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속초 간 동서고속화철도와 여주~원주 복선전철
사업이 새 정부의 핵심 선도
프로젝트(가칭)로 추진될 전망이다.
이명박 정부의 도내 핵심 선도 프로젝트는 4개였다. 동서고속화철도, 여주~원주 복선전철은 모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이었다는 면에서 새 정부 핵심 선도 프로젝트 선정 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분석된다.
배진환 도 기획조정실장은 8일 “새 정부의 핵심 선도 프로젝트로 동서고속화철도와 여주~원주 복선전철 등 2개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명박 정부가
발표했던 5+2광역경제권의 30대 핵심 선도 프로젝트 대부분도 SOC였다”고 설명했다.
도가 이 같은 방침을 정함에 따라 예비타당성 조사의 비용편익(B/C)이 낮다는 이유로 가로막힌 이 철도사업들은 `정책적 판단에 의한 추진'으로 방향이 잡혔다.
원주~강릉 복선전철의 경우도 B/C가 발목을 잡았지만 이명박 정부의 광역경제권별 핵심 선도 프로젝트에 포함되며 추진이 확정됐다. 동서고속화철도는 B/C가 2010년 실시한 (1차)예비타당성 조사의 0.73보다 낮은 0.67로 알려지며 지난해 확보됐던 50억원의 기본계획 및 타당성 조사 용역비가 불용 처리됐다.
하지만
지역주민들의 강력한 반발이 일며 올해에도 50억원의 대안노선 및 활용화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개발비가 책정됐다. 여주~원주 복선전철은 당초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됐지만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B/C가 0.7 이하인 것으로 알려지며 사실상 추진이 중단된 상태다.
한편 도는 8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제출할 강원발전 과제에 `설악동 재개발 정부
지원'을 추가했다. 이에 따라 12개로 늘어난 과제 추진을 위해 18조원이 필요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2018평창동계올림픽
시설 공사에 대한 지역업체
참여 확대를 위한 방안도 빠르면 이번 주 안에 확정된다.
도 관계자는 “260억원 이상 규모의 공사에 대한 지역업체 공동참여 방안 마련을 위한 정부와의 협의가 마무리 단계”라고 말했다.
이규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