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견적 문의드립니다.
오랜만에 데스크톱 PC를 구입하는지라 아는 것이 거의 없어서 알아보던 중에
아는 분이 신성조님 유튜브를 참고해보라고 하셔서 보고 도움을 구합니다.
꼼꼼하게 내용을 알려드리는 것이 도움을 받는 입장에서나 주시는 분 입장에서나
편리하고 원하는 답을 얻을 수 있을 듯하여 장문으로 남기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개요)
오래 전 집에 있는 데스크톱이 고장나고 그 뒤로는 쭉 노트북만 사용해와서 어떻게 견적을 맞춰야할지 감이 안잡혀 도움을 구합니다.
소니 바이오 노트북을 쓰다가 소니가 한국에서 영업 철수하고 나서 삼성 노트북을 전전하다가
최근 ASUS 아수스 게임용노트북으로 일을 해왔습니다.
최근 전원이 들어오지 않아 수리를 하기 위해 서비스센터에 방문했고 메인보드 고장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수리 가격이 너무 비싸 수리하지 않고 데스크탑을 이번 기회에 다시 맞추려고 합니다.
참고로 예전에 저렴한 가성비를 잡은 노트북으로는 작업이 하드하며 불편해서 사용할 수가 없었습니다.
금액이 좀 있더라도 게임용 노트북을 구입하여 작업해왔습니다.
허나 해당 노트북 회사의 최근 AS이슈와 몇 가지 이유로 데스크톱을 구입하고자 합니다.
금액)
본체를 200만원 선으로 맞춰야 추가로 모니터를 구입할 수 있을 듯합니다.
용도)
저는 디지털마케팅을 주로 합니다. 웹 개발을 겸하고 있으며 몇 년 안에 개발을 제대로 배워서 개발자로 일할 생각도 있습니다.
현재도 전문적이지는 않지만 코딩을 취미로 하고 있으며 만들고 싶은 서비스가 있어 배우는 중입니다.
오픈소스를 가지고 이것저것 하기를 좋아합니다.
여러 일을 겸하고 있어서 혼자서 처리해야할 업무가 많습니다.
주로 하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애널리틱스를 분석해 자료 제공, 웹페이지 제작, 웹크롤링 및 웹스크래핑, 포토샵, 영상편집 일부 등.
결과물을 소셜미디어와 웹사이트에 공유합니다.
크롬 창을 수십개 열 경우가 많고 웹앱을 통해서 작업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브라우저를 여러개 띄우고 작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크롬도 베타와 같이 사용해 계정을 분리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파이어폭스나 토르도 사용합니다. 웹접근성에 관심이 많아서 개발 시, 크로스 체크합니다.
작업할 때는 웹브라우저 별로 계정을 다르게 사용하고 있어서 종류별로 여러개 띄우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구글시트, 에어테이블 같이 SaaS형태의 서비스를 자주 사용합니다. 일반유저가 사용하는 것보다 하드합니다.
엑셀과 매크로 VBA 도 사용합니다.
행과 열의 양이 방대하여 가끔씩 응답없음이 뜰 경우가 있어서 난감할 때가 있습니다. 몇천에서 많게는 만단위도 있습니다.
제가 파악하기로는 이는 해당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어쩔 수 없는 문제로 보이고 램과 인터넷 환경을 그래서 최대한 잘 구성하려고 합니다.
백그라운드에서 소셜미디어 관련 데이터를 매일매일 주기적으로 크롤링하여 저장합니다. vpn, 프록시를 사용합니다.
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데이터들이 있습니다. 매일, 주마다 이런 식으로 돌아갑니다.
(제가 아직 개발에 미숙하여 추후에는 더 나은 방법으로 변경할 예정이지만 현재는 알지 못해서 계속 이렇게 사용해야할 것 같습니다.)
또한 자동화 서비스나 마케팅 툴의 경우 윈도우 환경에서 작동하거나 유리하기 때문에
맥북이 있으나 메인작업용으로 사용하기 매우 부적합합니다. 자료정리도 윈도우가 더 편리하고 생각합니다.
