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도국때에까지는 농촌에서 도시로 향하는 이촌향도, 즉 도시의 인구가 증가하고 몰리게 되지(보통 이
경우에 도시와 농촌의 격차가 생기면서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이를 일반적으로 도시화라 부르지..
반대로 선진국에서는 오히려 도시에서 지방이나 교외지역, 농촌으로(U-turn현상) 빠져 나가게 되지..
이를 역도시화라 하고.. 역도시화란 그만큼 균형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
우리 나라에서는 역도시화가 신도시 개발과 지방 도시의 성장으로 90년대 이후부터 활발히 나타나고 있단다...
tip 역도시화(逆都市化)
도시화의 반대현상. 즉 도시의 인구가 농촌으로 역류 분산되는 과정을 뜻한다. 1970년대에 미국의 대도시 지역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세계의 많은 나라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역도시화는 도시화의 말기단계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역도시화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 대도시 생활에 따르는 비용증대, 산업의 지방분산 소도시 또는
농촌적 생활의 매력 증대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완전한 역도시화의 단계에 이르렀다고 볼 수 없으나 서울시와 부산시 등의 성장의 한계, 광역화의 진전등으로 멀지않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고 역도시화와 관련된 인구이동의 행태를 설명하는 용어로서 일본에서 만들어진 유턴(U-Turn), 제이턴(J-Turm), 아이턴(I-Turn)등이 있다. U턴은 농촌에서 살던 주민이
농촌을 떠나 대도시로 이주하였다가 다시 농촌으로 귀향하는 것을
말하고, J턴은 농촌을 떠나 대도시로 이주하였다가 다시 농촌으로
귀향하는 것이 아니라 대도시를 떠나 중소도시로 이주하여 정착하는 것이며, I턴은 원래의 대도시 주민이 농촌으로 이주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