : Reduction of area
파단된 인장시편에서 단면적의 변화를 원래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퍼센트로 나타낸 것.
단압메이커
제철, 제강설비업체가 아니고, 고로나 전로업체에서 반제품을 받아 가열, 압연하여 철근, 형강, 선재를 제조하는 업체
단열강판
강판에 스폰지나 단열재등 수지류를 부착한 기능성 강판
단조 : Forging
금속을 가열한 상태에서 해머로 치거나 프레스로 눌러 원하는 형상으로 만드는 공정.
담금질경화 : Quench hardening
합금원소를 변태폭이내,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고, 급랭하여 경화시키는 공정을 발한다. 오스테나이트를 마르텐사이트로 변화시킨다.
대구경강관 : Large diameter pipe
외경 400mm 이상의 강관, 주로 스파이럴강관, 롤벤딩강관이 대구경이다.
대형봉강 : Large diameter bar
단면직경이 100mm이상의 환봉, 대변길이 100mm 이상의 각강, 폭 130mm 이상의 평강을 총칭한다.
대형형강 : Large diameter beam
flange의 폭 100mm이상, web 높이 100mm이상, 양 flange폭의 합이 200mm이상의 형강을 총칭한다.
드릴파이프
유정, 가스개발을 위한 강관으로 유정 시추시 아래 끝에 부착된 드릴을 회전시키거나, 굴착때 생기는 불순물의 운반에 사용된다.
디프 드로잉 : Deep drawing
원형의 금속평판을 소성변형에 의해 컵의 형상으로 만드는 공정.
Damper Roll
철판 공정에서 장력을 조절하는데 사용하는 롤
DECK PLAT
GI을 소재로 일정한 파형으로 성형한 제품. 주로 건물의 바닥 구조물로 사용
Descaling
강재의 표면에서 가공중에 생긴 산화철을 없애는 작업. 스케일은 주로 철강재가 가열될때 철과 산소의 화합물로 발생한다. 디스케일링은 1)러핑롤로 스케일을 깨어서 물을 세게 분사하거나 2)소금, 젖은 모래등을 뿌리고 롤을 통과시키는 방법이 있다.
Double (Cold) Reduced (DR)
1.두번 냉간압연한 강재. 2. 강판은 두번째 압연후 어닐링을 거친다. DOUBLE-REDUCED 강재는 비교적 경도가 높고 연성이 적으며 높은 방향성 기계적성질을 가진다. 기준 로크웰경도는 76, 항복점은 80,000~90,000PSI, 인장강도는 90,000PSI이다.
Drawing Quality (DQ)
림드강을 deep drawing하거나 알루미늄킬드강을 extra deep drawing하여 생산되는 강판을 말한다. 특수한 압연공정으로 과도한 프레스, 인발 혹 성형등의 가공을 견디는 품질을 만든다.
나사이음철근
다이 25~30이상 시공시 사용. Coupling을 결속한 가공 철근
납땜 : Soldering
450℃ 이하의 매우 낮은 용융점을 가진 합금 또는 금속을 사이에 놓고 열을 가하여 접합시키는 방법 즉 모재를 용융하지 않고 접합하는 용접방법. 주로 연납(soft solders)으로 납, 주석 합금을 사용한다, 경납(hard solders)으로는 은, 구동, 니켈이나 이 합금들을 800도(화씨)이상의 용융점에서 사용한다. 경납은 일반적으로 brazing이라 구분하여 부른다.
내열강
고온에서 산화나 침식등을 방지하고 강도유지를 위해 크롬, 니켈, 몰리브덴, 텅스텐, 코발트, 망간, 규소등의 합금 원소를 첨가한 특수강 / 합금원소의 총량이 50%를 넘는 경우 초내열 합금, 초합금이라 부름
냉간가공 : Cold Work
금속 결정구조의 변화 그리고 기계적 결합을 일으킬 정도및 온도에서 강도와 경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성형을 말한다. 즉 냉간압연, 냉간인발, 냉간압출, 냉간단조등이 있다.
냉간가공 : Cold working
금속 결정구조의 변화 그리고 기계적 결합을 일으킬 정도및 온도에서 강도와 경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성형을 말한다. 즉 냉간압연, 냉간인발, 냉간압출, 냉간단조등이 있다.
