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해(講解) - 효사(爻辭) - 2
九二는 惕號니 莫夜에 有戎이라도 勿恤이로다.
(구이) (척호) (모야) (유융) (물휼)
象曰有戎勿恤은 得中道也일새라.
(상왈유융물휼) (득중도야)
●구이는 두렵게 부르짖음이니, 저문 밤에 군사가 있더라도 근심치
말지로다.
상에 가로되 '유융물휼' 은 中道를 얻음이라.
(惕 - 두려워할 척. 莫 - 저물 모(=暮), 없을 막. 恤 - 구휼할 휼.
근심할 휼. 불쌍할 휼.)
★뜻풀이
택천쾌괘 아래로 부터 두번째 효에 대한 풀이이다.
구이는 강한 양이 中을 얻고, 소인을 결단하는 때에 陰의 자리에 있으니,
中道를 행하는 자이다.
능히 뭍 陽들을 이끌고 上六을 결단할 수 있으나, 오히려 조심하여 中道
로써 두렵게 호소하니, 미리 경계하여 대비하였으므로 한반중에 군사가
일어나더라도 근심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①惕號
구이가 다른 陽에게 두렵고 조심하는 마음으로 陰을 결단할 것을 호소
하는 것이다.
②괘사에서는 구오를 중심으로 다섯 양 모두를 표현했으므로 孚號라고
했으나, 여기서는 비록 구이가 득중하였다 하더라도 양이 柔弱한 陰자리
에 거하므로 '척호' 라고 표현했다.
陽은 實하므로 孚의 의미가 있다.
첫댓글 주역을 봅니다.
주역하경34괘 택천쾌 잘읽었습니다
주역 택천쾌를 봅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