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2월차 운영위원회 회의록 |
■ 일시 : 2014년 3월 1일(토) 3시 01분
■ 장소 : 한살림 노형매장
■ 진행 : 임미경 위원장
■ 특별논의 안건
1. 2014 전국녹색당 대의원 추첨
■ 보고 안건
1. 2013년 결산 및 재정현황
2. 2013년 사업일정 및 활동현황
■ 논의 안건
1. 2014년 지방선거(비례, 지역구)
2. 2014년 사업계획
3. 운영위원장 및 사무처장 인준
4. 기타안건
| 2014년 전국녹색당 대의원 추첨 |
특논 1 | |
|
추첨방식은 항아리에 당원들의 명단을 넣고 뽑기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당첨자 명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주녹색당 전국대의원 당첨자 명단]
여성36~49세(추첨자 임미경) 양은실(1순위) 홍희숙(2순위) 이선아(3순위)
여성1(추첨자 한알) 현성미(1순위) 강정희(2순위) 오주연(3순위)
여성2(추첨자 이길훈) 이은주(1순위) 임미경(2순위) 유길순(3순위)
남성36~49세(추첨자 임미경) 김용철(1순위) 신현철(2순위) 최성열(3순위)
남성1(추첨자 현성미) 이길훈(1순위) 손유정(2순위) 신영훈(3순위)
남성2(추첨자 임형묵) 김철석(1순위) 최진인(2순위)
| 2013년 결산 및 재정현황 |
보고 1 | |
|
2013년 수입/지출현황(2013. 1. 1~2013. 12. 31)
구분 | 항목 | 금액(원) |
수입 | 전년도이월금 | 876,726 |
당비수입 | 5,789,462 | |
특별당비 및 사업분담금 | 700,000 | |
특별당비(당사마련) | 1,488,000 | |
사업수익(감귤판매, 장터수입) | 2,834,131 | |
계 | 11,688,319 | |
지출 | 사업비 | 1,614,800 |
교통비 | 664,600 | |
통신비 | 754,660 | |
인건비 | 3,600,000 | |
기타(사무비, 수수료 등) | 17,020 | |
계 | 6,651,080 | |
잔액(차기이월금) | 5,037,239 |
| 2013년 사업일정 및 활동현황 |
보고 2 | |
|
2013/1/15 제녹당 2013년 1월차 운영위원회
1/17 제주도는 현실적인 농작물 피해 보상방안 마련하고, 농가피해 노루에 한하여 이주 및 생태관광자원화 방안을 모색하라.(제주녹색당 논평)
1/18 제주라디오mbc 노루 유해동물지정관련 인터뷰(조주은 위원장)
2/6 제녹당 그린파티, 대의원추첨 (서유당)
2/27 제주도의회는 지하수의 진정한 공공적 관리를 위해 한국공항의 먹는샘물 취수량 증량 동의안을 부결시켜라.(시민단체 공동성명)
3/2 제녹당 텃밭 월동배추 수확
3/6 노루 유해야생동물 지정에 따른 제주녹색당 의견서 제출(제주녹색당 보도)
3/9 세계여성의날 기념대회(공동주최)
3/18 전국녹색당 대의원대회
4/22 일본성소수자 우에다치히로 초청강연(제주녹색당 주관/인권단체 공동주최)
4/24 “잔인한내림” 공동상영회(시민단체 공동주최)
5/7 제녹당 텃밭 묘종심기
5/12 주민의 인권과 절대보전지역을 위협하는 제주해군기지 건설 백지화(제주녹색당 보도)
6/19 Making a Green and pleasant isle 보도(jeju weekly지)
6/21 제녹당 그린파티(늘사랑어린이집)
6/26 텃밭 고구마줄기 이식작업
7/6 녹색당 풀뿌리정치워크숍 참여 및 강정티셔츠 판매
7/20 한살림 장터참여(톳/밀가루 판매)
7/28~8/4 2013강정생명평화대행진 및 전국녹색당 그린파티
8/13 우근민 도정 행정시장 직선제 규탄 피켓시위(시민단체 공동)
8/27 우근민 도정 서귀포의료원 측근인사 강행 규탄 기자회견(서귀포시 공공의료를 위한 시민대책위)
8/27 윤민상 당원 쌍둥이 순산
8/30 방사능에서 안전한 학교급식 위한 모범조례안 발표(제주녹색당 보도)
9/4 방사능안전급식 관련 제주지역 환경단체 연석회의
9/6 당사마련 모금진행(오영덕)
9/9 무분별한 야생노루 살상사업 중단, 개체수 조사부터 원점 재검토(제주녹색당 보도)
9/9 제주MBC <라디오 제주시대> 출연, 제주야생노루 포획살상사업의 문제점(조주은위원장)
9/13 국정원 대선개입 규탄 민주주의 수호 3차시국대회(시민단체 공동주최)
9/16 방사능학교급식 관련 현수막 게시
9/23 하승수위원장과의 간담회(한살림 노형매장)
9/30 송강호박도현인권실현위원회 질의에 대한 제주녹색당의 입장 보도자료