냉간압조용 탄소강
0.53%이하의 탄소를 함유한 탄소강/ 냉간압조용 탄소강선의 소재/ 탈산 방법에 의해 림드강, 킬드강, 알킬드강으로 구분
냉간압조용 탄소강선 (CHQ강선)
특수강 냉간압조용 선재를 냉간 드로잉 및 신선등의 냉간가공이나 열처리를 한 제품 / 체결부품(볼트, 너트, 나사) 및 자동차, 전기기기용 소재
냉간압출 : Cold extrusion
냉간압출로 가공된 제품은 치수차와 표면이 양호한 완성제품으로서의 특징을 갖는다. 강재뿐만 아니라 일반 비철금속의 압출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 때는 다이의 윤활과 마모에 유의해야 하므로 die steel, 고속도강, 초경합금 등에 사용한다
냉연 강판
열연강판을 냉간압연한 강판으로 표면처리강판의 소재로 사용되거나, 자동차,건자재,가전용으로 사용됨
노말라이징 : Normalizing
노말라이징은 열간가공, 냉간가공, 불균일열처리후 철강재를 다시 열처리전의 성질로 회복시키거나, 전열처리의 영향을 제거하기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인 노말라이징의 열처리범위는 1500~1800(화씨)도이다. 다른 목적으로는 응력의 풀림 혹 결정입자를 미세화하여 입자및 조직, 기계적성질을 균질하게하고, 중탄소강의 경우 기계가공성을 좋게하는 것이다.
니켈도금강판
석도강판 대체용, 고가의 주석 대신 니켈을 도금한 강판
ㄱ-형강 : Angle
빌릿이나 블룸을 소재로 ㄱ자 모양으로 압연한 강재
가단주철 : Malleable Cast Iron
백선철(白銑鐵)을 열처리해서 가단성(可鍛性)을 부여한 것이며, 파단면의 상태에 따라 백심가단주철(白心可鍛鑄鐵)과 흑심가단주철(黑心可鍛鑄鐵)로 나눈다.가단주철은 인장강도와 연율이 연강에 근사하고 주철의 주조성을 갖고 있어 주조가 용이하므로 자동차 부품, 관이음 등에 많이 사용된다.
가드레일
자동차 주행시 도로 일탈 방지나 보행자 침입 방지등을 목적으로 도로에 설치한 구조물 / 열연강판을 전기아연 도금한 열연도금강판을 소재로 사용
가드로프 : Guard Rope
가드케이블, 도로에 설치된 방어용 아연도금 와이어로프를 말한다
가삭성 : Machinability
재료의 절삭성 정도를 말한다. 열처리를 하거나 화학성분 즉 납, 유황을 첨가하는 방법이 있다. 납을 넣은 12L14-괘삭강이 대표적인 강종으로 절삭성이 좋아 기계부품 가공에 많이 사용된다.
가스관 : Gas Pipe
hoop를 용접하여 만든다. 주로 압력이 낮은 배관용 - 가스, 물, 증기 또는 기계, 건축용도로 사용한다. 국내에서는 KSD3507 SPP로 배관용탄소강관으로 규정함.
가이드마크 : Guide Mark
scratch의 일종, 압연중 가이드에서 발생하며, 압연방향으로 힘줄처럼 단속적으로 생긴다
가탄제 : Recarburizer
정련작업에서 탄소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들로 전극스크랩, 코크스, 무연탄, 선철등을 사용하여 만든다.
각강 : Square Bar
봉강의 형태중 환봉이 아닌 단면이 정방형인것을 말한다.
각종너트
볼트체결용 부품
각형강관(각관) : Square Tube
토목, 건축 및 기타용도의 구조용으로 사용하고, 형태에 따라 정사각형, 직사각형 강관으로 분류한다. 크레인, 철조구조물, 광고탑 등에 사용된다. 직경 200mm x 200mm 이하 사이즈를 중소경각관, 그이상을 칼럼(column)이라 부른다.
갈바륨
알루미늄55%, 아연43.5%, Sn1.6%의 조성비로 도금된 강판. 특수무늬(Spangle)을 띤다 갈바륨강판 : GALVALUME Aluminum Zinc Alloy Coated Steel Sheet
갈바아닐강판(GA)
용융합금도금강판. Zn-Fe을 45g/m2 비율로 도금한 강판 / 도장성 우수, 도장 후 내식성, 용접성이 우수
갈바크린강판
갈바륨 강판에 클리어 처리를 한 강판.
강 : Steel
제철공정에서 생산된 선철을 고철, 플럭스와 함께 제강로에 넣고 가열하여 용해시킵니다. 이때 열을 내는 방법에 따라 전기로, 전로, 고로 등으로 나뉩니다. 여기서 강철이 만들어 지고 강철에 포함되어 있는 탄소의 양에 따라 무쇠, 탄소강, 주철로 나뉩니다. 또 탄소이외에 규소나 망간 등을 넣은것을 특수강이라고 합니다.
