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1월 14일 “오늘의 말씀 묵상 편지”
“'귓부리'에 관한 말씀 탐구”
“또 그가 다른 숫양 곧 봉헌제의 숫양을 가져오니 아론과 그의 아들들이 그 숫양의 머리에 안수하고 모세가 그것을 잡고 그 피를 취하여 아론의 오른쪽 귓부리와 오른쪽 엄지손가락과 오른쪽 엄지발가락에 피를 바르고 아론의 아들들을 데려다가 그들의 오른쪽 귓부리와 오른쪽 엄지손가락과 오른쪽 엄지발가락에 그 피를 바르고 또 그 피를 제단 주위에 뿌리니라. 그가 또 그 기름과 꼬리와 내장에 덮인 모든 기름과 간 꺼풀과 두 콩팥과 그 기름과 오른쪽 앞다리를 취하고 주 앞에 있는 누룩 없는 빵 광주리에서 누룩 없는 빵 한 개와 기름 섞은 빵으로 만든 과자 한 개와 전병 한 개를 취하여 그 기름 위에 와 오른쪽 앞다리 위에 놓고 전부를 아론의 손과 그의 아들들의 손 위에 두어 주 앞에서 흔드는 제사를 삼아 흔들고 모세가 그것을 그들의 손에서 취하여 제단 위에서 번제물 위에 불사르니 이는 향기로운 냄새를 위하여 드리는 봉헌제로 그것은 주께 불로 드리는 제사니라.(레위기 8:22-28)
(And he brought the second ram, the ram of consecration. Then Aaron and his sons laid their hands on the head of the ram, and Moses killed it. Also he took some of its blood and put it on the tip of Aaron's right ear, on the thumb of his right hand, and on the big toe of his right foot. Then he brought Aaron's sons. And Moses put some of the blood on the tips of their right ears, on the thumbs of their right hands, and on the big toes of their right feet. And Moses sprinkled the blood all around on the altar. Then he took the fat and the fat tail, all the fat that was on the entrails, the fatty lobe attached to the liver, the two kidneys and their fat, and the right thigh ; and from the basket of unleavened bread that was before the LORD he took one unleavened cake, a cake of bread anointed with oil, and one wafer, and put them on the fat and on the right thigh ; and he put all these in Aaron's hands and in his sons' hands, and waved them as a wave offering before the LORD. Then Moses took them from their hands and burned them on the altar, on the burnt offering. They were consecration offerings for a sweet aroma. That was an offering made by fire to the LORD.)”
임마누엘!!
오늘은 아주 흥미로운 주제가 될 것같습니다.
어제는 ‘오른쪽’에 대하여 말씀 탐구를 하였습니다. ‘오른쪽’은 하나님이 함께하시는 은혜의 편이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주님께서 직접 말씀하신 마태 25장의 양과 염소의 비유에서 양은 오른편이지만 염소는 왼편이었습니다.
오른편은 영광과 승리의 자리였으나 왼 편은 심판과 저주의 자리였습니다. 오른편에 속할 수 있는 자는 소자에게 사랑을 페푼 자였습니다. 그것이 바로 주 예수님을 대접한 것이라고 분명하게 말씀해 주셨습니다.
오늘은 오른쪽 ‘귓부리’에 관한 말씀 탐구입니다.
한국어는 ‘귓부리’라고 한 단어이지만 히브리어는 귀와 부리를 구분하여 두 단어입니다.
먼저 성경이 말씀하시는 ‘귀’에 대하여 통찰하고자 합니다.
히브리어 'ozen(오젠)'. ‘귀(ear)’입니다.
구약성경에서만 이 단어는 187회 나옵니다. 오젠은 대부분 사람의 귀에 대해 사용하지만 짐승의 '귀'(잠 26:17, 암 3:12), 그리고 신인동형론적으로 하나님의 '귀'나 '청력'에 대해서도 사용되었습니다.
귀는 몇가지 동사와 함께 사용되었습니다. 귀에 들리다(겔 24:6), 귀를 귀울이다(시 10:17, 시 78:1), 귀를 막아 듣지 않다(사 33:15), 귀가 막히게 하다(사 6:10), 귀가 울리다(삼상 3:11).
