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6·25 전쟁영웅에 '창린도 탈환작전' 한문식 대령
김준태 기자 님의 스토리
3월 6·25 전쟁영웅에 '창린도 탈환작전 성공' 한문식 대령© 제공: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준태 기자 = 국가보훈부는 1952년 황해남도 창린도 탈환작전을 성공으로 이끈 한문식 해군 대령을 3월의 6·25 전쟁영웅으로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한 대령은 1945년 11월 해군 전신인 해방병단에 입대해 인천기지 갑판사관, 진해기지 인사관, 소해정(기뢰 제거 함정)인 김해정 정장으로 복무하다 6·25 전쟁에 참전했다.
1950년 8월 6∼7일에는 서해안 봉쇄작전에 참전해 적 발동선 2척과 화물선 2척, 다수의 범선을 격침해 적의 무장병력과 군수물자 수송을 차단하는 데 기여했다.
1952년 7월 15일 적 300여 명의 기습공격으로 서북 해역의 전략적 도서인 창린도가 점령당했다. 당시 구잠함(대잠 능력을 갖춘 함정) 금강산함 함장이었던 한문식 대령(당시 소령)은 영국 순양함과 호위함, 아군 유격대와 함께 작전회의를 열고 미 해군 전투기의 지원을 받아 창린도를 재탈환하기로 했다.
금강산함은 1952년 7월 16일 새벽, 유격대 약 140명이 탑승한 범선과 발동선을 창린도 남단까지 호위해 상륙을 도왔다. 이후 영국 순양함·호위함, 미 해군 전투기 4대와 함께 포격·폭격을 개시해 창린도를 점령할 수 있었다.
한 대령은 작전 중 피아식별을 위해 아군 유격대에 흰 천을 한 장씩 소지하도록 제안해 작전 성공에 기여했다. 창린도 탈환작전으로 아군은 적군을 70명 사살, 27명 생포하는 전과를 올렸으며 무기도 다수 노획했다.
한 대령은 휴전회담 이후로는 서해안 일대에 포대를 구축하고 해안경비요원을 늘려 적의 해안침투 시도를 좌절시켰다고 보훈부는 설명했다.
정부는 한 대령의 공훈을 인정해 1951년과 1953년에 충무무공훈장을, 1952년에 을지무공훈장을 수여했다.
시선을 사로잡는 콘텐츠, 최고의 소스에서 시작합니다.
연합뉴스의 보도사진/스톡/그래픽/동영상/인물정보
헬로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