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3추흥1.hwp
언해 - 추흥1(秋興) - 두보
민근홍 언어마을
니라거날 드로니 長安(장안)이 바독 쟝귀 갇하니,
百年(백 년)에 世間(세간)ㅅ 이레 슬후믈 이긔디 못 하노라.
王侯(왕후)의 지븨난 다 새 님자히오,
선배와 호반과애 衣冠(의관)이 녯 時節(시절)와 다라도다.
바라 北(북)녁 關山(관산)엔 錚(쟁)과 붑 소리 振動(진동)하앳고,
西(서)ㅅ 녀그로 征伐(정벌)하난 車馬(차마)난 羽書(우서)ㅣ 더듸도다.
魚龍(어룡)이 괴외하고 가살 가라미 서늘하니,
故國(고국)에 不時(불시)에 사던 따할 사랑하논 배 이쇼리.
楣長安似奕基(문도장안사혁기)
百年世事不勝悲(백년세사불승비)
王侯第宅皆新主(왕후제택개신주)
文武衣冠異昔時(문무의관이석시)
直北關山金敲振(직북관산금고진)
征西車馬羽書遲(정서차마우서지)
魚龍寂寞秋江冷(어룡적막추강냉)
故國平居有所思(고국평거유소사)
■ 전문 풀이
사람들 하는 말을 들으니 장안(長安)의 일이 바둑, 장기 같다고 하니
한평생 (사는 동안 겪는) 세상의 일에 슬픔을 이기지 못하겠구나.
왕과 제후의 저택에는 다 새로운 주인이 들었고
문관과 무관의 의관(衣冠)도 옛 시절과 다르도다.
바로 북쪽의 관문에는 전쟁의 꽹과리와 북 소리가 진동하고
서쪽으로 정벌 간 군대에서는 승전보가 빨리 오지 않는구나.
어룡(魚龍)이 적막하고 가을 강이 차니
고향에서 평화로이 지내던 때가 그립구나.
■ 시어, 시구 풀이
* 니라거날 : 이르는 것을. 말하는 것을
* 드로니 : 들으니
* 長安(장안) : 지명(地名)
* 百年(백 년) : 여기서는 한평생을 의미함
* 世間(세간)ㅅ 이레 :세상의 일에
* 슬후믈 : 슬픔을
* 이긔디 : 이기지
* 지븨난 : 집에는
* 님자히오 : 임자이고. 임자가 들었고
* 錚(쟁) : 꽹과리
* 붑 소리 : 북 소리
* 羽書(우서) : 군사상 급히 전하던 격문(檄文)
* 괴외하고 : 고요하고
* 故國(고국) : 문맥상 고향을 의미함
* 니라거날 드로니 長安(장안)이 바독 쟝귀 갇하니, : 이 구절은 안녹산의 난으로 어지러워진 시국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바둑, 장기와 같이 소로를 공격하여 잡고 잡히는 어지러운 전쟁이 계속되고 있다는 비유적 표현이다.
* 百年(백 년)에 世間(세간)ㅅ 이레 슬후믈 이긔디 못 하노라. : 자신이 겪어 온 고생을 생각하며 한탄하고 있는 부분이다. 백 연도 채 살지 못하는 사람의 짧은 평생에 어찌 이렇게 깊은 슬픔을 겪게 되느냐는 것이다.
* 바라 北(북)녁 關山(관산)엔 錚(쟁)과 붑 소리 振動(진동)하앳고, : 작가가 머물고 있는 곳 바로 가까이에서 전쟁이 벌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전쟁의 상황을 북과 꽹과리 소리라고 청각적 심상으로 형상화했다.
■ 핵심 정리
지은이 - 두보(杜甫, 712-770) 당(唐)의 시인.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린다. 생애의 대부분을 방랑 생활로 지낸 불우한 체험을 바탕으로 인간애가 넘치는 많은 작품을 남겼다.
갈래 - 칠언율시(七言律詩)
표현 - 비유적 표현이 사용됨. 청각적 심상을 통한 전란의 형상화
구성
1,2구 : 전쟁으로 어지러운 시국에 대한 근심과 한 많은 자신의 삶에 대한 탄식
3,4구 : 전란으로 인해 혼란스러운 장안(長安)의 모습
5,6구 :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 전쟁에 대한 안타까움
7,8구 : 추운 가을 날씨에 더욱 사무치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
제재 - 전란으로 어지러운 세상
주제 - 고향에 대한 그리움. 시국에 대한 근심
출전 - 분류두공부시언해(分類杜工部詩諺解) 중간본
■ 이해와 감상
작가가 안녹산의 난을 피해 떠돌면서, 시국에 대한 근심과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표현한 작품이다. 바둑이나 장기와 같이 어지럽게 공격을 주고받는 전란의 상황에 대한 개탄과, 한평생 어지러운 세상일을 겪으며 사는 자신의 괴로움에 대한 한탄이 주된 정서이다. 5,6구에서는 전쟁의 상황을 꽹과리 소리와 북 소리라는 청각적 심상을 통해 형상화한 뒤, 끝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 전쟁의 상황에 대한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또한, 7,8구에서는 차가운 늦가을 날씨로 인해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더욱 사무친다고 하소연했다.
■ <참고> 두보의 문학관과 두보 문학의 의의
그의 시는 전란 시대의 어두운 사회상을 반영하여 사회악에 대한 풍자가 뛰어나며 만년의 작품은 애수에 찬 것이 특징이다. 형식적 기교에 뛰어나고 유교적 현실주의를 표방하는 시성(詩聖)이었다. 한유(韓愈), 백거이(白居易) 등 한시(漢詩)의 대가(大家)들에게 선구적 입지를 인정받고 1,400여 편 이상의 수작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