귀에 대하여 청각 기관으로서의 귀, 상징적 행위에 속하는 신체의 일부로서의 귀, 그리고 반응과 이해의 표시로서의 귀, 하나님의 귀라는 네가지 주제로 적절하게 연구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1) 듣는 신체 기관으로서의 귀는 스스로 들을 수 있는 하나님께서 지으신 것입니다(시 94:9). 하나님은 듣는 귀를 지으셨습니다.(잠 20:12). 하나님께서는 귀를 열어 교훈하시고(욥 33:16), 그 교훈을 듣게 하시며(욥 36:10), 귀를 깨우치사 알아듣게 하십니다.(사 50:4).
귀는 말을 듣고(민 14:28, 욥 13:1) 깨달으며(사 64:4), 담아두며(욥 13:17), 분별합니다.(욥 12:11, 욥 34:3). 귀는 말을 전달 받습니다(창 44:18, 창 50:4, 출 10:2, 신 31:28, 수 20:4, 삿 7:3, 삿 9:2, 삿 9:3 등). "어떤 사람의 귀에 말하다"는 "그가 들을 수 있게 말하다"라는 뜻입니다.(창 44:18).
그러나 인간이 만든 우상의 귀는 전혀 아무 것도 듣지 못합니다.(시 115:6, 시 135:17).
귀가 듣기 위해 기울여야 할 것은 계명(출 15:26), 법도와 규례(신 5:11), 지식의 말씀(잠 23:12, 잠 18:15), 지혜(잠 2:2, 잠 22:17), 생명의 경계(잠 15:31), 하나님의 법과 말씀(사 1:10, 사 1:2, 렘 13:15), 선지자의 말(사 32:9)입니다.
2) 귀는 들음과 순종을 나타내므로, 중요한 상징적 행동과 함께 귀에 대한 의식이 있습니다. 만약 어떤 노예가 영원히 자기 주인을 섬기기로 결정하고 나면, 그의 귀를 송곳으로 뚫었습니다.(출 21:6, 신 15:17, 참조: 시 40:6). 이런 법적인 행위에 의하여, 그 노예는 전 생애동안 순종해야만 했습니다.
아론과 그의 아들들이 제사장에 위임될 때, 희생된 수양에서 흘러나온 피를 그들의 오른쪽 귓볼과 엄지손가락과 엄지발가락 위에 발랐습니다.(레 8:23-24, 출 29:20). 문둥병으로부터 깨끗함을 받은 사람의 경우도 이와 비슷했습니다. 그의 정결 의식 제 8일째에는 올리브 기름뿐만 아니라 피도 그의 오른쪽 귀, 엄지손가락, 그리고 엄지발가락에 발랐습니다.(레 14:14, 레 14:17).
귀걸이는 결혼식 때 신랑이 신부에게 주었던 것 같습니다.(겔 16:12) (리브가에게 준 "귀고리"[창 24:22 KJV]는 코고리였습니다). 그러나 이 귀걸이가 창 35:4에서는 우상숭배와 관련되어 나옵니다. 이스라엘인들은 아론이 금 송아지를 만들 수 있도록 자기네의 금 귀걸이를 빼내었습니다(출 32:2-3). 완전한 거부의 징표로서, 화가 났을 적에는 귀와 코를 베었습니다.(겔 23:25).
3) 귀로 들음에 관한 대부분의 언급들은 듣는 자의 반응까지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듣는 것 혹은 귀를 기울인다는 것은 예를들면 현자(賢者)의 말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의미합니다.(잠 22:17). 얼마나 자주 하나님은 고집 센 이스라엘에게 임박한 심판을 염두에 두고 행한 그의 경고에 귀 기울여 주목하라고 간청했습니다.(호 5:1, 렘 13:15). 심지어 하늘과 땅 조차도 이스라엘의 언약의 증인들로서 경청하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신 32:1, 사 1:2). 국가적인 재앙에 대한 예고는 귀를 울리게 하거나 아프게 한다고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 메시지는 이처럼 충격적인 것이기 때문일 것입니다.(삼
"완악함(hardness)”, 혹은 "무거움(heaviness)”이라는 말이 이스라엘의 귀에 두 번 사용되었습니다. 그들은 선지자들을 통해서 하시는 하나님의 말씀 듣는 것에서부터 귀를 닫아버렸습니다(슥 7:11-12). 이는 하나님께서 그들에게 벌을 내리시어 귀가 막히게 하셨기 때문입니다(사 6:10, 참조: 대하 24:19, 느 9:30). 우상들과 마찬가지로, 이 민족은 귀를 가졌으되 들을 수가 없었습니다(렘 5:21). 한때 백성들의 귀는 "할례 받지 못했다"고, 즉 언약의 하나님의 말씀에 닫혀 있다고 일컬어졌습니다(렘 6:10). 열방도 귀가 막힐 것이라 하셨습니다.(미 7:16).