포토샵을 하는 일이 많으며 카드뉴스 제작, 상세페이지 제작 및 누끼따기, 인물 사진 보정 등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상작업을 일부합니다. 담당자가 작업된 영상을 보내주면 열어서 일부 수정하거나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 직접 프로그램을 열어서 보면서 요구사항을 작업합니다. 4k 60프레임.
공연영상이나 행사영상을 찍을 경우 편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빈도가 높지는 않지만 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최근 메타버스와 온라인콘서트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이부분도 염두해두어야 합니다.
아마 그래픽카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듯하지만 앞으로 어떤 환경에서 제공될지 모르기 때문에 그래픽카드를 최소한이라도 구비해두려고 합니다.
어차피 포토샵과 영상작업을 해야해서 그래픽카드가 필요한 듯합니다.
(맥을 사용하시라는 분이 계신데 일부 서비스는 맥에서 제대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로블록스나 마인크래프트, 알트스페이스, 제페토 등이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그래픽이 고스펙을 요구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허나 앞으로 나올 P2E게임도 사양이 제각각이라 어떻게 구성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저도 답답합니다.
요즘 잘나가는 그래픽카드를 껴두면 문제없을 듯하여 껴두었는데 그냥 그때가서 사는게 나은지 판단부탁드립니다. 지금 당장은 포토샵과 영상편집만 되면 됩니다.
디스코드(게임용이 아니라 작업도구로써 활용, 커뮤니티용: 개발, 음악, 케이팝 등) 나 슬랙(업무용)이 상시 열려있어야 합니다.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는 서비스들이 좀 많은 것 같습니다.
브라우저창 여러개, 메일앱, 디스코드 2개, 슬랙, 텔레그램,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크롤링(도스창으로 작동) 등.
UI디자인 툴인 어도비xd를 사용할 때도 있습니다. 보통은 피그마를 주로 사용합니다.
요구사항)
1. 저소음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케이스랑 쿨러는 저 회사 제품을 쓰면 된다고 하여 넣었는데 확인부탁드립니다.
겜트북 쓰면서 소음이 어쩔수 없이 나서 꽤 스트레스였는데 데스크톱에서는 되도록 안나는 환경에서 집중해서 일하고 싶습니다.
2. 아마 전에도 파워가 고장난 것 같은데 파워가 안전했으면 좋겠습니다. 대안이 여러개라면 조금 비싸더라도 싼 것보다 안전한 것을 선호합니다.
3. LED RGB효과 없어도 되나 있을경우 끌 수 있어야함. 화려하고 정신사나운 것을 선호하지 않음.
4. 하얀색 케이스였으면 좋겠습니다. 인테리어가 블랙앤화이트 모던이고 책상도 화이트 하이그로시 책상입니다.
5. 여태까지 찍은 영상 HDD가 여러개 있습니다. 고장난 피시 본체에 하드가 5개 정도 꽂혀있습니다. 3.5인치 하드를 옮겨서 꽂고 싶습니다.
모두다 꽂을 필요는 없지만 저장공간 구성을 추가적으로 할 수 있는 케이스를 선호합니다.
6. 램은 16*2 총 32기가로 구성했으나 더 구성할 필요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판단부탁드립니다.
겜트북기준 16*8=24기가램으로 작업했을 때 충분했던 것 같습니다.
7. 알아보다보니 아수스 터프670 메인보드가 와이파이가 된다고 이게 지금 최적이라고 하는 것을 보고 넣었는데 상품이 품절이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대안제품을 알려주세요.
8. 그래픽카드를 나중에 사는 경우에 대비해서 빼고 사거나 낮은 걸로 교체한다고 하면 어떤 것으로 바꾸면 될까요?
|
첫댓글 일단 메인 컴퓨터 구비하고 나서 https://cafe.daum.net/sinsungzo/o0q9/11095?svc=cafeapi 이 게시물 참고해 한 대 더 구비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은데... rpa용 피시를 따로 두면 더 나은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을 듯한데 최근 지출이 많아서 일단은 메인 컴퓨터부터 구비하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