강관말뚝(강관파일)
토목, 건축의 기초 구조물로 사용 / 강대, 강관을 전기 저항 용접 또는 아크 용접하여 제조
강관비계
건축용 지지물 및 구조물
강널말뚝(시트파일)
대구경강관을 본체로 좌우에 이음매부를 용접해 붙임 [KS F 4605]
강제 전선관
전기 배선에서 전선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강관 / 수장하기 위해 방청성 부여
경강선
경강선재를 열처리 후 산세, 수세, 디스케일링한 후 상온에서 신선한 제품 / 와이어로프,스프링의 소재
경도 : Hardness
어떤 일정한 ball을 사용하여 일정한 하중으로 재료의 표면을 압입 할 때 나타나는 국부적인 저항이라고 정의 할수 있다. 따라서 탄성적 및 소성적저항이 그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게 된다. 측정방법에는 크게 ⅰ) 압입경도측정(indentation hardnesstestⅱ) 긋기경도 측정(scracth hardness test), ⅲ)반발경도측정(rebound hardness test)을 들수 있다.
경량 C-형강
박판을 소재로 하여 두께가 얇고 스케일 부착량이 적은 C형강 / 조립식 건물의 구조물로 사용
경량 H형강
박판을 소재로 하여 두께가 얇고 스케일 부착량이 적은 H형강 / 조립식 건물의 구조물로 사용
경레일
1m당 중량이 22Kg 이하인 레일 [KS B 8101]
경화 : Hardening
시효, 열처리방법으로 경도를 높이는 것을 말한다.
고망간강(헤드필드강)
C 0.9~1.3%, Mn 11~14%, Si 0.2~0.6%, P 0.02~0.07%인 강, 수인 공정을 거쳐 강인성이 풍부, 열전도성이 작고 열팽창 크다 / 내마모성, 내충격성 우수 / 레일 크로싱, 광산용 기계, 토목 기계 부품 소재
고속도강 : High speed steel
고속도강은 1900년경에 Taylor와 White에 의하여 개발되었으며, 그 당시에는 고온경도가 커서 고속절삭에 적합한 공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나, 보다 고온경도가 큰 공구재료가 사용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는 맞지 않는 명이 되었다. 현재에도 각종 절삭공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충격을 받는 단속절삭(斷續切削)에 사용되는 공구에 많이 사용된다.
고속도공구강
고탄소강에 크롬, 몰리브덴, 텅스텐, 바나듐, 코발트등의 합금원소를 다량으로 첨가하여 고온에 잘 견디게 제조된 공구강 / 절삭공구, 금형등에 사용됨
고압용 탄소강관
공업용 배관등 고압 유체 수송용 탄소강관
고장력 철근
미량의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인장 강도를 높인 특수강 철근
고장력강
일반구조용 강재보다 인장강도가 뛰어나고 용접성, 노치인성, 가공성, 내식성이 우수한 특수강재 / 저탄소강에 미량의 구리, 크롬, 니켈, 몰리브덴 등을 첨가하여 제조 / 건축재, 교량, 철탑, 팬스톡, 차량등에 이용
고장력볼트(하이텐션볼트)
특수강 선재를 소재로 인장 강도를 높인 볼트 / 기계부품용 소재
고철
불량 철강 생산물이나 사용 용도 불량인 용해 원료 / 등급에 따라 생철, 중량고철, 경량고철, 가공고철, 선반설로 분류됨
구상흑연주철
흑연의 형이 구상으로 되어 있는 주철. 탈류한 욕탕에 마그네슘이나 셀륨등의 합금을 첨가하여 얻음 / 기계적 성질이 강인하다 [KS D 4302] / 덕타일주철, 노듈러주철, SG주철, 연성주철이라고도 함
구조용 합금강
저탄소강에 1종 이상의 합금원소를 첨가한 합금강 / 일반 구조물에 사용하는 고장력강과 저온 압력 용기에 사용하는 저온용강으로 구분
규소강(전기강)
보통 강재보다 규소 함유율(1~5%)이 높고 전기적 특성이 우수 / 모터, 변압기등 전기 기기의 철심으로 이용
균열로 : Hoaking pit
제강공장에서 보내져 오는 강괴를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능률적이며 경제적으로 강괴의 내.외 온도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가열로(爐).
금속표면처리
사용 목적에 따라 금속의 표면에 표면청정, 연마, 숏피닝, 표면피복, 도금, 착색 도장등 변성 작업을 행함을 말함
급랭경화 : Quenching hardening
담금질, 고온에서 급냉시켜 조직이 경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기계구조용 탄소강
고급탄소강의 일종으로 특수강에 포함. 단조, 절삭, 열처리등의 후가공을 거쳐 기계구조용으로 사용 / 평균 탄소량을 나타내는 숫자를 S와 C 사이에 써 SM재라고 부름 [KS D 3752]
기계구조용 탄소강관
기계, 자동차등의 기계 부품용으로 사용되는 탄소강관
Galvaneal Coating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코팅으로 표면이 광택없는, no spangle상태로 피복코팅에 적당하다.
