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 책봉이 강행되자 팔순의 나이에도 파이터 기질이 여전한 서인의 영수 송시열이 원자 책봉은 아직 이르다며 정면으로 반대하는 소를 올렸습니다.
그동안의 방식대로 이번에도 숙종의 대응은 성급하다는 느낌을 줄 정도로 신속하고 단호했습니다.
숙종은 이미 명호가 정해졌는데도 이를 재론하는 것은 다른뜻이 있어서일 것이라며 송시열을 삭탈관직하고 문외 출송할 것을 명했습니다.
이어서 송시열의 토벌을 청하지 않았다하여 도승지 이하 네 승지와 대간들을 파직한 후 삼정승에 권대운, 목래선, 김덕원을 임명한 것을 시작으로 조정을 남인으로 완전히 물갈이를 해버렸습니다.
그리고 새로 임명된 대간들의 청을 받아 송시열을 제주에 안치한 후 대부분의 서인을 파직하고 유배보냈습니다.
이와 같이 기사년에 느닷없이 정치적 국면이 확 바뀌니 이것이 기사환국입니다.
경신환국때 그랬던 것처럼 모든 것이 뒤집혀버렸습니다.
서인 집권 시절에 있었던 사건들을 재조사하여 관련자들을 잡아들이고, 전에 김석주와 공작정치를 일삼던 김익훈이 일흔의 나이에 형신을ㅈ 받다가 죽었으며, 김환, 이희 등이 참형에 처해졌습니다.
이처럼 기사환국은 지난 번 경신환국과 닮아 있었지만, 경신환국이 숙종 묵인 아래 김석주가 각본과 연출을 한것 이라면, 기사환국은 숙종이 사랑하는 여인을 위해 각본과 연출을 직접 담당하였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하겠습니다.
돌아온 남인의 핵심 표적은 서인의 우두머리 송시열과 김수항이었습니다. - 저들의 죄는 찰대로 차서 김안로나 정인홍을 넘어서옵니다.
먼저 송시열이 가장 아끼던 김수항이 특별한 죄명도 없이 사사되었습니다.
숙청의 분위기가 고조되던 즈음 숙종은 느닷없이 이런 말 을 꺼냈습니다. -중전이 "꿈에 선왕께서 말하기를, 장희빈은 본디 복이 없어 아들도 없고, 궁 안에 두게 되면 남인과 결합해 나라에 해가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원자가 탄생하지 않았느냐. 중전의 투기가 선왕 까지 들먹일 정도로 극에 달했으니, 더 두고 볼수가 없다.
아무리 장희빈 덕분에 환국되어 정권을 잡은 남인이지만, 결정적 하자도 없는 한 나라의 국모를 폐하자고 하는 일에 선뜻 동조를 할 수는 없었습니다.(동조했다가 일이 잘못 되어 멸문지화를 입은 연산군 시대의 일이 떠올랐을 것 입니다)
🚩<조선왕조실록(101)> 숙종 7 - 장희빈(4)
숙종이 폐비의 뜻을 거두려하지 않자, 86명의 대신, 대간이 폐비 반대 상소를 올렸습니다.
대노한 숙종은 이들의 상소가 모반대역보다 더하다면서 국청을 설치하고 친국을 시작하였습니다.
숙종은 이들이 임금을 배반하고 부인을 위해 절의를 세우려한다며 고문을 가하였고, 박태보 등이 모진 고문 에도 의연히 대처하자 이들에게 압슬을 가하는 등 이해 하기 어려울 정도의 고통을 주었습니다. 결국 박태보, 오두인이 대표로 고문을 받고 모두 숨을 거두고 말았습니다.
숙종의 이러한 행위는 미치지 않고서는 할수 없는 것 이겠지만, 사실은 모두 숙종의 의도된 과잉행위였습니다. (“이래도 반대할래?”)
더 이상 반대가 없자 드디어 숙종은 1689년(숙종 15년) 인현왕후를 폐서인하여 친정으로 쫒아내고 장희빈을 새 중전으로 책봉하였습니다. 한 나라의 국모가 특별한 잘못 도 없이(희빈을 투기했다는 죄목) 폐서인되는 전대미문의 일이 너무나도 쉽게 일어난 것입니다.
곧이어 장희빈의 친정은 3대가 의정에 추증되어 부는 영의정, 조부는 우의정, 증조부는 좌의정의 직함을 받았고, 이듬해 원자는 왕세자로 책봉되었습니다. 장희빈과 그 가문의 영광이 정점에 오른 것입니다.
얻을 것을 모두 얻은 숙종은 이제 남인들이 원하는 것을 들어주리라 맘먹고, 송시열의 처분을 신하들에게 맡겼습니다.
더 이상 왈가불가할 일이 없었습니다. 남인들은 “송시열의 죄상이 흉역하나 나이가 80이 넘었으니 국문할 필요가 없나이다”라고 했고, 숙종은 “대신들의 말이 이와 같으니 사사하되 금부도사가 만나는 곳에서 즉시 죽게 하라”라는 명을 내렸습니다.
제주에 안치되어 있던 송시열은 어명에 의해 바다를 건너 상경하던 중 정읍에 이르러 금부도사를 만나 사약을 받고 숨을 거두었습니다. 이렇게 조선 후기의 거목이 특별한 죄목 없이 스러져 간 것입니다.
우암 송시열(1607-1689), 이 사람은 사림이 ‘송시열의 조선’이라 할 정도로 조선후기 정치계와 사상계를 호령 했던 인물이었습니다. 조광조와 더불어 조선을 유교의 나라로 만든 장본인이었던 그는 우리나라 학자중 ‘자(子)’ 자를 붙인 유일한 인물로 역사상 가장 방대한 문집인 일명 “송자대전(宋子大全)”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송시열은 죽어서도 서인, 특히 노론의 구심점이 되었습니다. 사관의 인물평은 송시열과의 관계를 최우선의 잣대로 삼았습니다.(“김 아무개는 평생을 송시열의 뜻에 따른 사람으로서~~~”)
숙종으로 하여금 위와 같은 거목 송시열마저 한방에 보내 버리게 할 정도로 숙종의 마음을 완전히 장악한 장희빈의 비기가 도대체 무엇이었을까요. 전하는 문헌은 안타깝게도 없습니다.
good~
환국이라...병신환국에 이어 정유환국이 오려나~~
이동훈 내가 정유생인디요.
김용범 그래서..내년 환갑. ㅎ
정유생들 모임 만들면
많겠네 ㅎㅎ
용배미 환갑땐 내 좋은술 한병들고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