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를 고립시키자"는 전과4범 이재명의 민주당>
- 586 주사파 과거세대 vs 2030 자유파 미래세대
최근 전과4범 '이재명의 민주당'쪽 성향의 이데올로그들로부터 나온 2030 미래세대들에 대한 발언은 충격적이다. 이재명의 사당이나 다름없는 이재명의 민주당의 중요인사가 자유주의 2030 세대를 향해 "그들을 우리 편으로 끌어올 것인가가 아니라 그들을 어떻게 소수로 만들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그들 스스로 말라 비틀어지게 만들고 고립시켜야 한다. 그들은 사유는 없고 계산만 있다"고 했다.
이는 2030 자유파 미래세대를 향한 586 주사파 과거세대의 사유 없이 내던진 말라 비틀어진 발언이다. 이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희망의 사다리를 오르기 위해 치열한 생존경쟁을 뚫고 나가야 하는 자유파 미래세대를 향한 주사파 과거세대의 절망의 언어이다. 전과4범 이재명의 민주당이 보여줄 수 있는 미래세대를 향한 새로운 메시지이다. 희망의 미래세대에게 더 큰 자유와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정책과 입법 대신에 절망을 퍼붓는 이재명의 사당이 어떻게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지겠다는 것인가? 2030 세대에게는 이런 정당이 집권하면 대한민국이 더 큰 헬조선으로 추락할 것인지 더 자유스러운 프리 코리아로 도약할 갈 것인지는 자명해 질 것이다.
대한민국 국가미래전략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슈 중 하나가 바로 인구문제를 포함한 2030 미래세대를 위한 글로벌 중추국가를 만드는 일이다. 그래서 이들이 글로벌 아이로 세계를 누비는 글로벌 유목국가를 만들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우리의 2030 세대는 분명 세계를 유영하고 다닐 수 있는 그 모든 능력과 자격을 충분히 갖춘 신인류이다. 그런데 국가가 이들의 능력과 잠재력을 끌어내어 현실화시키질 못하고 있다. 기성세대가 이들의 파워와 가능성을 발흥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3만 5천 불 시대를 누리는 글로벌 노마드이다. 그런 우리의 글로벌 희망세대의 5명 중 4명이 "대한민국을 떠나고 싶다고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이들에게 지금 국가는 헬조선으로 표현된다.
왜 청년들은 대한민국을 떠나고 싶어 하는 것일까?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경쟁적이고 권위적인 사회 분위기, 노력해도 나아지지 않을 것 같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 경쟁의 과정과 결과가 공정하지 않다고 느껴지는 특혜 사회란 인식이 이들로 하여금 불신국가를 만들고 있다.
이들이 갖게 되는 이 불신은 누가 만들었을까? 지금의 기성세대이다. 정쟁에 익숙한 주사파 과거세대와는 달리 경쟁이 생활화된 자유파 미래세대가 2030이다. 이 자유파 2030 세대는 주사파 과거세대에 대한 불신, 그들이 만들고 있는 현실에 대한 불만, 그들의 지배가 계속될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자유, 공정, 기회, 희망을 약속할 수 없는 이런 권위적, 배타적, 차별적인 나라의 폐쇄적인 사회라면 상대적 박탈감만 커질 것으로 믿는다.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과 안정은 말할 것도 없고 경제적 양극화에 따른 경제적 불평등은 더욱 커지고 이것이 곧 사회적 신분 상승을 어렵게 만들고 차별감을 키워 격차 해소는 점점 더 멀어질 것으로 믿는다.
2030 미래가 살고 있는 그 사회가 주사파에 지배된 사회라면 그들은 분명 자유파 2030을 고립시킬 것이다. 그리고 그들을 소수로 만들 것이다. 하지만 이런 사회로 가면 그 사회는 죽은 사회이고 죽은 국가가 될 것이다. 이유는 자유가 죽고 미래가 죽기 때문이다. 국가미래전략 차원에서 인구도 급격히 줄어들어 결국 대한민국이 소멸할지도 모른다. 주사파의 권력장악이 대한민국 소멸이고 자유를 질식시키는 것이라면, 그들을 향해 더 큰 자유의 깃발을 흔들며 진격의 세대로 나아가야 할 미래가 바로 2030이다.
지금의 완장 찬 586 주사파들의 특권이 반독재 민주화투쟁으로부터 얻은 것이라면, 이제 2030 자유파세대의 사명은 카톡계엄을 발동해 억압과 감시의 통제사회를 만들려는 주사파와의 전면투쟁 즉 반주사파 자유화투쟁이다. 그래서 이들을 “스스로 말라 비틀어지게 만들고 고립시켜야” 한다. 그들을 우리편으로 끌고 올 것인가가 아니라 그들을 어떻게 소수로 만들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바로 그들이 사유는 안 하고 계산만 하고 있다."
우리의 2030 글로벌 노마드를 위해 국가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청년들이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는 나라, 합리적으로 만족할 수 있고 공정한 보상이 보장되는 나라, 청년 모두가 자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의 땅이 바로 대한민국이라는 희망의 자부심을 심어줘야 한다.
국가미래전략 차원에서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국가정책이 제대로 수립되고 국정과제를 바탕으로 입법과 국가 예산이 제대로 투입되어야 한다.
이 부분에서 정부 정책에 대한 국회의 역할이 중요하며, 국회는 국가의 미래와 청년의 입장에서 청년 기본법 등 청년문제 해결을 위한 입법활동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예산을 별도로 책정하고 청년실업 해결과 창업을 위한 지속적인 정부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청년문제 해결을 위해 국회는 행정지원, 예산지원이 가능한 입법 제정과 동시에 예산 마련에 주력하고 이 부분에 관한 정부정책과 초당적 협력을 통해 청년문제 해결을 국가의 미래비전, 국가의 중심 가치로 책정해 나가야 한다.
우리에게 청년문제 해결은 인구문제, 미래의 신성장 동력, 디지털시대의 4차산업혁명군, 사회갈등 문제 해결, 글로벌 리더 등 국가의 핵심동력이다. 아니 미래의 대한민국이다. 그래서 우리 기성세대는 2030 자유세대에게 더 큰 자유, 더 큰 희망이 보장되는 더 큰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한다.
끝으로 우리도 이제 에플의 스티브잡스,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 앤비디아의 젠슨황, 오픈 AI의 샘 알트먼 그리고 최근 AI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들고 나온 딥시크(DeepSeek)의 량원펑과 같은 기술혁신가들이 속출할 수 있도록 국가의 미래인재 육성정책에 집중해야 한다.
- 장성민 (대통령실 전 미래전략기획관) -
출처 Facebook
https://www.facebook.com/peace2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