Grit
1.샌드블라스팅및 그라인딩을 거친 압연표면의 질감을 말한다. 번호가 적을수록 grit는 높아지고, 표면은 거칠다. 혹은 강재표면 상태를 말한다. 2.grit finish를 생산하기위해 압연롤에 부치는 쇼트블라스트의 크기.
역 저지 밸브/CHECK VALVE
유압이 한쪽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역할
정전등으로 전원이 차단되었을때 카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기계진동의 기초
진동의 기초
기계 설비류의 상태 감시와 관리는 기계가 발명되는 시점부터 시작된 것이며 산업 기술력의 진보와 더불어 감시 방식과 분석, 조치 등의 관리 방식 역시 발전되어 왔다. 기계라는 분야의 특성상 설비 설계, 용량, 성능, 구성 부분 그리고 제어 등과 같은 부문에서 보면 타 분야의 발전 속도에 비하여 다소 첨단 기술의 적용과 응용이 어려운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나 이는 회전체 역학의 입장에서 보면 현상의 복잡 다단함과 이론적 접근을 제한하고 있는 복합적 비선형성과 연성화에 의한 것, 그로 인한 모델링의 제한과 시뮬레이션의 한계 등이 아직도 동 분야가 많은 부문에서 시작단계에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현재 국내의 경우 동 관련 분야의 학문적 전공자 및 산업체 전문 종사자의 수는 많으나 이를 병행하여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전문가 수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는 곧 동 분야 산업 인력에 대한 체계적 교육이 진행 가능한 전문가 집단의 부족을 의미하고 이로 인해 현장에서 실무를 수행하고 있는 담당자들과 업무 진행 시의 경험에 의거해 볼 때 대다수의 인원들이 이 분야에 대한 물리적 이해의 부족과 극히 제한적인 지적 능력을 보유한 채 실무를 진행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간접 지식 전달이 가능한 산업 인력을 위한 관련 참고 서적 역시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개요
진동에 대한 관심은 인간이 기계를 발명하고 나서부터 시작 되었다. 대상 기계의 상태 변화나 열화 등의 문제 발생시 대개의 경우 이는 곧 진동의 변화로 나타나게 되며 따라서 우리가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정보(information)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진동이라 함은 어느 기준점을 중심으로 반복되는 동적인 움직임을 말한다. 이는 대부분의 기계류에 있어서 원래부터 의도한 움직임 이외의 원치 않는 효과로 인식되며 이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여러 기계고장 등에 대한 대책등에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 따라서 진동 정보를 잘 이용 시 기계의 건강상태 뿐만 아니라 고장의 진단 등의 범위까지 효과적으로 유용가능 하므로 공장의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안전 관리면에서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진동분야는 대상 시스템의 성격, 구성에 따라 크게 구조물 진동 분야와 회전체 진동 분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원리등에 따라 그 진동 특성들이 상이하므로 관련 용어, 이용 데이터, 그리고 접근 방식등에서 차이를 보이게 된다. 여기에서는 회전체 진동분야에 대해서만 접근하여 보기로 한다. 내용을 다룸에 있어서 일반 교과서와 같은 기본 자연법칙에 근거하여 유도된 수식 등을 이용한 접근방식을 지양하고, 실제로 산업 현장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개념과 용어 등을 근간으로 하여 회전체 진동의 실체 이해에 접근하고자 한다.
회전체 진동
회전체 진동은 일반 구조물의 진동과는 달리 관심의 대상이 되는 시스템 자체가 돌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주변 구성요소에 의한 것과는 별도로 자체적으로 진동의 발생 원인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이한 점이라 하겠다. 즉 회전하는 축(rotor)에서 보면 회전 축 자체의 기하학적 중심점과 실제 무게 중심점 과의 불일치에 따라 기본적인 진동의 원인이 상존하며 이로 인한 기본 진동을 “불평형(unbalance)”라 한다.
회전체 진동 감시의 목적
산업체에서 회전 기계류의 역할이라 함은 기본적으로 대상 플랜트에 동력을 제공하고 공정간의 진행 및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원으로서의 주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주된 기본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회전기계류를 관리한다는 것은 곧 대상플랜트에서의 안전성 관리,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 생산 가동률의 향상이라는 측면이 부각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는 여러 장비나 기법을 통한 관리방식을 구축함으로서 새로운 기술의 습득이라는 면도 하나의 감시 목적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