11/19 녹색당 정책콘서트 참여(조주은 위원장)
11/30 밀양희망버스 참여(조주은 위원장)
12/7 제녹당 메주만들기
12/29 송년그린파티(도련아파트)
2014/1/7 보여줘이영화“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공동개최 및 관람
1/25 김익중교수 초청 탈핵강연 (시민단체 공동주최)
2/5 제녹당 된장 담금작업
2/6 김종철선생 초청 강연(체르노빌의 아이들 판매)
| 2014년 지방선거(비례,지역구) |
논의 1 | |
|
- 도지사 후보군은 우근민, 원희룡(이상 새누리당) 고희범, 김우남(이상 민주당) 신구범(새정치) 등이 유력주자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 시민단체 및 진보정당 내부에서 도지사 후보를 내고자 하였으나 강정해군기지 및 여타의 문제로 여의치 않는 상태입니다.
- 교육감 후보로는 전교조출신 이석문의원이 진보진영을 대변하여 출마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에 회의 참석자 만장일치로 적극적인 연대를 약속하였습니다.
- 진보정당 도의원 후보군은 통합진보당의 경우 비례대표 1석, 지역구 2~3석 정도를 예상하고 있으며, 정의당, 노동당은 현재 후보 발굴 중에 있습니다.
- 녹색당 후보군 현황
○ 광역지역구(충남홍성, 충북천안)
○ 광역비례(서울, 경기)
○ 기초단체장(과천),
○ 기초의회(서대문, 은평, 의왕, 이천, 춘천, 홍성, 구미)
- 투표용지에 녹색당이라는 이름이 없다면 많은 좌절을 안겨줄 것이고 또한 당원들로 하여금 녹색당을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드리지 못할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일단은 전국운영위원회와 전국대의원대회의 논의결과를 따르겠지만 "제녹당의 역량이 아직 많이 약하다."는 평가에 따라 4년동안 당원들의 집중도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는 작업과 함께 당원의 수를 늘려나가는 당원배가 사업, 그리고 기초의회가 다시 부활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여 2018년 이내 제주도당 창당 과 함께 2018년 지방선거에 반드시 도전하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 한편 이와는 별도로 2014년 지방선거에 있어서 제주녹색당과 부합하는 후보와의 연대 및 녹색당 정책 제시는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참고 : 지방선거 관련 전국운영위원회 당원발의를 제안하며 (http://kgreens.org/88042)
| 2014년 사업계획 |
논의 2 | |
|
- 당원배가사업 : 당원여러분의 적극적인 노력과 협조속에 2018년 이내에 반드시 제주도당이 창당될 수 있도록 당원모집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겠습니다.
- 2014년 텃밭 사업(한살림 이도매장 옆) : 제주한살림과의 협의과정이 남아있으나 한살림 조합원인 당원들을 주축으로 텃밭사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당초에 목표하였던 컨테이너 당사를 텃밭에 설치함으로써 제주녹색당의 당사로 이용함과 동시에 한살림이도매장을 방문하는 기존 조합원들에게 모임시설도 제공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 각종 캠페인 진행 : 올해에 무산되었던 (가칭) 방사능으로부터 안전한 제주지역 학교급식 조례안을 한살림과 공조하고 시민의 힘을 빌려 도의회에서 발의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기타의 분야(동물권, 환경, 노동, 등) 또한 제주녹색당 단독 또는 시민단체들과 연계하여 제주녹색당을 알려내기 위해 지속적인 캠페인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 기타사업
| 운영위원장 및 사무처장 인준 |
논의 3 | |
|
- 참여자 저조로 3월 16일 재논의 하도록 하겠습니다.
- 다음 운영위원회는 3월 16일 오후 1시 [한살림 노형매장]입니다. 많은 참여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