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피도포라의 잎사귀
임병식 rbs1144@hanmail.net
우리 주변의 동물이나 식물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영감과 지혜를 주는 경우가 많다. 우선 짐승이나 새들을 보면 크게 식탐을 하지 않고 자기가 먹을 만큼만 먹는다. 식탐 강하기로 명이 난 돼지도 무한정 먹지는 않는다. 배가 부르면 스스로 물러선다.
그런데 영장류 중 가장 꼭대기에 있는 인간은 그렇지 않다. 포식을 할 뿐 아니라 남은 것도 양보를 하지 않는다. 자기가 차지하려고 기를 쓴다. 오직했으면 다음과 같은 우스갯말이 있을까.
조물주는 개체마다 교접하는 횟수를 정해주었는데, 유독 사람만은 통제가 되지 않아서 포기를 했다든가 어쨌다든가 믿거나 말거나 하는 말이 떠돈다.
인간만이 임신 중에도 관계를 갖는다. 다른 면은 어떤가. 창공을 나는 기러기만 해도 날 때보면 새끼는 가운데에 모아놓고 보호를 하고, 까마귀는 어미가 늙어서 먹이사냥을 못하면 새끼가 대신 먹이를 구해 준다. 그래서 ‘반포조(反哺鳥’라는 이름이 얻었다.
그런데 인간은 자기 자식 가족이나 친척이 아니면 죽어가도 돌봐주지 않는다. 수년 전에 나는 야생 조류를 위해 아파트 베란다에다 먹이통을 달아 놓고 모이를 준 적이 있다. 그때 보니 욕심꾸러기로 보이는 직바구리나 곤줄박이도 먹이를 독식하지 않았다. 몸집이 큰 순서대로 날아와서 먹고 가면, 나중에는 작은 것들이 먹었다.
그 배려가 실로 아름다웠다. 그런 차에 최근 나는 배려가 기막히게 돋보이는 어느 식물하나를 알게 되었다. 동남아 보르네오 섬에서 자라는 ‘라피도포라 라는 식물로 배려심이 놀라웠다.
이 식물은 이파리가 군데군데 구멍이 뚫어져 있는데 그러한 건 다른 식물이 아래에서 햇빛을 받아 광합성을 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한다.
생태는 주로 다른 나무를 지주목삼아서 감아 오르는 덩굴식물인데 그런 배려를 하는 것이 실로 놀라웠다. 한낱 식물이 그토록 남을 위해 배려하는 마음을 가졌다니. 보면서도 그저 경탄만 나왔다.
나는 처음 그것을 보고서 표본을 만들 때 쓸 만한 것을 구하지 못하여 불가피하게 상한 이파리를 채집해 놓은 줄 알았다. 그런데 설명을 읽어보니 그게 아니었다. 쇠망치로 뒤통수를 얻어맞은 기분이 들었다. 이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요즘 사람들을 보면 탐욕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절제하는 행동은 찾아보기 어렵다. 그런데 사람과는 달리, 이 식물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생태계의 질서를 지키며 살아가고 있는 것이었다.
이것이야말로 나만 살겠다고 하는 독점적인 욕심이 아니라 이타의 정신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어서 가상하고 감탄이 나오는 일이었다.
이 식물을 보면서 새삼 느끼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인간에게 하나의 메시지를 주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그것이다. 얼마나 바람직하며 상생을 추구하는 것인가.
조물주는 이 세상을 만들 때 존재하는 어느 것 하나도 의미 없이 만들지 않았다고 한다. 그렇다면 그것을 통하여 사람도 은연중에 보고 느끼라고 한 것은 아닐까. 주물주가 보기에 하도 세상 사람들이 욕심에 취하여 탐욕과 개인주의로 빠져 지내는 것을 보고서 무슨 암시를 주는 것은 아닐까.
현실에서 인간이 반성할 점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누구는 하루 한 끼의 식사를 해결하지 못하여 궁핍하게 사는데, 다른 한쪽에서는 넘치는 음식물을 주체하지 못하고 내다버린다.
그리고 한편에서는 양심을 지키고 분수에 맞게 성실하게 사는데 반해, 다른 한쪽에서는 양심과 도덕 따윈 내던져 버리고 제멋대로 살아간다.
이런 현상은 배운 사람일수록 부자일수록 더하여 세상은 날로 혼탁하고 부패천지로 만들어 가고 있다. 복마전이 따로 없다. 이번에 터진 굵직굵직한 건설비리만 해도 성실하게 사는 소시민들에게는 얼마나 대못을 박아놓은 것인가.
무슨 알라딘의 요술램프도 아니고 금 나와라 뚝딱하면 금은보화가 쏟아지는 도깨비방망이도 아니고 돈벼락을 맞는 요지경 세상이란 말인가. 단돈 몇 천만을 들여서 백억, 천억을 버는 돈 잔치가 있을 수 있는 일인가.
자기들은 무슨 신출귀몰하는 능력으로 돈을 벌었다고 우길지 모르나 성실하게 사는 서민에게는 가슴에 대못을 박는 일이다. 아무리 약육강식이 판을 치고 횡횡하는 세상이라고 하지만 너무하는 작태가 아닌가.
그렇잖아도 근래 들어 부의 세습이 고착화되어가는 현실이다. 따라서 양극화는 날로 더해간다. 들여오는 말에 의하며 현재의 우리국토는 상위 10프로의 부자들이 70프로 이상을 소유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중에는 여의도 면적을 상회하거나 버금하는 토지를 소유하는 자들도 흔하다고 한다. 이러고서야 정의사회라고 할 수 있을까.
도무지 탐욕자의 의식 속에는 남을 배려하는 마음이 눈곱만큼도 없으니 한숨만 나올 뿐이다. 미물인 라피도포라도 이런 현실을 안다면 어떨까.
혀를 끌끌 찰 것 같다. 사람들은 세상을 살면서 자기가 잘나서, 자기 주관대로 살고 또 살아갈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그것은 착각이고 오만이다. 해와 달의 조화나 태양계의 조율이 없이는 한순간도 살아갈 수 없는 것이 인간이다.
그것을 생각한다면 좀 더 겸허해질 필요가 있다. 상생을 생각하며 배려하는 삶을 살 필요가 잇다. 그런 생각이 들어서 인지 라피도포라 잎사귀에 뚫린 구명을 보니 여간 범상치 않는 것이 느껴졌다.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