듣는 것과 이해하는 것은 경우에 따라서 밀접하게 결부되었으며(욥 13:1), "귀"는 거의 "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욥 33:15). 호스트(Horst)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였습니다. 즉 "우리의 두뇌가 아니라, 귀가 말과 명령을 기록하는 도구로 간주됩니다. 그래서 귀는 '통찰'의 자리가 되는 것입니다.".
잠 21:13은 가난한 자의 울부짖음에 귀 기울이기를 거부하여 그들의 곤경에 대해 모르는 것을 정죄하였습니다. 그러나 살인의 꾀에 귀를 막아버리는 자는 칭찬을 받았습니다.(사 33:15). 인간의 영적 생활에 있어서 이 기관이 중요하다는 것을 욥이 언명하였습니다. 즉 "입이 식물의 맛을 변별함 같이 귀가 말을 분변하지 아니하느냐"(욥 12:11).
4) 하나님께서도 관용적으로 귀를 갖고 계십니다. 듣고 행동을 취하는 하나님의 능력에 관한 언급들이 많이 있습니다. 시편기자는 "귀를 지으신 자가 듣지 아니 하시랴"고 논증했습니다.(시 94:9). 다윗의 부르짖음이 하나님의 귀에 들렸고 그의 응답을 받았습니다.(삼하 22:7, 시 18:6). 그러나 산헤립의 오만한 말은 그의 귀에까지 와서 파멸로 끝나고 말았습니다.(왕하 19:28, 사 37:29).
대부분의 구절들은 기도에 대한 하나님의 반응을 다루고 있습니다. 시편기자는 자주 도와달라는 자기의 부르짖음을 들어 주시고(시 80:1[2], 시 54:2[4]), 적으로부터 자기를 구원해주실 것을 하나님께 간청하곤 하였습니다. 성전 봉헌시에, 솔로몬은 언제나 하나님께서 귀를 기울여 백성의 기도를 경청해 주실 것을 요구하였습니다.(대하 6:40). 다니엘은 그 성전쪽으로 돌아서서, 하나님께서 귀를 기울이시어 예루살렘의 파멸에 대해 무엇인가를 해주실 것을 간구 하였습니다.(단 9:18).
성도는 하나님께서 기도에 귀를 기울이실 것을 확신합니다(시 77:1). 하나님은 의인과(사 34:15), 성도의 기도(시 40:1, 시 116:2)에 귀를 기울이십니다. 기도가 응답되지 않을 때, 그것은 하나님께서 듣기 어렵게 되었기 때문이 아닙니다.(사 59:1). 이스라엘의 죄가 하나님의 구원하시는 응답에서 그들을 끊쳐 내였기 때문입니다.(신 1:45).
"귀를 폭로한다"(갈라 오젠[gala ozen])는 것은 왕에 대한 음모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드러내는 것"을 말합니다.(삼상 22:8, 삼상 22:17). 법률적인 문맥에서 이 말은 "어떤 사람으로 하여금 어떤 문제에 주목시키다"를 의미합니다(룻 4:4). 하나님이 주어로 나올 때, "귀를 열다"는 자기 종들에게 진리를 "드러내다(reveal)”를 의미합니다.(삼상 9:15, 삼하 7:27).
5) 귀에 관한 잠언입니다.(잠 2:2, 잠 15:31, 잠 17:4, 잠 18:15, 잠 20:12, 잠 21:13, 잠 22:17, 잠 23:9, 잠 23:12, 잠 25:12, 잠 26:17, 잠 28:9).
*** 성경이 말씀하시는 ‘귀부리’에 관한 말씀 탐구는 내일 계속됩니다.
감사합니다.
서울에서
이 우복 목사 드림