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강해(講解) - 효사(爻辭) - 3
九三은 壯于馗하야 有凶코 獨行遇雨니 君子는
(구삼) (장우규) (유흉) (독행우우) (군자)
夬夬라. 若濡有慍이면 无咎리라.
(쾌쾌) (약유유온) (무구)
象曰君子는 夬夬라 終无咎也니라.
(상왈군자) (쾌쾌) (종무구야)
●구삼은 광대뼈에 장해서 흉함이 있고, 홀로 행하여 비를 만나니,
군자는 결단할 것을 결단하는지라, 젖는듯 해도 성냄이 있으면 허물이
없으리라.
상에 가로되 '군자쾌쾌' 라 마침내 허물이 없느니라.
(壯 - 장할 장. 馗 - 광대뼈 규. 광대뼈 구. 遇 - 만날 우. 濡 - 젖을 유.
慍 - 성낼 온. 終 - 마칠 종. )
★뜻풀이
택천쾌괘 아래로 부터 세번째 효에 대한 풀이이다.
구삼은 강이 양자리에 있고, 乾體의 위에 있으며, 결단하는 때에 있으니,
결단하겠다고 과강하게 나서는 자이다.
그 과강함이 지나쳐서 얼굴에 까지 나타나니 흉함이 있고, 결단하는 때에
홀로이 그 결단할 陰인 상육과 응하여 사적으로 화합하나, 그 젖는 듯 할때
과감히 뿌리치고 결단할 것을 결단하면 허물이 없는 것이다.
①구삼의 성질이 강해서 兌(윗괘)의 훼절을 당할 것을 염려해 '흉' 이란 경
계를 두었다.
②若濡有慍
구삼이 비록 상육과 정응이 되지만, 쾌는 다섯 陽이 힘을 합해서 상육을 물리
치는 때이므로, 상육에 젖는 듯 하면서도 상육을 과감히 뿌리칠 수 있어야
한다.
즉, 사사로운 정에 이끌려서는 안되는 것이다.
첫댓글 주역을 봅니다.
주역 택천쾌를 봅니다~^^
택천쾌의 효사~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